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재생을 통한 화랑대역사관 디자인 개발

        박진호 ( Park¸ Jinho ),이주형 ( Yi¸ Joohyo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6

        (연구배경 및 목적) 서울시는 경춘선 복선 전철화사업이 2010년에 마무리됨에 따라 기존 경춘선의 성북역에서 서울시 경계까지 약 6.3㎞ 폐선부지구간을 공원화하기로 하였다. 이 사업은 2013년부터 전체구간을 3단계로 나눠‘경춘선숲길공원 조성사업’으로 명명되어 공사가 진행되었다. 2017년 하반기부터 진행된 3단계 사업에서는 성북역과 육사삼거리에서 구리시 경계까지의 철도 및 주변공간을 공원화하기로 하고 화랑대역사(驛舍)를 전시관으로 변경하도록 계획하였다. 본 디자인제안에서는 화랑대역을 활용하여 역사적 가치를 보존하며 경춘선이 지닌 의미를 방문객과 공유할 수 있는 전시관을 계획하였다. (연구방법) 디자인의 범위는 크게 건축 공간부분과 내부전시계획부분으로 나뉜다. 건축 공간에서는 기존의 역사(驛舍)를 전시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개보수하고 마감재를 변경하였다. 전시계획 부분에서는 현황 및 사례분석, 전시개념설정, 전시 시나리오, 공간연출과 세부적인 전시물 제작설치 방법을 제안하였다. (결과) 현황 및 사례 분석을 통해 전시기본방향을 첫째, 실물전시 중심의 연출과 원형의 보존 둘째, 공감각적 연출을 통한 역의 과거 모습 표현 셋째, 사람들의 이야기와 기억의 표현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기본방향을 전제로 전시개념을‘간이역, 시간의 향기로 물들다’로 설정하고 화랑대역의 역사, 화랑대역의 기억과 화랑대역과 사람들의 이야기로 공간 시나리오를 전개하였다. 건축 리모델링 계획은 크게 세 가지 방향에서 접근하였다. 첫째, 색채, 마감재 및 공간의 부분요소가 전체적인 조화를 이루도록 하였다. 둘째, 여행의 흥겨운 감정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공간을 연출하였다. 셋째, 비대칭 삼각형 지붕구조의 조형성을 그대로 살릴 수 있도록 하였다. 구체적인 전시계획으로서 첫 번째 존인‘화랑대역, 우리의 역사와 함께하다’는 화랑대역사관에서 가장 큰 공간인 대합실을 활용하여 관람객이 역과 관련된 문학과 음악자료를 읽고 들어봄으로써 그 당시 이 역을 이용했던 사람들의 느낌과 감정을 이해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두 번째 존‘화랑대역, 우리의 기억을 담다’는 화랑대역의 공간과 관련된 이야기를 주제로 하며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화랑대역의 건축적 특징과 현재의 모습이 유지되기까지의 복원과정을 모형으로 설명하였다. 세 번째 존‘화랑대역, 수 많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다’에서는 공간 중앙에 역의 플랫폼과 승강장을 재현하여 분주한 모습을 생동감 있게 표현하였다. (결론) 본 디자인제안에서는 ‘경춘선숲길공원 조성사업’의 마무리 과정으로서 기존 화랑대역을 활용하여 화랑대역사관으로 변화시켰으며 건축물의 개보수와 전시콘텐츠개발 부분으로 나누어 접근하였다. 향후, 지속적 관람객 유입을 위해서는 전시관 내부와 경춘선숲길공원의 외부시설물을 연계하여 체험할 수 있는 행사가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또한 화랑대역사관 주변공원을 체험형 테마파크로 변화시키고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2010, the double electric track of Kyungchun railroad was finished. Seoul municipal authority decided to develop a park that the area from Seongbuk Station to border of Seoul. This project was proceeded by three stages and named as ‘Developing project of Kyungchun railroad forest park’from 2013 to 2017. In 2017, the third stage of project included that not only making park the nearby rail road from Seongbuk Station to a crossing with the three corners of Korea Military Academy, but changing Hwarangdae Station to a historical museum. This study proposed a plan for preserving historical value of the station and sharing the significance of Kyungchun railroad with visitors. (Method) The overall design project was divided by two parts; planning architectural space and exhibition contents. For planning architectural space, exiting station space was partially renovated and applied finishing materials to change the space as a museum. For planning exhibition contents, Analysing existing circumstances, establishing concept, exhibition scenario, producing space, and plan for fabricating media were proposed for the historic museum. (Results) By analyzing circumstances and example works, the directions of project was established by which are to preserve the archetype by displaying real objects, to produce the past station features by synesthetic presentation and to describe stories and memories of people. This study proposed not only the exhibition concept ‘Station, saturated by scent of time’ as the design directions, but spatial scenario with history, memories, and people of Hwarangdae Station. There were three ways to renovate the exiting architecture of the station. Most of all, color, material, and spatial factors are well matched with overal architectural structure. The second, exhibition space is well produced to make visitors being felt the hilarious atmosphere. The last, asymmetric roof structure is maintained to presenting unique configuration. The exhibition planning details are compromised as three parts. Renovated waiting lounge, first exhibition zone ‘Hwarangdae Station is holding our history’is the largest space. Visitors are able to understand the feeling and emotion of passengers through watching literary and musical items. The next zone ‘Hwarangdae Station has our memories’focused on architectural space that is made by a scale model and registered as a cultural property. The last zone ‘Hwarangdae Station shows stories of passengers’ described vivid and packed scenary of platforms in the center of the museum. (Conclusions) This study approached design in two parts which are architectural reconstruction and exhibition scenario to change the exiting station as a historical museum. To attract visitors constantly, experiencing events relevant to external facilities are being developed. In addition, the surrounding park of historical museum is needed to change as a theme park and to provide various hands-on program for children.

      • KCI등재

        무기체계 3차원 건물표적에 대한 간이 파괴효과분석 방법론 연구

        박진호,최상영,김영호,Park, Jinho,Choi, Sangyeong,Kim, Yeongho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15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Vol.24 No.3

        In order to use missiles more effectively, assessing methodologies was advanced about weapon effects for various target types. We tried to find out the most effective analysis methodologies for missiles to attack 3 dimensional building target's and analyzed adaptedness as an assessing methodology. There are EFD (Expected Fractional Damage) and SSPD (Single Sortie Probability of Damage) methodologies to assess building target damage. In order to calculate effectiveness we used input parameter such as size of the target and CEP (Circular Error Probable), MAE_bldg (Mean Area of Effects for Building) of weapons and impact angle as encountering condition between the target and the missile. We compared EFD and SSPD, in order to analyze adaptedness as a effective methodology by CEP and MAE. The result was that EFD methodology was more adaptive to assess 3 dimensional building targets by missile systems than SSPD. 무기체계를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다양한 표적 유형별로 무기효과 평가방법이 발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건물표적에 대한 공격시 파괴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론을 찾고자 하였다. 가능한 건물표적에 대한 파괴효과 평가 방법에는 기대손실파괴확률(EFD)과 단발명중파괴확률(SSPD)이 있다. 여기에 건물표적의 크기, 무기체계 원형공산오차(CEP), 건물평균유효파괴면적(MAE_bldg), 건물표적과 유도무기 조우조건인 입사각을 입력변수로 하여 무기체계의 파괴효과를 계산하였다. 무기체계 특성 CEP와 MAE_bldg의 변화에 따른 EFD와 SSPD 결과를 비교하고 입사각의 변화량과 표적건물 높이에 따른 파괴효과를 비교함으로써 3차원 건물표적에 대한 적합성을 분석하였다.

      • KCI등재

        유도분극을 활용한 해저터널 굴착면 전방 지반상태 예측: 실내실험

        박진호,이강현,이성원,유영무,이인모,Park, Jinho,Lee, Kang-Hyun,Lee, Seong-Won,Ryu, Young-Moo,Lee, In-Mo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15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17 No.3

        해저터널 건설 중 터널 굴착면 전방에 존재하는 고수압 조건의 함수대 (또는 포화상태의 파쇄대)의 상태를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터널 안전시공의 핵심적인 요소이다. 이 연구는 해저터널 굴착면에서 전방지반의 상태를 예측하기 위해 유도분극(Induced Polarization, IP) 탐사의 활용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모래지반에서의 충전성(chargeability)을 산정하기 위해 간극모델을 제안하고, 충전성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사이의 관계식을 유도하였다. 관계식을 사용하여 매개변수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입자 사이의 간극 중 좁은 간극($r_1$)의 크기와 간극수의 염도가 충전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실내실험으로 유도분극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지반조건을 파악하기 위해 간극수의 염도와 파쇄대의 두께 변화 그리고 가우지(gouge) 존재 여부에 따른 충전성과 전기비저항의 변화 추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파쇄대의 절리 사이에 가우지가 충진된 경우, 해수조건에서도 충전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가우지가 좁은 간극($r_1$)의 크기를 감소시키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In subsea tunnelling, prediction of the fractured zone (or water bearing zone) ahead of tunnel face saturated by seawater with high water pressure has been a key factor for safe construction. This study verified the feasibility of utilizing induced polarization (IP) survey at tunnel face for predicting the ground condition ahead of the subsea tunnel face. A pore model was proposed to compute chargeability in granular material, and the relationship correlating chargeability with the variables affecting the chargeability was derived from the model. Parametric study has been performed on the variables to figure out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affecting the chargeability. The results of the parametric study show that the size of narrow pores ($r_1$) and the salinity of pore water a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n chargeability. Laboratory tests were conducted on various types of ground condition by changing the salinity of pore water, the thickness of the fracture zone and the existence of gouge (weathered granite) within the joints of the fractured zone to figure out the effect of the ground characteristics on the IP phenomenon. Test results show that the chargeability of the fractured zone saturated by seawater increases if the joints in the fractured zone are filled with gouge since the infilled gouge will decrease the size of narrow pores ($r_1$).

      • KCI등재

        기록관의 사용자 중심 전시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박진호 ( Park Jinho ),이주형 ( Yi Joohyo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1

        (연구배경 및 목적) 공공기록관리의 발전 정도는 민주주의 국가의 모습을 가늠하는 하나의 척도이다. 2006년에 개관한 외교 사교관은 일반인에게 최초로 공개한 특수기록관으로서 외교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에서 직접 외교활동을 학습할 수 있다는 경쟁력이 있다. 하지만 시설개선이 없이 운영되고 있어 전시시설의 낙후, 연출방식의 진부화로 현재 운영하는 교육프로그램의 질과 보유하고 있는 외교 사료의 가치에 비해 낮은 수준의 전시 서비스가 제공 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외교사료관의 시설개선안을 제안하는 것을 시작으로 기록관 설립과 운영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방법) 현황분석으로 외교사료관 운영방식과 문화활동 제공의 공간 범위를 명확히 하고, 최근 건립되고 있는 정부 부처 및 공공기관의 기록관 사례분석을 통해 대중적 인식을 높이며 다른 기록관을 선도할 수 있는 활동프로그램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외교사료관의 실정에 맞는 공간 개선 방향을 제시하여 시설 개편에 적용하였다. (결과)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을 연계하는 '이용확장서비스’의 제공으로 문화적 활동을 다각화하여 사용자 중심 기관으로 시설을 전환한다. 이를 위한 모델로 라키비움을 제안하였다. 외교사교관이 보유한 기능과 자원을 연계하여 관람객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개방형 서고와 체험실, 기획전시실을 신설하고, 일반 관람객이 이용 가능한 공간 범위를 지하 1층과 지상 2층의 일부 영역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1단계, 지하 1층에 청소년 타겟 체험시설과 기획전시실을 구축하고, 2단계로 지상 1층의 상설전시실을 전면개편, 공용공간을 재정비하며, 마지막 3단계에서 지상 2층에 개방형 서고를 구축하여 시설 통합 견학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전시영역, 열람영역, 교육영역, 체험영역, 수장영역, 공용영역으로 명확히 구분되는 시설의 구획에서 벗어나 공간 위계의 변화로 서비스 제공의 범위가 확대될 것을 기대하였다. 체험실은 청소년에게 외교의 꿈과 비전을 심어주는 곳을 목표로 국제회의 가상체험을 할 수 있는 ‘국제회의장’을 연출하였다. 상설전시실은 외교 역사뿐만 아니라 외교부의 업무와 최신 이슈 등 외교부 활동의 가치를 포괄적으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개편하여 외교사료관의 성격을 구체화하였다. (결론) 이처럼 기록관의 활동프로그램을 사용자 중심으로 전환하는 것은 한 장소에서 다양한 정보물을 제공받으려는 최근 문화정보 이용자들의 요구에 부합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다종다양한 사설 기록관이 건립되고 있는 상황에서 기록관의 건립 방향성과 전시계획에 본 활동프로그램 제시안이 가이드라인으로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Public interest in functional and eco-friendly architecture is rapidly increasing, and accordingly, the introduction of an atrium in sustainable aspects of architecture for various purposes is gaining popularity. An atrium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space in an environment-friendly way, bringing in natural light, serving as a buffer between indoor and outdoor spaces, and helping with natural ventilation. Based on these sustainable functions, the atrium offers comfort to indoor spaces and plays an active and controllable role for external natural elements. However, if in the initial stage of volume design, the size of the atrium is disarranged, it could give rise to a number of problems such as extreme overheating in the summer, increased cooling load, and condensation. Nevertheless, in order to address these issues, if steps are taken to control the inflow of light and solar energy by installing shades or blinds, it does not realize the benefits of the atrium, while the cost of installing additional devices increases. Studies on atrium volume design are relatively incomple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design guidelines as basic research data on ways to improve the cooling load and lighting energy by adjusting them so as to increase the benefits of the atrium by bringing in proper lighting through the adjustment of atrium volumes. (Method) Taking into consideration previous studies, the study focuses on understanding the atrium, definition of terms, analysis of functional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s, and through the Ecotect program, the performance simulation of light collection is conducted and the guidelines are proposed. (Results) It is desirable to plan for the readjustment of the atrium in order for it to become efficient and to bring in as much light as possible into the room, while the long-range atrium on the inter-Korean axis has little effect on light inflow if it is less than 1:6 and the long-sided atrium should have a ratio of more than 6 meters. If the opening area is 1-36 m2, the 6-meter-high atrium, which reduces the average value of DF to the lowest, is the most efficient plan. If the height of the long atrium on the east and west axes is lower, light inflow is reduced by an average of about 3 percent. Lower height and a longer atrium are favorable for proper light inflow. A long atrium helps in easier light inflow than the north and south axes, while a higher atrium on the north and west axes does not affect light in flow. (Conclusions) Through simulation results of this study, the guidelines of the early planning phase of the atrium volume design are presented, thus provided basic data for guidance.

      • CoSlide 협업 시스템을 위한 일정관리 도구 설계

        박진호(JinHo Park),신원준(WonJun Shin),김성훈(SeongHune Kim),이명준(MyungJoon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4 No.1D

        CoSlide 협업 시스템은 CoSlide 서버와 CoSpace 클라이언트로 구성된다. CoSlide 서버는 시스템 사용자들의 자원 공유를 지원하는 Jakarta Slide 웹데브 서버의 확장으로서 협업 구성원들 간의 자원 공유를 위한 그룹작업장을 지원하며, CoSpace 클라이언트는 CoSlide 서버의 개인작업장, 그룹작업장과 공개작업장을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협업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그룹작업장 지원과 메신저 기능이외에 일정관리를 위한 도구가 필요하다. 일정관리를 위한 도구는 사용자들 간의 다양한 일정 공유와 동기화가 가능한 CalDAV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보다 손쉽게 개발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CoSlide 협업시스템을 위한 일정관리 도구의 설계에 대하여 기술한다. 설계된 일정관리 도구는 CalDAV 프로토콜에 기반을 두고 CoSlide 협업시스템의 그룹 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CalDAV 프로토콜에 반영하여 CalDAV 클라이언트에서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공간적 그래프 임베딩을 활용한 그래프 암시적 신경 표현

        박진호(Jinho Park),김동우(Dongwoo Kim)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4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1

        본 논문에서는 그래프 구조의 데이터에서 각 노드의 신호를 예측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분석하고자 하는 그래프에 대해 연결 관계를 기반으로 각 노드에 비-유클리드 공간 상에서의 좌표를 부여하여 그래프의 공간적 임베딩을 얻은 뒤, 각 노드의 공간적 임베딩을 입력으로 받고 해당 노드의 신호를 예측하는 그래프 암시적 신경 표현 모델을 제안 하였다. 제안된 모델의 검증을 위해 네트워크형 데이터와 3차원 메시 데이터 두 종류의 그래프 데이터에 대하여 신호 학습, 신호 예측 및 메시 데이터의 초해상도 과정 실험들을 진행하였다. 전반적으로 기존의 그래프 암시적 신경 표현 모델과 비교하였을 때 비슷하거나 더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 특히 네트워크형 그래프 데이터 신호 예측 실험에서 큰 성능 향상을 보였다.

      • 2차목 초음속 디퓨저 설계에 관한 연구

        박진호(Jinho Park),이양석(Yangsuk Lee),김중일(Joongil Kim),고영성(Youngsung Ko),김선진(Sunjin Kim),김유(Yoo Kim),김승한(Seunghan Kim) 한국추진공학회 2011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11

        본 연구에서는 축소형 이차목 초음속 디퓨저를 Normal Shock Theory를 이용하여 설계/제작하여 상온의 질소가스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이론식으로 설계된 이차목 초음속 디퓨저의 시동압력은 18%정도의 오차를 보였고, 이는 벽면 마찰 손실에 의한 차이로 보여진다. Secondary throat supersonic exhaust diffusers were designed by Normal-shock theory and manufactured. Experimental studies of the diffusers were performed using nitrogen gas of room temperature. It showed a difference about 18%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results. The difference was shown by friction loss at the wall of the diffuers.

      • KCI등재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교수-학생 상호작용, 심리적 안녕감, 간호사 이미지와 간호전문직관의 관계

        박진호(Park, Jinho),강다윤(Kang, Dayun),강지민(Kang, Jimin),곽나현(Gwak, Nahyeon),김채은(Kim, Chaeeun),이명경(Lee, Myung Kyung) 한국간호교육학회 2022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28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image of nurses with nursing professionalism i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43 nursing college students located in Daegu, Kyungpook.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between August 11 and 20, 2021.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IBM SPSS 21.0 program. Results: The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nursing professionalism was associated with a positive image of nurses (β=.71, p<.001) and higher faculty-student interaction (β=.11, p=.023). Additionally, a negative impression about nur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nursing professionalism (β=-.12, p=.003).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factors was 67 percent of the total variances on nursing professionalism; however, psychological well-being was not an associated factor.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o improve nursing student’s nursing professionalism i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nursing colleges should systemize curricular and non-curricular programs to improve awareness of nurses’ efforts and faculty-student inter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