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기후변화에 대응한 효율적 수자원 관리 - 수질오염 개선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박창근 ( Changkeun Park ),조동인 ( Doingin Cho ),최가영 ( Ga Young Choi ),송재령 ( Jae Ryoung Song ),이종욱 ( Jongook Lee ),박지영 ( Jiyoung Park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19 지역개발연구 Vol.51 No.2

        본 연구는 지구온난화로 기후 불확실성이 증가함에 따라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를 위한 경제적 손실산정 접근법을 활용하여 미래 수자원 관리에 대한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였다. 특히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이 지역 또는 계층 간에 차이가 날 수 있으며, 기후변화 영향이 사회 및 자연생태계 시스템에 미치는 파급력은 점증하는 경향이 있기에 지역별로 받는 영향을 보다 세분화하는 작업을 통해 수자원 대책에 대한 비용분담과 이에 대한 효과를 고려한 수자원 관리 전략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수질오염 관리 대책의 최신 연구 동향을 개관하고 미래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 가능한 수질오염이 초래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새로운 거시경제모형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상승과 강우유형 변화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는 수질오염을 개선하기 위해 투입되어야 할 산업별 수질 개선비용을 기후 시나리오별(RCP 4.5, 8.5)로 추정하고 미래시점인 2030년과 2050년의 지역간 경제모형구축을 통해 파급효과 분석을 실시하여 향후 수질오염 개선비용을 지역이나 산업별로 산정할 때 유효한 기준이 되도록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탄력적 산업연관 방법론으로 미래시점 산업구조 변화를 예측하고 이를 반영한 모형으로 수질 관리 대책을 평가하면 장기적으로 나타날 기후변화 영향의 잠재적 편익과 비용을 현재 시점에서 조망할 수 있게 되어 현실적인 수자원 관리 대책을 지역별로 수립하고 시행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new criterion to be applied for the future water management, using a new economic model that measures economic losses associated with climate change and the future uncertainty stemming from the climate change. Especially, because climate change affects regions and classes differently, it is important to account for social, economic and natural systems both globally and locally, which ensures the cost allocations to each area and social classes in terms of water management.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introduced new studies conducted in the water management field associated with climate change and applied a new macro-economic model, flexible input-output model (FlexIO), that measures economic losses stemming from water pollution and the cleaning cost after combining with RCP scenarios (4.5 and 8.5) and two future years of 2030 and 2050 multi-regional input-output models. The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valid information on the cost allocation needed for water cleaning.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preparing proper, realistic financial allocation at the national and local levels at the current point for water management by measuring the future benefit of water management by sector and by region.

      • KCI등재후보

        급성 대장염과 유사한 신종코로나 감염 1예

        박재석 ( Jaeseok Park ),정재권 ( Jaekwon Jung ),김현수 ( Hyunsoo Kim ),박창근 ( Changkeun Park ),김대진 ( Daejin Kim ),이재광 ( Jaekwang Lee ),류한준 ( Hanjun Ryu ) 대한내과학회 2021 대한내과학회지 Vol.96 No.2

        COVID-19는 주로 발열 및 호흡기 증상을 보이는 신종 감염 질환이다. 그러나 저자들은 전형적인 급성 대장염과 유사한 복통 및 설사를 나타내는 COVID-19에 감염된 증례를 경험하였다. 그러므로 COVID-19의 세계적 유행이 발생하고 지역사회 감염이 확대되는 현재 상황에서 병인이 명확하지 않는 설사와 임상 경과와 일치하지 않는 발열이 발생한다면 COVID-19에 의한 장염일 가능성을 배제해야 함을 강조하는 바이다. On 11 February, 2020,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announced that COVID-19 was a novel coronavirus disease first detected in Wuhan, Hubei Province, China. COVID-19 is caused by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The complete clinical picture is not fully known. Illness ranges from mild to fatal. The common symptoms include fever, cough, and dyspnea usually developing 2-14 days after exposure. However, diarrhea was present in a few patients with COVID-19. We report a case of COVID-19 mimicking acute colitis. (Korean J Med 2021;96:143-146)

      • 기후변화 적응체계의 신뢰도 평가 방법론 연구

        조동인(Dongin Cho),박창근(ChangKeun Park),박지영(Jiyoung Park),강진원(Jinwon Kang) 한국기술혁신학회 2019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9 No.5

        현재 국제사회에서 논의되는 중요한 의제 중 하나로 기후변화 문제를 들 수 있다. 기후변화로 발생하는 영향을 지역수준에서 평가하고 그에 따른 적응대책을 적절하게 수립하기 위해서는 기후변화 대책에 대한 평가가 전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기후변화 적응대책 평가 방법론이 제안되고 있으나, 평가 관련 신뢰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론이 부족하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예측 시 각 지역별 및 부문별 적응대책의 평가 결과를 활용하는데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신뢰도 평가체계 방법론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정성적 혹은 정량적 방법과 함께 현실내재적 메커니즘을 활용하여 평가체계의 신뢰도 평가 모형을 개발 할 때, 신뢰도 평가가 탄력적으로 고려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통합적 평가방법론의 신뢰도 평가체계는 기후변화로 인한 다양한 대응책 평가에 대해 신뢰도를 제공하기 때문에 평가된 결과를 기후변화 적응대책에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러한 신뢰도 평가모형은 향후 기후변화 대응책의 신뢰성을 표준화해서 국내 실정에 맞는 적응정책 신뢰도 평가가 가능하게 할 것이다. 또한 한국형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 및 평가 시 과학적 근거에 기반을 둔 신뢰성을 제공한다는 측면이 본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Climate change is one of most dominantly discussed issues in the world. Evaluating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at a regional level and setting up an appropriate adaptation policy for issues associated with climate change require a proper evaluation process on the climate change adaptation projects implemented already. Although various evaluation approaches to climate change adaptation programs have been proposed, it is rare to find a proper systematic approach to evaluating the reliability on climate change adaptation programs. Under the current situation on the system to evaluate climate change adaptation progra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theoretical and standardized evaluation system on the reliability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programs. The new approach suggested in this paper will be appropriate when requiring a confidence level for adaptation programs that are especially localized and categorized. Using various quantified and qualified evaluation methods with the inherent reality mechanism, we provide a conceptual framework to measure the reliability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programs with the flexible adjustment process. Via the proposed framework,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confidence level on the results collected from the evaluation systems and construct a standardized, system-wide assement procedure toward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ies. By applying this approach for a scientific evidence on the reliability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ies, appropriate and efficient climate change adaptation programs will be properly prepared for and implemented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