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LOD 기반의 화산재 확산 모델 가시화

        박찬수,최형환,Park. Chan Soo,Choi. Hyung Hwan 한국방재학회 2013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3 No.1

        화산재해대응을 위하여 화산분화 시 화산재 확산의 다양한 조건을 분석 모델에 의해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도출된 결과물을 가시화함으로서 화산재 확산 시 피해규모 및 범위를 사전에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간대 별 격자 형태의 대용량 분석 결과물을 실시간 3차원으로 가시화하기 위해 LOD(Level Of Detail) 알고리즘을 핵심 요소로 적용한다. 최근 3차원 시각화 기술은 재해 시뮬레이션은 물론, GIS 응용 분야, 가상현실 등을 실현하기 위한 중요한 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대용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시각화를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메모리 한계성의 극복은 아직 과제로 남아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의 화산재 확산 분석 모델 데이터를 가시화하기 위해 파일 기반의 효율적은 실시간 LOD 알고리즘 개발을 수행한다. 실시간 LOD 알고리즘은 대규모 분석데이터 표현에 필요한 기하학적 연산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시간대별 격자형태의 화산재 확산 분석 모델 결과 데이터(NetCDF)의 가시화를 위해 3차원 격자데이터를 공간 분할하여 피라미드 형태의 계층적인 구조로 재구성 하는 방법을 선택한다. 또한 정규화 된 3차원 격자(Cube)는 사용자 시야를 중심으로 원활하고 사실감 있는 표현이 될 수 있도록 비 메모리 방식의 계층 구조로 블록화하여 파일 형태로 저장한다. 대용량 분석데이터는 다수의 상세도를 가지는 데이터로 변형하고 이를 상호 연결함으로서 수많은 격자를 데이터 손실 없이 표현하고 3차원 프레임 속도를 극대화 시키는 방안을 제시한다.

      • KCI등재

        프랫트러스의 디자인 구성요소 변화와 역학적 특성분석

        박찬수,이주나,Park, Chan-Soo,Lee, Ju-Na 한국공간구조학회 2013 한국공간구조학회지 Vol.13 No.2

        The design composition elements and the mechanical behavior of trusses have been investigated for Pratt trusses. As a result, it was determined that the design composition elements of the trusses consist of the composition of webs, the distance between joints, the chords profile, the depth of the truss, and the double chord composition. In addition, by analyzing models with a variation of elements, comprehensive features of structural behavior have been presented for variations of design of Pratt trusses. This is to provide more effective and useful design information on truss structure in the architectural and structural planning stage.

      • KCI등재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한 다트던지기 운동에서의 제한된 손목관절 움직임 분석

        박찬수,박종일,김광기,장익규,김태윤,이상림,백구현,Park, Chan-Soo,Park, Jong-Il,Kim, Kwang Gi,Jang, Ik-Gyu,Kim, Tae-Yun,Lee, Sang lim,Baek, Goo Hyun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13 의공학회지 Vol.34 No.2

        Wrist joints consist of irregularly shaped carpal bones and other complicated structures. Thus, evaluating the motion of a wrist joint is a challenging task. In this study, we used an infrared camera to perform a kinematic analysis of a dart-throwing motion. We measur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vement of a normal wrist and constrained wrist (wrist with a wrist glove) in the dart-throwing motion with thirty six healthy participants. We measured the ulna flexion - radial extension motion using the attached passive marker and analyzed it using Polygon software and SPSS. The pitch and yaw motions with a glove was bigger than the ones without a glove by 20 and 15 degrees,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roll motion without a glove was bigger than the one with a glove by 7 degree. Wilcoxon signed rank test (p<0.05) confirm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otion with and without a glove. It was found that the magnitude of the pitch and yaw motion with a constrained wrist joint toward radial extension in dart-throwing motion is smaller than the one with a normal wrist joint. However, a normal wrist joint showed a bigger movement in the roll direction.

      • KCI등재

        사이버전의 역량평가 개선과 역량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박찬수,박용석,Park, Chan-soo,Park, Yongsuk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9 No.5

        Recently, as the development of cyber weapons, the threat of cyber warfare has been increasing. Nations, which experienced cyber warfare already, have been damaged not only in the cyber space as well as in real war field. Therefore, each nation is constantly making efforts to prepare for cyber warfare. First of all, to prepare for cyber warfare, each nation's capability of cyber warfare should be understood. A plan of reaction of cyber warfare should be searched by comparison and analysis of capability of cyber warfare.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established methodology of capability assessment about cyber warfare, and this paper finds a better point to suggest the improvement of capability assessment about cyber warfare. This paper applies capability assessment of cyber warfare to nations, which can influence on Korea with improved capability assessment of cyber warfare.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sult of assessment, this paper deducts complementary point of Korean cyber warfare to suggest the plan to enhancing capability of cyber warfare. 최근 사이버 무기의 발전으로 사이버전의 위협이 점점 더 증가되고 있다. 이미 사이버전을 경험한 국가들은 피해가 사이버상에서만 국한 되는 것이 아니라 물리적인 피해까지 영향을 받게 되어 피해가 상당하다. 이렇기 때문에 각국은 사이버전에 대비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을 하고 있다. 먼저, 사이버전을 대비하기 위해서는 각국의 사이버전 역량이 파악되어야 하며, 비교 / 분석을 통해 사이버전 대응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사이버전의 역량평가 방법에 대해서 비교 / 분석해보고, 향상점을 도출하여 사이버전 역량 평가 개선안을 연구하였다. 개선된 사이버전 역량 평가를 통해서 한국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국가들을 대상으로 사이버전 역량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평가 결과를 비교 / 분석함으로 한국의 사이버전 역량의 보완점을 도출하여 사이버전 역량 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Bacillus amyloliquefaciens MJ-1 유래의 chitosanase 유전자의 클로닝 및 특성

        박찬수,오해근,홍순광,박병철,현영,강대경,Park Chan-Soo,Oh Hae-Geun,Hong Soon-Kwang,Park Byung-Chul,Hyun Young,Kang Dae-Kyung 한국미생물학회 2006 미생물학회지 Vol.42 No.2

        본 연구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는 chitosan oligosaccharides를 효소적 방법으로 생산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전통발효식품인 메주에서 chitosan 분해능이 우수한 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균주를 형태학적, 생화학적 및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동정한 결과, Bacillus amyloliquefaciene MJ-1으로 명명하였다. B. amyloliquefaciene MJ-1으로 부터 chitosanase 유전자를 포함하는 1,049 bp DNA 단편을 클로닝하였으며, chitosanase 유전자는 825 염기로서 274 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예상 분자랸은 30.9 kDa이었다. 클로링한 chitosanase의 homology search 결과, glucoside hydrolase family 46에 속하는 chitosanase로 추정되었다. B. amyloliquefaciene MJ-1 chitosanase 유전자를 E. coli BLR (DE3)에 도입하였으며, 1 mM의 IPTG로 chitosanase 과잉 발현을 유도하고 정제한 후, pH및 온도에 대한 특성을 조사하였다. 효소 활성의 최적 온도는 $60^{\circ}C$이었으며, $80^{\circ}C$에서도 75%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므로 내열성을 가진 효소로 추정되었다. 한편, 최적 pH는 5.0 이었으며, pH $5{\sim}7$사이에서 80% 이상의 높은 활성을 유지하였다. In order to develop chitosanase for the production of chitosan oligosaccharides, a chitosanase-producing bacterium was isolated from the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Meju, and identified as Bacillus amyloliquefaciene MJ-1. The cloned chitosanase gene, 825 bp in size, encoded a single peptide of 274 amino acids with a estimated molecular mass of 30.9 kDa.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showed significant homology with microbial chitosanases. The recombinant chitosanase was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upon induction with isopropyl-D-thiogalactopyranoside, and purified using $Ni^{2+}-NTA$ agarose column chromatography. The maximal activity of the recombinant chitosanase is at pH 5.0 and $60^{\circ}C$. The recombinant chitosanase is stable between pH 5.0 and pH 7.0 at $37^{\circ}C$ for 30 min, and more than 75% of the activity still remain at $80^{\circ}C$ for 30 min incubation.

      • KCI등재

        3차원 영상을 이용한 다트 던지기 운동에서의 주상골, 유두골, 월상골의 움직임 분석

        박찬수,김광기,김유신,정창부,장익규,이상림,오수찬,유도현,백구현,Park, Chan-Soo,Kim, Kwang-Gi,Kim, Yu-Shin,Jeong, Chang-Bu,Jang, Ik-Gyu,Lee, Sang-Lim,Oh, Su-Chan,Yu, Do-Hyun,Baek, Goo-Hyun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11 의공학회지 Vol.32 No.2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otion of the scaphoid, capitate, and lunate during dart-throwing motion by three-dimensional modeling. Five series of CT images of five normal right wrists were acquired from five motion steps from radial extension to ulnar flexion in the dart-throwing motion plane. Segmentation and three-dimensional modeling of bones from CT images was performed using Analyze. Distances among centroids of the scaphoid, capitate and lunate and angles between principal axes of three carpal bones were calculated to analyze the motion by using MATLAB. As the wrist motion changed from radial extension to ulnar flexion, the distance between two adjacent bones decreased. The scaphoid and lunate rotated less than the capitates during dart-throwing motion. This study reports the Three-dimensional in vivo measurement of carpal motion using CT images.

      • KCI등재

        『용비어천가』 주해문의 ‘事見上’ 유형 고찰

        박찬수(Park Chan soo) 어문연구학회 2016 어문연구 Vol.90 No.-

        이 논문은 『용비어천가』에 본주 88회, 협주 포함 총 105회 나오는 ‘事見上’을 고찰하여 『용가』의 정확한 해석방법의 일환으로 제시하고자 집필하였다. 『용가』에는 125장의 노래중 제1·2장을 제외한 모든 장에서 배경사화를 볼 수 있다. 이는 노래의 의미를 이해하는데 배경사화의 역할이 그만큼 중요하다는 것을 방증한다. 노래를 제작하면서 배경사화의 중첩을 방지하고자 사용한 기법이 바로‘事見上’이다. ‘事見上’은 『용가』의 주요한 서술 방식 중 하나로, 이전의 관용적인 용법과는 달리 다양하게 활용되었다. ‘事見上’이 처음 보이는 『용가』 제4장의 ‘狄人與處事見上上第三章也’ 협주에는 ‘事見上’이 노래의 모든 배경사화가 이미 제시됐다면 해당 장의 한시 첫 구를쓴 ‘●●●●+事見上+上第●章也’의 형식으로, 노래 일부의 배경사화가 앞에 서술됐을 때 해당되는 어구나 절을 발췌한 ‘●●+事見上+上第●章也’와 같은 형식으로 유형을 나누어 활용되었음을 밝혔다. 이러한 변별점을 토대로 전자는 사화일치형으로, 후자는 사화부분일치형으로 명명하였다. 사화일치형은 ‘事見上’ 진술문만으로 주해가 종료되고, 사화부분일치형은 ‘事見上’ 진술문 앞뒤에 ‘〇’ 표기와 함께 다른 사화가 이어진다는 외형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그동안 연구자들도 혼란을 보이기도 했다. ‘事見上’의 유형을 분석한 결과, 사화일치형은 총 77회의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사화부분일치형은 총 11개장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개별사화 단위에서도 ‘事見上’은 활용되었는데 스토리와의 상관성에 따라 사화강화형과 사화부가형으로 구분된다. ‘~~(본주)~~事見上第●章’ 형태로 8회 보이는 사화강화형은 사화의 서술 중에 스토리와의 긴밀한 관련을 가질 때 활용하였다. 스토리의 부가적인 설명이 필요할 때 활용한 사화부가형은 ‘~~●●●●(본주)~~●●●●事見上第●章’의 형태로 9회 보인다. 그리고 주해의 분량이 많은 장에서 보조적인 사항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활용한 18회 보이는 ‘事見下’는 사화보조형으로 분류하였다. 이처럼 다양한 유형의 ‘事見上’은 사화 축약, 정보 제시, 장간 유기적 연결, 각인과 집중 유도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事見上’은 배경사화의 존재를 명확히 지정하여 노래의 배경에 대한 독자들의 자의적인 해석을 경계하고, 배경사화를 최대한 자주 제시하여 조선의 개국이 천명에 있음을 각인시키려는 세종의 의도에 부합하는 기법이며, 『용가』의 권위와 존엄성을 지키는 보루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事見上’은 주해문 서술에 핵심적인 기법이며, 『용가』의 정확한 해석에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하겠다. In 『Yongbieocheonga(Yong-ga)』, ‘事見上’ appears 105 times. ‘事見上’ was used for prevention for repeating of historical story, which was made for understanding Korean Song or Chinese Poem. ‘事見上’ means ‘Refer to front pages’, which had been used for annotation of the Scriptures or historical books. However, ‘事見上’ in 『Yong-ga』 has differences from general ones in others. Therefore, in the Chapter 4, it is analysed the details about the small annotation of ‘狄人與處事見上上第三章也’.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s. In the Chapter 4, ‘~~事見上上第●章也’ sentence is explained that there are two types. If all historical story of song exist historical story in front Chapter, this is the match type of historical story. And there are not any other historical stories in context. If partial historical story of song exist historical story in front Chapter, this is the partial match type of historical story. And there are ‘~~事見上上第●章也’ and other historical stories with ‘〇’ in context. Therefore, it can be classified into the match and the partial match type. In addition, ‘事見上’ which was utilized in historical story is not explained in the Chapter 4. The reinforcement type of historical story as ‘~~(big annotation)~~事見上上第●章’ is written when the understanding about the details or important situation for the context in the historical story. The added type of historical story as ‘~~●●●●(big annotation)~~●●●●事見上上第●章’ is written when the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cases, characters, management system, and so on, is offered without being directly related to historical story. And the ancillary type of historical story as ‘事見下’ appears 18 times. ‘事見下’ was used for reference details of back pages of the chapter which has large amount. ‘事見上’ in 『Yong-ga』 has various functions such as contraction of the historical story, and control information, and so on. And ‘事見上’ warns readers about arbitrary analysis or misunderstanding of historic story and song. Therefore, ‘事見上’ has significance in not only the guidance for correct understanding but also the bastion of the dignity and the authority of 『Yong-ga』. In conclusion, ‘事見上’ is an useful method for writing annotations and reading. Therefore, the explanation about ‘事見上’ is the same with the explanatory notes for reading correc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