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부정확한 부화소 단위의 움직임 정보를 고려한 고해상도 영상 재구성 연구

        박진열,이은실,강문기,Park, Jin-Yeol,Lee, Eun-Sil,Gang, Mun-Gi 대한전자공학회 2001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43 No.2

        고해상도 영상에 대한 요구는 점점 더 증가되고 있지만, 기존의 영상 시스템들이 어느 정도의 엘리어싱을 발생하기 때문에 해상도의 저하가 생긴다. 따라서 엘리어싱이 발생한 다수의 저해상도 영상들을 사용하여 하나의 고해상도 영상을 재구성해 내는 디지털 영상 처리기법이 연구되어 왔다. 기존의 연구들은 저해상도 영상들간의 부화소 단위의 움직임 정보가 정확하다고 가정하였기 때문에, 움직임 정보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에 대해서는 만족할 만한 고해상도 영상을 얻을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부화소 단위의 움직임 정보가 정확하지 않기 때문에 생긴 고해상도 영상 내의 왜곡을 줄일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정확하지 않은 부화소 단위의 움직임 정보가 고해상도 영상 재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각각의 저해상도 영상에 대하여 가우시안 오류가 첨가된 것으로 모델링하였다. 그리고 고해상도 영상 내의 왜곡을 줄이기 위해서 다중채널 디컨벌루션 기법을 수정하여 적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알고리즘의 타당성은 이론 및 실험을 통하여 검증할 수 있었다. The demand for high-resolution images is gradually increasing, whereas many imaging systems have been designed to allow a certain level of aliasing during image acquisition. Thus, digital image processing approaches have recently been investigated to reconstruct a high-resolution image from aliased low-resolution images. However, since the sub-pixel motion information is assumed to be accurate in most conventional approaches, the satisfactory high-resolution image cannot be obtained when the sub-pixel motion information is inaccurate.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algorithm to reduce the distortion in the reconstructed high-resolution image due to the inaccuracy of sub-pixel motion information. For this purpose, we analyze the effect of inaccurate sub-pixel motion information on a high-resolution image reconstruction, and model it as zero-mean additive Gaussian errors added respectively to each low-resolution image. To reduce the distortion we apply the modified multi-channel image deconvolution approach to the problem.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algorithm is both theoretically and experimentally demonstrated in this paper.

      • UV-TiO₂광촉매 반응기를 이용한 미생물의 살균효과

        김시욱,이정섭,정해광,박열,윤성명,유진철,이범규,이인화,박진열 조선대학교 환경공해연구소 1998 環境公害硏究 Vol.14 No.-

        UV-TiO_(2) 반응기를 이용하여 Escherichia coli와 Aspergillus oryzae var. oryzae의 살균효과를 측정하였다. 254 ㎚에서 최대 14 watt의 자외선 방출량을 내는 램프를 원형 Pyrex유리관 중앙에 설치하였고 TiO_(2)는 석영관에 박막증착(Thin Film Coating)된 형태와 슬러리 형태로 나누어 회분식으로 살균정도를 측정하였다. E. coli에 대한 살균력은 1.7× 10^(7) cells/㎖에 대해 5분간 자외선 조사를 하였을 경우 2.0× 10^(2) cells/㎖으로 감소하였고, 자외선 조사와 함께 슬러리 형태의 TiO_(2)를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3.4× 10 cells/㎖으로, 자외선 조사와 함께 TiO_(2)가 석영관에 박막증착된 경우에는 7.6× 10^(2) cells/㎖으로 감소하였다. 한편 위와 같은 조건에 유리관 하부에서 기포를 주입후 11분 동안 자외선을 조사시킨 경우에는 1.3× 10^(2) cells/㎖으로, 자외선 조사와 함께 슬러리 형태의 TiO_(2)를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1× 100 cells/㎖으로, 자외선 조사와 함께 TiO_(2)가 박막증착된 경우에는 7.9× 10 cells/㎖을 나타내었다. 결국 UV-TiO_(2) 반응기에 사용되는 TiO_(2)가 슬러리 형태일 때 최대 살균효과를 나타내었으나 기포가 첨가되었을때는 오히려 살균에 장애를 받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석영관에 박막증착된 경우에는 기포가 첨가되는 것이 살균에 효과적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The killing effect of UV-TiO_(2) photocatalytic system on the Escherichia coli DH5-慣 and Aspergillus oryzae var. oryzae (KCTC 6095) was studied. The UV lamp which emits maximum 14 watts at 254 nm was set on the center of pyrex round glass tube. Two types of TiO_(2), one of which is slurry and another which is thin film coated form, were used to determine the killing effect. When UV was irradiated to 1.7 * 10^(5) cells/??of E. coli for 11 min, the living cell number decreased to 4.0 * 1.0^(0) cells/?? The effect of UV system together with slurried TiO_(2) was less than 1 cells/?? whereas that of UV-coated TiO_(2) system decreased to 7.1 * 10^(3) cells/?? To study the effect of bubble on the killing of microorganisms, air was bubbled to the bottom of glass tube. When 1.7 * 10^(5) cells/??were exposed to UV for 11 min in combination with air bubble, the living cell number decreased to 1.3 x 10^(2) cells/?? In the same condition except the addition of slurried TiO_(2), the living cells were 1 * 10^(2) cells/?? However, more cells could be killed by the system which consists of UV, coated TiO_(2), and air bubble (7.9 * 10^(1) cells/??. From these results, it was found that UV-slurried system is the most effective one, but its killing effect is not stimulated by air bubble. However, bubbling was very effective in the UV-coated TiO_(2) system.

      • UV-TiO_2 광촉매 반응기를 이용한 미생물의 살균효과

        김시욱,이정섭,정혜광,박열,윤성명,유진철,이범규,이인화,박진열 조선대학교 환경연구소 1998 環境硏究 Vol.14 No.1

        UV-TiO_2 반응기를 이용하여 Escherichia coli와 Aspergillus oryzae var. oryzae의 살균효과를 측정하였다. 254㎚에서 최대 14 watt의 자외선 방출량을 내는 램프를 원형 Pyrex유리관 중앙에 설치하였고 TiO_2는 석영관에 박막증착(Thin Film Coating)된 형태와 슬러리 형태로 나누어 회분식으로 살균정도를 측정하였다. E. coli에 대한 살균력은 1.7×10^7 cells/㎖에 대해 5분간 자외선 조사를 하였을 경우 2.0×10^2 cells/㎖으로 감소하였고, 자외선 조사와 함께 슬러리 형태의 TiO_2를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3.4×10 cells/㎖으로, 자외선 조사와 함께 TiO_2가 석영관에 박막증착된 경우에는 7.6×10^2 cells/㎖으로 감소하였다. 한편 위와 같은 조건에 유리관 하부에서 기포를 주입수 11분 동안 자외선을 조사시킨 경우에는 1.3×10^2 cells/㎖으로, 자외선 조사와 함께 슬러리 형태의 TiO_2를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1×102 cells/㎖으로, 자외선 조사와 함께 TiO_2가 박막증착된 경우에는 7.9×10 cells/㎖을 나타내었다. 결국 UV-TiO_2 반응기에 사용되는 TiO_2가 슬러리 형태일 때 최대 살균효과를 나타내었으나 기포가 첨가되었을때는 오히려 살균에 장애를 받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석영관에 박막증착된 경우에는 기포가 첨가되는 것이 살균에 효과적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The killing effect of UV-TiO_2 photocatalytic system on the Escherichia coli DH5-α and Aspergillus oryzae var. oryzae (KCTC 6095) was studied. The UV lamp which emits maximum 14 watts at 254 ㎚ was set on the center of pyrex round glass tube. Two types of TiO_2, one of which is slurry and another which is thin film coated form, were used to determine the killing effect. When UV was irradiated to 1.7×10^5 cells/㎖ of E. coli for 11 min, the living cell number decreased to 4.0×10^0 cells/㎖. The effect of UV system together with slurried TiO_2 was less than 1 cells/㎖, whereas that of UV-coated TiO_2 system decreased to 7.1×10^3 cells/㎖. To study the effect of bubble on the killing of microorganisms, air was bubbled to the bottom of glass tube. When 1.7×10^5 cells/㎖ were exposed to UV for 11 min in combination with air bubble, the living cell number decreased to 1.3×10^2 cells/㎖. In the same condition except the addition of slurried TiO_2, the living cells were 1×10^2 cells/㎖. However, more cells could be killed by the system which consists of UV, coated TiO_2, and air bubble (7.9×10^1 cells/㎖). From these results, it was found that UV-slurried system is the most effective one, but its killing effect is not stimulated by air bubble. However, bubbling was very effective in the UV-coated TiO_2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