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일 최빈유량을 이용한 유황곡선 개선방안

        박태선,Park, Tae Sun 한국수자원학회 2021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4 No.6

        The conventional Flow Duration Curve has limitations that it does not consider hydrologic persistence of daily discharge, that the daily discharge is greatly affected by the maximums or minimums, and that the date of occurrence and duration of a specific discharge cannot be known. In this study, we propose a Daily Mode Discharge Curve, which consists of aligning the daily discharge each year by the date of occurrence, calculating the daily mode discharge, and averaging them every 5 days.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long-term observational daily discharge data at 8 points upstream and downstream of the mainstream of the 4 major rivers in Korea, it was found that the daily discharge at all points shows hydrological persistence, and the distortion of it was alleviated by using Daily Mode Discharge Curve. We also suggest that the Daily Mode Discharge Curve is useful for utilizing reference discharge such as Drought, Low, Normal, Plentiful, and Flood Discharge.

      • 남부지역 무논직파 재배 논에서 잡초 방제

        박태선,박홍규,강신구,구본일,최민규,이경보,고재권,Park, Tae-Seon,Park, Hong-Kyu,Kang, Sin-Koo,Ku, Bon-Il,Choi, Min-Kyu,Lee, Keong-Bo,Ko, Jae-Kwon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2012 Weed&Turfgrass Science Vol.32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the effective management of main weeds including herbicide-resistant Echinochloa oryzicola, Scirpus juncoides and Monochoria vaginalis in direct seeded rice on puddled paddy surface. The dominant dominances in direct seeded rice on puddled paddy surface were increased for three years between 2009-2011. In weed distribution in 2011, the occurrence density of S. juncoides decreased greatly, but it of E. oryzicola increased especially as compared with it of 2009. Benzobicyclon, mesotrione and pyrimisulfan were effective to sulfonylurea(SU)-resistant S. juncoides and M. vaginalis at 5 and 12 days after seeding, however, the efficacy of bromobutide to sulfonylurea-resistant M. vaginalis was decreased slightly at 12 days after seeding. And carfentrazon and pyrazolate were ineffective to S. juncoides. In direct seeded rice on puddled paddy surface which ACCase and ALS inhibitor-resistant E. oryzicola was not occurred, benzobicyclon+penoxsulam+pyrazosulfuron-ethyl ET, bromobutide+imazosulfuron+metamifop GR, and flucetosulfuron+mesotrione+pretilachlor GR showed the control effect over 94% to main weeds included sulfonylurea-resistant S. juncoides and M. vaginalis. The E. oryzicola dominating in direct seeded rice on puddled paddy surface were not any affected to the survival by treatment with recommended doses of cyhalofop-butyl and penoxsulam tested. The ACCase and ALS inhibitor-resistant E. oryzicola was effectively controlled by mefenacet and fentrazamide up to the 2nd leaf stage. In direct seeded rice on puddled paddy surface domiating coincidentally by herbicide-resistant E. oryzicola, S. juncoides and M. vaginalis, "one-shot herbicide" included with mefenacet, fentrazamide, penoxsulam and metamifop could't be used because of low control effect or rice injury. The sequential treatment of benzobicyclon+thiobencarb SE and bensulfuron+mefenacet+thiobencarb GR controlled effectively the herbicide-resistant E. oryzicola, S. juncoides and M. vaginalis in direct seeded rice on puddled paddy surface. The days required by the 3rd leaf stage of herbicide-resistant E. oryzicola, S. juncoides and M. vaginalis in direct seeded rice on puddled paddy surface seeded in May 20 shortened by 4 days as compared with it of June 10.

      • KCI등재후보

        주제 특화도서관의 기능적 특성 연구 -김근태기념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박태선 전북대학교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2023 디지털문화아카이브지 Vol.6 No.2

        본 연구는 확장되는 공공도서관의 역할과 이에 대응하는 방안을 보여주는 사례로 김근태기념도서관이 주제 특화도서관으로서 이용자들에게 제공하는 공간과 기능의 구성 내용과 특성을 살펴보고, 시사점에 대해 논의한다. 본 논문에서는 시대 요구에 따라 변화하는 공공도서관의 의미와 기능의 확장이라는 관점에서 현재 지역사회의 복합문화공간의 역할을 담당하는‘김근태기념도서관’을 사례로 주제 특화도서관의 특성을 검토하였다. 이는 향후 국내 공공도서관의 기능과 역할에 관해 연구하고, 실제 다른 특화도서관을 설립하고자 할 때 그 공간과 기능, 콘텐츠를 기획하는데 참조될 수 있다는 데 시사점이 있다. As an example of the expanding role of public libraries and how to respond to it,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and functions provided to users by the Kim Geun-Tae Memorial Library-Archives as a subject-specific library, and discusses the implic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expanding the meaning and functions of public libraries that are changing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times,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pecific libraries using the Kim Geun-tae Memorial Library-Archives, which currently serves as a complex cultural space for the local community, as an example. This ha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on the functions and roles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and for planning the space, functions, and contents of other specialized libraries when they are established.

      • KCI등재

        연중 하천유량 관리를 위한 기간 구분 및 관리범위 설정 방안

        박태선 한국수자원학회 2023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6 No.1

        현재까지는 연중 하천유량의 관리기간은 홍수기와 비홍수기로 구분하고, 관리해야 할 유량의 범위는 갈수량에서 홍수량까지로 폭넓게 규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4대강 8개 지점의 장기간 일평균유량 자료를 이용하여1년을 유량의 분산과 평균이 동질한 기간들로 구분하고, 기간별 유량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유량의 관리범위를 설정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연중 관리기간은 지점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홍수기 이전, 홍수기, 홍수기 이후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기간을 세분화하면 최소유량에 대한 최대유량의 비도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중 일평균유량이 갈수량 이상 홍수량 이하가 되도록 기간별 일평균유량의 관리범위를 기간별 일평균유량의 평균 ±표준편차로 설정하는 방안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온도상승에 따른 논 제초제의 약효 및 약해 변동

        박태선,황재복,배희수,박홍규,이건휘,Park, Tae-Sun,Hwang, Jae-Bok,Bae, Hee-Soo,Park, Hong-Kyu,Lee, Gun-Hwi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2017 Weed & Turfgrass Science Vol.6 No.3

        본 연구는 기후변화로 인한 온도가 상승할 경우 현재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어 지고 있는 되어 지고 있는 HPPD 저해 제초제에 대한 주요 벼 품종들의 약해와 논 잡초들의 약효 변동정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온도가 높을수록 벼의 약해정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줄기보다 뿌리에서 약해정도가 더 심하게 나타났다. 대기온도 보다 약 $3^{\circ}C$ 높은 비닐하우스 조건에서 일반계 밥쌀용 자포니카 벼 품종들은 회복할 정도로 약해 경미하게 발생하였다. 그러나 찰벼, 초다수성벼, 통일벼 품종들은 수량이 감소될 정도로 약해가 발생하였다. 인공기상실 조건에서 일반계 밥쌀용 자포니카 벼 품종의 약해는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고온조건인 $27.5^{\circ}C$에서 4-8로 생육이 심하게 억제되었거나 고사하였다. 그러나 찰벼와 통일벼 품종들은 $25^{\circ}C$ 이상에서 약해가 심각하게 발생하였으며, 통일계 품종인 남천은 $27.5^{\circ}C$에서 완전히 고사하였다. 논에서 이앙시기별 벼 약해실험에서 밥쌀용 자포니카 품종인 신동진벼는 6월5일(평균온도 $22.1^{\circ}C$) 및 6월15일(평균온도 $22.5^{\circ}C$)에 이앙한 논에서 약해는 경미하게 발생하였다. 그러나 6월30일 이앙(평균온도 $25.2^{\circ}C$)한 논에서는 약해가 3이상이었고, 고온인 7월15일에 이앙(평균온도 $27.9^{\circ}C$)한 논에서는 벼가 뚜렷한 억제현상을 보였다. 온도조건을 달리한 인공기상실에서 benzobicyclon+mefenacet+phenoxsulam액상수화제에 대한 물달개비, 올챙이고랭이, 올방개의 방제효과는 약제 처리 후 25일에 90% 이상의 높은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강피의 방제효과는 $25^{\circ}C$까지는 95% 이상의 방제효과를 보였으나 고온조건인 $27.5^{\circ}C$에서는 40%의 낮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이앙시기가 서로 다른 논에서는 잡초발생량은 6월 30일 이후 이앙 논에서는 현저히 감소하였다. 일년생 잡초들인 물달개비, 올챙이고랭이, 여뀌바늘은 이앙시기에 관계없이 90% 이상의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강피는 7월15일 이앙(평균온도 $27.9^{\circ}C$)한 논에서 방제효과가 다른 이앙시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73% 방제효과를 보였다. 다년생 잡초 올방개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약효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인공기상실에서 조사된 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기후변화로 인한 대기의 온도가 상승할 경우 제초제에 대한 벼의 약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논에서는 우점잡초 변화가 예상되고, 일년생 잡초들 중에서 물달개비 및 올챙이고랭는 온도상승으로 제초제 약효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나 강피는 약 $27^{\circ}C$에서 방제효과가 저조하게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totoxicity of main rice varieties and control efficacy of HPPD inhibitor to major paddy weeds at the time of temperature rise due to climate change. Phytotoxicity of herbicide to rice was increased as temperature was increased, and more severe in root than shoot. The phytotoxicity of japonica rice cultivars for the rice were mild enough to recover. However, glutinous rice, super high yield rice, and Tongil rice varieties were damaged enough to decrease the yield. Shindongjinbyeo transplanted by June 15, showed phytotoxicity enough to recover. However, in the rice field on June 30 and on July 15, the rice showed a remarkable inhibition. The control effect of Monochoria vaginalis and Scirpus juncoides was more than 90% under the temperature condition controlled artificially. However, Echinochloa oryzicola was controlled 40% at $27.5^{\circ}C$, which is a high temperature condition. In rice fields with different transplanting times, annual weeds except for E. oryzicola were highly controlled by 90% or more regardless of the time of transplan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