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볶음방법에 따른 치커리의 화학성분 변화

        박채규,전병선,김석창,장진규,이종태,양재원,심기환 한국약용작물학회 2003 한국약용작물학회지 Vol.11 No.3

        국내산 치커리 뿌리를 가공식품으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 조사의 일환으로 여러 조건에서 볶음처리 하였을 때 화학성분을 조사하였다. 생치커리는 수분이 76.34%, 탄수화물 20.50%, 조단백질이 1.03%, 조지방 0.13%, 조섬유 1.02%, 회분 0.98% 이었으며, 건조치커리는 수분이 3.44%, 탄수화물 79.52%, 조단백질이 5.63%, 조섬유 5.51%, 회분 4.85%, 조지방 1.05%로 나타났다. 볶음조건에 따라 치커리의 수분함량은 130℃와 140℃에서는 볶음시간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였으나, 150℃와 160℃에서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모든 볶음온도 40분에서는 1.00%이하로 나타났다. 조단백질함량은 볶음온도와 볶음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160℃, 40분에서는 1.60%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환원당 함량은 130℃와 140℃에서 볶음시간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160℃에서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무기물은 K는 2,705.1~2,735.5mg%, P는 175.8~159.3mg%, Ca는 152.7~157.3mg%, Mg는 76.2~79.6mg%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볶음조건에 따른 함량 변화는 없었다. 볶음 조건에 따른 지방산의 함량변화는 지방산은 총 13종을 동정 확인되었으며,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palmitic acid, oleic acid이며, 볶음조건에 따른 지방산의 조성비는 큰 차이가 없었다. Chicory roots were roasted under various conditions. For roasted chicory roots, chemical compositions were investigated to develop new food materials from Korean chicory roots. Raw chicory root consists of 76.34% of moisture, 20.50% of nitrogen free extract, 1.03% of crude protein, 0.13% of crude fat, 1.02% of crude fiber and 0.98% of crude ash. Dried chicory root contains 3.44% of moisture, 79.52% of nitrogen free extract, 5.63% crude protein, 5.51% of crude fiber, 4.85% of crude ash and 1.05% of crude fat. Moisture content of chicory root decreased gradually with the increase of roasting time at 130℃ and 140℃, while decreased significantly by roasting at 150℃ and 160℃ and dropped below 1.0% in the 40 min. of roasting at all roasting temperatures tested. Crude protein content decreased with an increase of roasting temperature and time. Crude protein content decreased by 1.60% after 40 min of roasting at 160℃. The amount of reducing sugar decreased gradually as roasting time at 130℃ and 140℃ increased. It reduced remarkably roasting at 160℃. Crude protein and reducing sugars seemed to be consumed as substrate for maillard reaction. 2,705.1~2,735.5mg% of K, 175.8~179.3mg% of P, 152.7~157.3mg% of Ca and 76.2~79.6mg% of Mg were contained in chicory root and theirs contents were not changed in different roasting conditions. Thirteen fatty acid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chicory root and it among them linoleic, linolenic, palmitic and oleic acids were the major components. Saturated fatty acid content was 22.81% and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was 77.19% and fatty acid composition was not changed by roasting under different conditions.

      • KCI등재

        대복, Gomphina veneriformis의 정자형성과정 및 정자 미세구조

        박채규,박정준,이정용,이정식,Park, Chae-Kyu,Park, Jung-Jun,Lee, Jeong-Yong,Lee, Jung-Sick 한국현미경학회 2002 Applied microscopy Vol.32 No.4

        우리나라 동해안에 가장 많이 서식하는 조개류인 대복의 정소구조와 정자형성과정을 광학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복의 정소는 소성결합조직으로 구성된 다수의 정자형성 소낭을 가진다. 동일한 정자형성 소낭 내에서는 여러 단계의 생식세포들이 관찰되었다. 정원세포들은 정자형성 소낭벽에 부착되어 있으며, 커다란 핵과 뚜렷한 인을 가진다. 정모세포에서는 연접사복합체와 골기체의 발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세포의 핵은 전자밀도가 높은 과립상의 염색질로 구성되며, 정자변태과정 동안에 핵의 응축 및 첨체와 편모의 형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정소 내에서 완숙 정자들은 다발을 형성하고 있으며, 두부, 중편, 미부로 구성되어 있었다. 두부의 길이는 약 $8.5{\mu}m$로, 첨체부와 핵 부위로 구분된다. 첨체는 길이 약 $1.1{\mu}m$의 총알형태였다. 두부와 첨체 사이에서는 미세섬유로 구성된 첨체기둥이 확인되었다. 중편에는 4개의 미토콘드리아를 가지며, 꼬리의 횡단면은 "9+2"의 구조를 나타냈다. Spermatogenesis and sperm ultrastructure are investigated by means of light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in the equilateral venus, Gomphina veneriformis which is dominant bivalve in the east coast of Korea. In the active spermatogenic season, testis consists of numerous spermatogenic follicles which is contains germ cells in the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 The spermatogonia attached to spermatogenic follicle wall and has a large nucleus with electron-dense nucleolus. The spermatocytes are characterized by appearance of synaptonemal complex and well-developed Golgi complex. Nucleus of spermatid consists of numerous heterogeneous granules with high electron density. Karyoplasmic condensation, acrosome and flagellum formations are observed during spermiogenesis. Testicular matured sperms of sperm bundle consists of head, midpiece and tail. The head is about $8.5{\mu}m$ long and comprises a long nucleus and a bullet-like acrosome ($8.5{\mu}m$ in length). Acrosomal rod of microfilaments is observed in the lumen between nucleus and acrosome. The midpiece has four mitochondria. And tail has the typical '9+2' microtubule system.

      • KCI등재

        Ni-MH 2차 전지의 저온특성에 미치는 전해액의 영향

        박채규,심종수,장민호,박충년,최전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 2007 한국수소 및 신에너지학회논문집 Vol.18 No.3

        The Ni-MH batteries for HEV and industry are normally placed in outdoor, consequently causing an too weak discharge power problem due to a cold weather specially in winter time. In order to improve the low temperature performances of the Ni-MH battery for HEV and industrial uses, it has been investigated the low temperature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Ni-MH battery with various electrolytes at -18℃. The summary of experimental results are as follows. The low temperature characteristics depended strongly on the characteristics of electrolytes.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electrolytes were too high or too low the low temperature performance was poor. The best electrolyte was composed of KOH 6.2M+LiOH 1.2M. An addition of RbOH or CsOH to electrolyte improved the low temperature performance. The best total concentration of electrolyte composed of KOH, NaOH and LiOH was about 7M.

      • [산ㆍ학ㆍ연 논단] 볶음처리에 따른 치커리의 유리당과 아미노산의 변화

        박채규(Chae-Kyu Park),전병선(Byeong-Seon Jeon),김나미(Na-Mi Kim),권오근(Oh-Geum Kwon),심기환(Ki-Hwan Sh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식품산업과 영양 Vol.9 No.3

        볶음조건에 따라 치커리의 유리당 함량은 무처리구에서는 sucrose 4.78%, fructose 0.81% 및 glucose 0.53%이었는데 볶음온도가 증가하고 볶음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여 160℃ 40분 볶음처리구에서는 sucrose 2.21%, fructose 0.35% 및 glucose 0.20%로 전체 유리당 함량으로는 약 45.10% 잔존하였다. 아미노산은 18종이 분리되었고, 그 중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arginine이 504.49 ㎎%, asparagine이 500.78 ㎎%, glutamic acid가 97.82 ㎎%이었고, 총아미노산 함량은 arginine이 676.7 ㎎%, glutamic acid가 583.9 ㎎%, aspartic acid가 319.2 ㎎%, proline이 297.4 ㎎%로 다른 것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볶음온도가 증가하고 볶음시간이 길어질수록 아미노산의 함량은 감소하였고, 그 정도도 다르게 나타났다. 전체함량으로 보면 유리아미노산의 경우 무처리구에서는 1728.6 ㎎%이었던 것이 160℃ 40분 처리구에서 4.37 ㎎%로 약 0.25%만 잔존하였고, 총아미노산의 경우 무처리구에서 3159.4 ㎎%이었던 것이 160℃ 40분 볶음처리구에서는 1732.5 ㎎%이었다.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치커리 물추출물이 흰쥐의 혈청중성지질 및 Microsomal Triglyceride Transfer Protein (MTP) 활성에 미치는 영향

        박채규(Chae-Kyu Park),차재영(Jae-Young Cha),전병선(Byeong-Seon Jeon),김나미(Na-Mi Kim),심기환(Ki-Hwan Sh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9 No.3

        치커리 물추출물은 실험동물의 지질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영향에 대한 대사기작은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볶음처리한 치커리(roasted-chicory) 또는 볶음처리하지 않은 치커리(unroasted-chicory)로부터 물추출한 치커리 추출물을 5% 수준으로 식이에 첨가하여 SD계 수컷흰쥐에 2주간 자유 섭취시켜 혈청 및 간장의 지질 농도와 간장 MTP(microsomal triglyceride transfer protein)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체중 증가량, 장기 중량 및 식이 섭취량은 각군간의 유의적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혈당치는 대조군과 볶음처리한 치커리군에 비교해서 볶음처리하지 않은 치커리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혈청의 TG농도는 치커리 첨가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혈청 총 콜레스테롤, 인지질 및 유리지방산 농도와 간장 지질농도는 실험군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치커리 첨가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간장에서 중성 지질 합성의 조절효소로 알려진 PAP(phosphatidate phosphohydrolase) 활성은 각 실험군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중성지질-rich 리포단백질의 합성, 분비에 필수적인 간장 MTP 활성은 대조군에 비교하여 치커리군에서 현저하게 저해되었다. 간장 MTP 활성과 혈청 중성지질 농도의 사이에 높은 정의상관관계(r=0.81)가 인정되어, 본 실험에서 치커리 뿌리추출물에 의한 혈청 중성지질 억제효과는 간장 MTP 활성의 저해에 기인하는 것으로 시사되었다. The water-soluble extracts of chicory root have been found to affect the metabolism of the lipids in experimental animals. However, the precise mechanism of this effect has not been fully clarified. Effects of water-soluble extracts from roasted-chicory or unroasted-chicory (5%, w/w) on the concentrations of serum and liver lipid and the activity of liver microsomal triglyceride transfer protein (MTP) were investigated with Sprague-Dawley male rats. Body weight gain, tissue weights and food intak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the dietary groups. Serum glucose concentration was markedly higher in the unroasted-chicory group than in the control and the roasted-chicory group. Serum concentration of triglycerid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both chicory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but this effect was more pronounced in the unroasted-chicory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the serum concentrations of total cholesterol, phospholipid and nonesterified fatty acid and liver lipid concentration while HDL- cholesterol tended to increase in the both chicory groups. Liver phosphatidate phosphohydrolase (PAP), a rate-limiting enzyme of triglyceride synthesis, was not consistently modified among the dietary groups. However, Liver MTP activity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both chicory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Liver MTP activity correlated with serum triglyceride concentration. In conclusion, th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hypotriglyceridemic effect of chicory root water-soluble extracts was associated with the inhibition of liver MTP a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