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석 시에 나타난 ‘나열과 반복’ 구조 연구

        박한라 ( Park Han-ra ) 한민족어문학회 2018 韓民族語文學 Vol.0 No.81

        본고는 백석 시에 나타난 ‘나열과 반복’의 원리와 효과를 무의식 층위에서 규명해보고자 한다. 백석 시에 나타난 ‘감각의 나열’은 시의 대상을 감각하기 위해 무의식적 층위에서 차이적 관계를 두고 반복되는 감각의 계열이다. 무의식적 감각이 계열화될수록 시의 대상은 개념에서 벗어나 신체가 느낀 존재성을 통해 구체화된다. 백석 시에 나타난 ‘행위의 반복’은 의미로 한정할 수 없는 실재를 환상 층위로 확산하는 동시에 현실의 행위로 집중시키는 효과를 갖으며 사유를 구체화하고 점진적으로 나아가게 하는 ‘구조’로 작동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clarify the principle and effect of 'sequence and repetition' structure in Baekseok poetry on subconscious level. The 'enumeration' structure was examined through the case where various senses appeared in parallel to the same object. The 'enumeration of senses' in Baekseok poetry is a series that is repeated with differential relation on the unconscious layer to sense the object of poetry. The differ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es cannot be conceptualized while the flow between these non-conceptual senses can 'shrink' to sense the object of poetry. The pattern of repetition in Baekseok poetry is constantly expanding without inclusion of reality. Therefore, if the repetitive acts shrink, it does not become 'reality'. However, reality is a force that is based on which actions can be repeated. This repetitive act is a pattern of poetry that constantly thinks it in language without giving up reality.

      • KCI등재

        기형도 시에 나타난 언캐니 양상 연구

        박한라(Park, Han-Ra) 우리문학회 2021 우리文學硏究 Vol.- No.72

        본고는 기형도 시집 『입 속의 검은 잎』에 나타난 양가적인 층위가 공존하는 현상을 ‘언캐니’의 개념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이 시집의 서사적 특징을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매체를 통한 억압과 거세된 현실’에서는 매체를 통해 억압된 것이 ‘귀환’하는 방식에 대해 논의하였다. 기형도 시에서 ‘햇빛을 복사하는 유리 담장’, ‘울창한 숲’, ‘안개’와 같은 매체는 시각장에서 현실의 자리를 뭉개고 의미를 미끄러뜨리는 역할을 한다. 팔루스로 투사된 환상에서 거세된 현실로 이동하는 서사의 구조에 있어 매체는 불확정성을 내재한 응시의 장소로 볼 수 있다. ‘거짓과 사실의 전복과 층위의 해체’에서는 주체의 층위와 타자의 층위 간의 전복이 반복되면서 발생하는 비결정적인 서사에 대해 살펴보았다. 언캐니의 전복이 반복되는 현상은 무엇이 사실이고 거짓인지 알 수 없는 세태를 통해 타자성으로부터 개방된 유목적 정체성을 서사화한다. ‘분신을 통한 자기 반복와 역설’에서는 분신 관계로서의 타자가 본래 자신의 행위를 끊임없이 증폭시키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는 억눌린 자신이 타자가 되었다가 다시 귀환할 때 잊었던 공포가 일깨워지면서 친숙한 낯섦이 발현된 결과다. This study examined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Ki Hyeong-do’s poems by analyzing the coexistence of ambivalent layers in the collection “Black Leaves in the Mouth” through the concept of “uncanny.” In “Repression through the Media and Castrated Reality,” we discussed the method of “returning” what is repressed through the media. In the city of Ki Hyung-do, media such as “a glass wall that radiates sunlight,” “a dense forest,” and “fog” play a role in crushing the place of reality in the visual field and slipping its meaning. In the structure of the narrative moving from the fantasy projected onto the phallus to the castrated reality, the medium can be viewed as a place of gaze with inherent uncertainty. In “The Overthrow of Lies and Facts and the Deconstruction of Layers,” I looked into the indeterminate narrative that occurs as the overturning between the layer of the subject and the layer of the other is repeated. The repeated overthrow of “uncanny” narrates a nomadic identity open from otherness through a situation in which what is true and what is false are unknown. In “Self-repetition and Paradox through Self-immolation,” we analyzed the aspect in which the other, as a self-immolation relationship, constantly amplifies their original behavior. Eventually, when the suppressed self becomes the other and returns, the forgotten fear is awakened, and a familiarity emerges.

      • KCI등재

        날이미지시에 나타난 ‘사실’과 ‘시간’ 연구

        박한라 ( Park Han-ra ) 한민족어문학회 2019 韓民族語文學 Vol.0 No.84

        본고는 날이미지시의 사실을 ‘현상적 사실’과 ‘환상적 사실’로 나누어 성격을 살펴본 후 날이미지시의 사실과 시간과의 관련성을 통해 시의 구조를 고찰해보았다. 날이미지시의 사실은 원본이 없는 ‘가상’과 ‘사실’ 사이, ‘현상적 사실’과 ‘환상적 사실’ 사이에서 식별 불가능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날이미지 성격은 ‘현실적인 것과 잠재적인것’, ‘주관적인 것과 객관적인 것’, ‘상상적인 것과 실재적인 것’, ‘정신적인 것과 물질적인것’ 사이를 자유롭게 오고가며 층위를 분별할 수 없는 직접적인 시간의 발현 지점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날이미지시에서의 진리는 원본에 도달하거나 그것을 재생산하는 것이 아닌 새롭게 창조되는 것으로 변한다. 직접적인 시간의 출현을 통한 ‘살아있는 이미지’가바로 날이미지시인 것인다. In this article, I examined the nature of nal-imaage by dividing it into phenomenal facts and fantasy facts, and then examined the structure of the nal-imaage through the relation between the facts and the time of the images. The fact of nal-image is that it can not be distinguished between 'virtual' and 'fact' without the original, between 'phenomenal reality' and 'fantastic reality'. This nal-image personality can not distinguish between "real and potential", "subjective and objective", "imaginary and real", "mental and physical". This is related to time-image. The truth in this nal-image turns into a new creation rather than reaching the original or reproducing it. The 'living image' through direct emergence of time is nal-image.

      • KCI등재
      • KCI등재

        윤동주 시에 나타난 화자의 분열 양상 연구

        박한라 ( Park Han-ra ) 한민족어문학회 2021 韓民族語文學 Vol.- No.94

        본고는 윤동주 시에 나타난 화자의 분열 양상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아브젝트로 인한 분열과 과정 중인 주체’에서는 화자의 타자가 전복적인 활동을 함으로써 화자의 분열이 지속되는 이유를 고찰해보았다. 윤동주 시에서 화자가 주체를 확립하기 위해 밀어낸 것들은 아브젝트가 되어 다시 주체에게 돌아온다. 아브젝트는 혐오스럽고 매혹적인 것으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아브젝트로서의 타자는 전복적인 활동을 반복하면서 분열을 연장하고 주체와 객체 사이의 존재로서 구현한다. ‘죄의식으로 인한 분열과 순수 욕망의 주체’에서는 분열된 화자가 하나의 화자로 승화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윤동주 시에서 화자는 사회에서 결정된 상징적 질서의 요구를 따르기 위해 자신의 순수 욕망을 배반했다는 점에서 죄의식을 경험한다. 이러한 화자는 대타자에 종속된 자아의 죽음을 통과하고 새로운 ‘미래’를 맞이하는 ‘환상의 주체’로 나아감으로써 하나의 화자로 승화한다. 대타자에 종속된 주체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은 죽음이며 대타자에 대한 종속을 거부하고 순수 욕망을 지향하는 화자는 한계 너머에 있는 쾌를 환상으로 만나는 것이다 This paper examined the aspects of division and harmony in Yun Dong-joo's poem. The narrator, who appeared in a poem where guilt is not revealed, follows the mother's order in the pre-Oedipus stage. A narrator who is unaware of sin appears as a new subject every time in a world where division and harmony coexist. In a poem that reveals a sense of guilt, the narrator is described through a predicate with the character of 'goda' by satisfying his desire based on the sense of guilt. If you follow your desire like this, the division with the existing self is bound to be permanent. Here, when the narrator proceeds to Joo Sangsu as a pleasure that passed through death through a sense of guilt, the “fantastic subject” appears as a form in which the “divided subject” is united as the two poles. This fantastic subject can overcome the guilty consciousness, but it is different from the poem in which the guilty consciousness is not revealed in that it must overcome the ‘death’.

      • KCI등재

        김광균 시에 나타난 감각의 ‘반복’과 ‘생성’ 연구 -『와사등』과 『기항지』를 중심으로 -

        박한라(Park, han-ra) 한국비평문학회 2020 批評文學 Vol.- No.75

        본고에서는 김광균 시에 나타난 감각의 ‘반복’과 ‘생성’의 양상을 통해 트라우마와 욕망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김광균 시에 나타난 감각의 반복은 의미로서 규정된 대상을 ‘기호’로 새롭게 만나는 과정이다. 이때 감각의 반복은 트라우마를 기제로 작동한다. 명확히 알 수 없는 정신적 외상은 감각을 통해 무한히 반복되지만 정확한 의미로 구현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김광균 시에서 한 대상을 반복적으로 지향하는 감각들은 사유할 수 없는 트라우마에 대한 강도를 형성함으로써 그것을 ‘감각적 경험’으로 이끌어낸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김광균 시에서 대상과 대상 사이에서 일어나는 생성은 결핍에 의한 욕망이 아닌 생성을 추동하는 욕망의 결과다. 이 과정에서 욕망은 주체의 의지에서 벗어나 대상들 간의 배치와 관계에 의한 효과를 통해 흘러간다. 주체의 지배에서 벗어난 욕망은 양가적인 감정이 혼합되어 승화되는 ‘생성’을 이루거나 무의식이 귀환함으로써 의식과 무의식이 혼합되어 나타나는 ‘생성’으로 흘러간다. 이와 같은 욕망의 흐름은 대상과 대상이 서로에게 함몰되지 않고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되기’의 구조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rauma and desire through the "repetition" and "creation" of the senses in Kim"s poems. The repetition of sensation shown in Kim Kwang-gyun"s poem is a process of newly meeting the object defined as meaning with "symbol. At this time, the repetition of sensation works based on trauma. Unexplained mental trauma is infinitely repeated through the senses but is not embodied in the correct sense. Thus, the repetitive sensations of an object do not form the meaning of exactly what is sad but reveal the existence of trauma by forming the intensity of sorrow for it. also, the production that occurs between objects is the result of the desire to drive the production, not the desire due to deficiency. In this process, desire flows out of the subject"s will through effects such as placement and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Since the desire is out of the control of the subject, "creation", which is a sublimation of mixed ambivalent emotions, forms a sublimation, or the unconscious returns, resulting in a mixture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This flow of desire can be seen as the structure of "becoming" that objects and objects are not depressed to each other and create new things. It is the result of the desire to drive creation, not desire by pips. In this process, desire flows out of the subject"s will through effects such as placement and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Since the desire is out of the control of the subject, "creation", which is a sublimation of mixed ambivalent emotions, forms a sublimation, or the unconscious returns, resulting in a mixture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This flow of desire can be seen as the structure of "becoming" that objects and objects are not depressed to each other and create new things.

      • KCI등재

        김춘수 시에 나타난 트라우마 양상 연구 -『남천』을 중심으로

        박한라(Park, Han-ra) 한국비평문학회 2019 批評文學 Vol.- No.72

        본고는 『남천』의 시편을 트라우마가 관통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것을 표현하는 이미지의 양상이 ‘맥락적’인 것과 ‘비맥락적’인 것으로 분류될 수 있음에 주목하였다. ‘거짓의 역량과 트라우마의 방어’에서는 파편적인 이미지가 비맥락적인 흐름을 이루는 시편들을 중심으로 트라우마를 살펴보았다. 현실-가상, 과거-현재, 진실-거짓 등의 경계에 놓인 트라우마의 충격적 고통은 거짓의 역량을 통해 끊임없이 유보된다. ‘향유의 숭고와 트라우마의 해방’에서는 맥락적인 양상을 통해 트라우마를 제시하는 시편을 살펴보았다. 예수는 죽음을 향유하여 영원한 생을 창조하려는 의지를 보인다. 환상의 주체로 새롭게 거듭난 예수는 트라우마의 새로운 주체가 되어 고통으로부터 해방된 채 맥락을 이끌어간다. 이는 상징계 구도에 의한 불쾌를 관통하여 환상을 통해 쾌로 나아가는 숭고한 사랑의 실천이다. This paper notes that 『Namcheon』 can be classified not only as the trauma penetrates most of the psalms but also as the image of expressing it as "contextual" and "non-contextual". In "False Competence and the Defense of Trauma", I looked at the trauma centered on the psalms in which the fragmentary images flow in a non – contextual way in 『Namcheon』. The pain of trauma placed on the boundary of reality - virtual, past - present, true - false is constantly reserved through the capacity of deceit. In the "Sublime of the perfume and the liberation of the trauma", I examined the psalm that presents the trauma through the contextual aspect in 『Namcheon』. By getting eternal life in symbolic death, Jesus transforms the displeasure of death into a pleasant transition. This is the work of the will to enjoy the death of Jesus and to create the eternal life itself. The newly born Jesus as a subject of fantasy becomes the new subject of the trauma and leads the context freed from suffering. This leads to the practice of sublime love that goes through pleasure.

      • KCI등재

        이상 시에 나타난 ‘무의미’ 연구

        박한라(Park, Han-ra) 한국비평문학회 2018 批評文學 Vol.- No.69

        본고는 이상의 시에서 ‘무의미’가 발현되는 지점을 시간-이미지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이미지의 구조와 그 의의를 고찰해보았다. 사유는 언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름붙일 수 없는 지점에서 무능력해지기 마련이다. 이는 무의미와 상통한다. 이상 시에 나타난 ‘층위의 식별 불가능한 지점’은 의미로 포섭할 수 없는 층위로서 시간-이미지의 ‘크리스탈 이미지’를 통해서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는 현실적인 이미지와 잠재적 이미지가 서로 식별할 수 없이 결정화되어 있는 것으로, 이는 층위들이 분리되기 직전의 우주를 보여준다. 또한 이상 시에서는 파편적인 이미지들이 단절적인 연결을 통해 계열화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시간-이미지에 의한 ‘현대적 몽타주’를 통해서 살펴볼 때 의미로 포섭할 수 없는 ‘바깥’에 대한 힘을 사유하기 위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이상 시에서 시뮬라크르인 이미지는 이름을 붙일 수 없는 망각 이전의 바깥을 향해 끊임없이 새롭게 형성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impossible thinking" in the poetry of Lee- Sang through the time - image, and examined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the image. Since reason is made up of language, it becomes incompetent at the point where it can not be named. The "unidentifiable point of the stratum" in Lee-sang is similar to the "crystal image" of time-image. This image is a crystallization of the real image and the potential image that can not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This shows the universe just before the layers are separated. In addition, Lee,- Sang can see fragments of images are sequenced through disconnected connections. This is similar in structure to the "modern montage" by time-imagery. Deleuze mentions that the gap between images in the modern montage acts as a mechanism for thinking "outside". The image of the simulacrum in Lee-sang-si is constantly renewed toward the outside of the unnamed naming.

      • KCI등재

        영화적 기법을 통한 현대시의 시간과 사유

        박한라 ( Han Ra Park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6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5

        본고는 시를 영화적 기법으로 해석해보았을 때 두드러지는 이미지의 흐름을 통해 시간의 흐름을 추적하고 그것이 어떻게 사유와 연관되는지 모색해보았다. 실례로서 김기택, 오규원, 이성복 시를 살펴보았으며 각각 근거리 쇼트, 원거리 쇼트, 몽타주를 통해 시간의 특성과 사유를 고찰하였다. 먼저 김기택 시의 창작 기법은 미세한 대상을 전체로 확대하는 근거리 쇼트와 유사 하다. 근거리 쇼트를 통해 시의 시간을 살펴보면 시제 어미가 동일하게 진행될 지라도 현실의 시간에서 대상의 시간으로 흘러가는 양상이 드러난다. 이는 작은 대상이 전체로 확대될 때 시공간이 추상화되어 대상만의 이미지로 탈영토화 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근거리 쇼트를 시에 적용할 때 개별적 대상들의 외면을 통해 그것의 숨겨진 내면으로 흘러가는 시간과 사유의 흐름을 알아낼 수 있다. 오규원의 날 이미지 시는 흘러가는 시간을 바탕으로 살아있는 이미지를 묘사하기 때문에 영화적 기법 중 ``원거리 쇼트``와 유사하다. 원거리 쇼트를 통해 시를 바라볼 때에 는 ``현재진행형``인 시간의 지속성과 ``동시성``을 살펴볼 수 있다. 현재진행형의 시간은 과거, 현재, 미래의 구분 없이 시간의 지속성에 집중하여 본연 그대로의 대상의 속성을 펼쳐나간다. ``동시성``은 대상들이 상호주체적인 관계를 맺으며 개방적 구조에 의한 세계를 만들어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두 시간의 특성은 날 이미지 시가 언어로 상징 화되기 이전의 훼손되지 않은 풍경을 사유하고 두두물물의 본연성을 드러낸 결과임을 보여준다. 이성복의 시는 현재와 과거의 편린들을 재구성하므로 영화적 기법 중 몽타주와 유 사하다. 여기서 ``과거와 현재의 혼용``이 관찰되는데, 맥락의 유무에 따라 사유의 층위가 달라진다. 이러한 점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고전적인 몽타주``와 ``현대적인 몽타주``를 시에 적용해볼 수 있다. 전자는 맥락이 있는 시간의 혼용이기 때문에 ``화자의 의식`` 층 위에서 문제의식을 펼쳐나가 결과적으로 깨달음의 감흥을 얻어낸다. 그러나 후자는 맥락 없는 시간의 계열체로 등장하기 때문에 시간의 틈새가 강조되며, 이것은 ``화자의 무의식`` 층위에 머무는 진정한 문제의 존재를 향해 추리하는 방식으로 나아간다. 몽타주의 시간은 이성복 시가 자기 성찰에 대해 의식과 무의식을 모두 동원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The study aimed to analyze poems through cinematic expression and examine characteristics and thinking of poems by focusing on the flow of time with regard to the flow of space time that stands out the most in terms of cinematic expression. First of all, director Kim Gi-taek``s creative methods are similar to a short-distance short that expands a very minor subject to embrace all. At that time, the aspects of time can be divided into ``mixed-melting time`` and ``stationary time.`` As a minor subject is enlargedto embrace all, the time transcends to realize an exclusive world of minor subjects. At that time, the flow of time is mixed and melted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to create poetic effects of describing perception of subjects. Second of all, in the ``stationary time,`` the time halts in a certain section, and diversified meaning of an adjacent image is gradually interpreted to create dramatic significance. Oh Gyu-won``s poems are similar to a long-distance short in dramatic expression as they observe images reviving overtime. The flow of time based on a long-distance short can be divided into ``present progress`` and ``simultaneity.`` As the time flows in a present progressive way, captured subjects form fortuitous and spontaneous relationships to create an existential landscape. As a long-distance short screen is wide enough to capture diverse subjects at once, it is effective in indicating ``spontaneity,`` and these characteristics frequently appear in live image poems. In live image poems, time divides one moment into metonymic space to express simultaneity while unveiling a moment of potential where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are integrated. As Lee Seong-bok``s poems reconstitute pieces of memory, they are similar to a composite sketch in terms of cinematic expression. The time of poems viewed from a composite sketch can be divided into ``closed time`` and ``open time.`` The former can be observed through an attraction composite sketch technique and creates present inspirations through conflicts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The latter can be examined through an expanded composite sketch technique and create a world of open meaning through revolution of memory. At that time, the time roams in unconsciousness, so clear identity is not defined, and this non-time and pure-time aim at the unknown in the outside instead of the known. After all, arts share the same root, so mutual relationships cannot be ignored, and poetic study based on cinematic techniques has relevant connectivity befitting the era of multimedia.

      • KCI등재

        이상화 시에 나타난 트라우마와 죽음충동

        박한라 ( Park Han-ra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8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73

        본고는 이상화 시의 비극성을 무의식 층위에서 검토해보았다. 그의 시에서 비극성은 서사화 되지 못하고 편린의 형태로 반복되며, 화자를 죽음으로 이끈다. 무의식 층위에서 이러한 비극성을 살펴보았을 때 이상화 시는 현실에서 정의될 수 없는 근원적인 고통을 향해 지속적으로 나아가는 트라우마를 안고 있는 동시에 그것을 이겨내고자 하는 삶의 의지로서 죽음충동이 동원된다. 이러한 연구는 이상화 시에 나타난 비극성을 표면에서 고찰하는 것에서 머무르지 않고 그것이 드러나게 된 원동력을 무의식 층위에서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blem consciousness on the subconscious level in order to examine why the tragedy in Lee Sanghwa is not narrated and repeated in the form of amusing, and what the frequent appearance of death has in the poem. When we look at the nonparency above the unconscious layer, idealized poetry has a trauma that continues to lead to the underlying pain that can not be defined in reality, and at the same time the death impulse is mobilized as the will of life to overcome it. Such an attempt is significant in that it allows us to look at the origin of the poetry rather than to remain on the surf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