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Serially Sectioned and Segmented Images of the Mouse for Learning Mouse Anatomy

        박진서(Jin Seo Park),정민석(Min Suk Chung),황성배(Sung Bae Hwang) 대한해부학회 2006 Anatomy & Cell Biology Vol.39 No.4

        생쥐를 갖고 실험하는 연구자는 생쥐의 해부학을 알아야 한다. 생쥐의 연속절단면영상과 구역화영상을 쌓아서 3차원영상을 만들면 생쥐의 입체 생김새를 이해하는 데 도움 될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생쥐의 연속절단면영상과 구역화영상을 만들고 이를 널리 퍼뜨려서 다른 연구자가 생쥐의 3차원영상을 만들게 하는 것이다. 연속절단기를 써서 수컷 생쥐와 암컷 생쥐를 0.5 mm 간격으로 가로절단한 다음에 절단면을 디지털사진기로 찍어서 연속절단면영상을 만들었다. 암컷 생쥐의 연속절단면영상에서 보이는 14개 구조물을 반자동으로 구역화해서(어도비 포토샵 소프트웨어) 구역화영상을 만들었다. 연속절단면영상과 구역화영상을 쌓아서 이마, 마루영상을 만든 다음에 정렬이 맞는지, 구역화가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하였다. 앞으로 수컷 생쥐의 구역화영상도 만들 계획이다. 이 연구에서 만든 생쥐의 연속절단면영상과 구역화영상을 퍼뜨리면, 다른 연구자가 생쥐의 3차원영상과 가상해부 소프트웨어를 만들 수 있고, 나아가 생쥐의 입체 생김새를 이해하는 데 도움 될 것이다. Mouse anatomy is fundamental knowledge for researchers who perform biomedical experiments with mice. The purpose of our research is to present the serially sectioned images and segmented images of the mouse to produce three-dimensional images of the mouse, which are helpful in learning mouse anatomy. Using a cryomacrotome, a couple of male and female mice were transversely serially sectioned at 0.5 mm intervals to make sectioned surfaces. The sectioned surfaces were digitalized to make serially sectioned images. In the serially sectioned images of the female mouse, 14 structures including skin and bones were semi-automatically segmented on Adobe Photoshop software to make segmented images. The serially sectioned images and segmented images were stacked to make sagittal and coronal images, which were used for verifying the serially sectioned images and segmented images. In this ongoing research, the segmented images of male mouse will be added. All serially sectioned images and segmented images of the mouse will be presented worldwide. These images are expected to be used by many researcher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images and virtual dissection software of the mouse, which are helpful in comprehending the stereoscopic morphology of the mouse’s structures.

      • 학술 7 특별구두세션 : D5. 특별세션 국방 품질경영1 ; k계열 전차 궤도 시스템에 대한 최적 정비주기 설정

        박진서 ( Jin Seo Park ),우재 ( Woo Jae Park ),김상부 ( Sang Boo Kim ) 한국품질경영학회 2014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1. 목적 · K계열 전차의 궤도 시스템의 다양한 사용 환경을 배제한 일정 정비주기로 인하여 야전 고객의 불만이 증대되고 안전사고 위험이 증가되고 있다. K계열 전차의 야전에서의 가용도를 높이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율적인 궤도 시스템 정비 주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2. 연구설계/ 방법론/ 접근방법 · 야전에서 사용 중인 K계열 전차 궤도 시스템의 주행거리에 따른 고장 데이터 및 고장 원인을 확인하고, 고장이 발생한 야전의 환경 요소 등을 고려하여 K계열 전차 궤도 시스템의 최적 정비 주기를 구하고자 한다. 야전에서 정비 주기 도래를 수월하게 확인하기 위한 방안으로 고장 원인 관련 대용 특성인자를 선정하였고 회귀분석을 통해 궤도 시스템 최적 정비 주기를 구하였다. 3. 연구결과 · K계열 전차의 사용 환경을 3가지 범주로 구분한 고장 데이터와 고장 원인에 대한 대용 특성인 최대 핀 이동량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행거리 0000㎞가 궤도 시스템의 최적의 정비 주기임을 보였다. 4. 실무적 시사점 · K계열 전차의 궤도 시스템 정비 주기는 현재 사용 중인 정비 지침서와는 달리 부대별 다양한 환경 조건을 고려하여야 하며, 야전의 경우 정비 주기를 0000km로 수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장비의 가용도를 높이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5. 독창성/ 가치 · K계열 전차의 궤도 시스템의 고장으로 인한 야전 고객 불만을 해소하고 안전사고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새로운 궤도 시스템 정비 주기를 제시함으로써 전차를 가용상태로 유지 및 전투력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 우리나라의 음식물쓰레기처리 방법의 개관

        박진서(Jinseo-Park),차동원(Dongwon-Cha),서승직(Seung-Jik Suh) 대한설비공학회 2009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9 No.-

        This article deal with an overview of food waste treatment methods in Korea. Garbage trucks are operated manually by garbage workers who pick up the food wastes after food waste is placed in plastic bags by the road sides. However, there are a lot of problems such as, the smell from the split bags and the leachate, the loss of much energy and the complaints regarding the establishment new rubbish tips from the residents in the surrounding area. It also highlights our society's waste of resources. Although the new pneumatic waste transfer system or the dry method seem to have improved some of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it still bears some problems, for example, the lack of reuse and recycling of resources and the economic problems. We have been analyse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between the existing food waste system and the pneumatic waste transfer system. And the dry method and disposer were discussed. The results will indicate how the disposer can improve more than the existing systems and will provide the evidence to support.

      • KCI등재후보

        Serially Rotated Images of the Dissected Knee for Learning Knee Anatomy

        박진서(Jin Seo Park),정민석(Min Suk Chung),Parvati Dev, Eric Herbranson 대한해부학회 2007 Anatomy & Cell Biology Vol.40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무릎의 연속돌림영상을 만들어서 무릎 해부학을 익히는 데 도움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고정한 시신의 무릎을 여덟 층으로 해부한 다음에 각 층을 5도 간격으로 돌리면서 사진 찍었다. 더불어 무릎관절을 조금씩 굽히면서 사진 찍었다. 각 영상마다 해부구조물의 이름을 붙였다. 이 결과로 한 층에 72개, 총 864개의 연속돌림영상을 만들었다. 같은 방법으로 고정하지 않은 시신의 무릎을 해부한 다음에 돌리면서 사진찍었다. 이 결과로 한 층에 72개, 총 1,296개의 연속돌림영상을 만들었다. 이 연구에서 마련한 무릎연속돌림영상은 무릎 해부학을 익히는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데 도움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serially rotated images (SRIs) of the dissected knee for the production of educational software of knee anatom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e SRIs of dissected knee were generated as follows. An embalmed knee was serially dissected to make eight layers of the dissected knee. The knee in each layer was serially rotated at every five degree angle and photographed to obtain 72 SRIs. In every SRI, all anatomical structures were annotated. The knee was serially flexed to make additional SRIs. Similar procedures were performed with a fresh knee. The SRIs of knee, prepared in this study, will be used as sources of the software, which will be helpful in educating knee anatomy.

      • 오피스 건물을 위한 자연형태양열 시스템 최적화에 관한 기초연구 : Trombe Wall 및 Mass Wall 시스템 중심으로

        박진서(Park Jin-Se),장향인(Jang Hyang-In),정진우(Jeong Jin-Wo),서승직(Suh Seung-Jik)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10 한국태양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4

        This thesis has been conducting research about Indirect Passive solar heating system for heating load. Especially, establish and analyze the mathematics model of Trombe Wall system. When apply each systems to the office building, system's effectiveness and thermal Mall thickness variation, changes of effectiveness with solar radiation variation have been analyzed by MATLAB. And also, in case of southern wall of the office building, we've done our research for commercialization as each system's application and operating method about System organization, thickness, boundary condition and the way to organize Layers. the analysis results of Trombe Wall and Mass Wall systems are 14.3% Aver. For Trombe Wall and 11.4% Aver. for Mass Wall. And the sensitivities results of Thermal Mass and changes of outside temperature show us that when Thermal Mass thickness increases upto 50㎝, effectiveness of Trombe wall and Mass Wall also growth upto 47% and 22% for each. Continuously, system effectiveness gains more when it takes more solar radiation and higher solar air temperature makes short increasing point of effectiveness.

      • KCI등재후보

        해부학 강의 동영상을 녹화하고 편집하고 퍼뜨리기

        박진서(Jin Seo Park),정민석(Min Suk Chung) 대한해부학회 2006 Anatomy & Cell Biology Vol.39 No.1

        의과대학 학생은 해부학 강의를 복습하기 위해서 강의 자료를 보거나, 필기한 공책을 보거나, 강의를 녹음해서 듣는다. 그런데 이런 방법보다는 해부학 강의를 녹화해서 보는 것이 낫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의과대학 학생한테 해부학 강의 동영상을 시간과 장소의 제한 없이 컴퓨터에서 편하게 되풀이해서 보게 해서 해부학 강의를 복습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해부학 교수가 해부학 단원 차례(소개, 등, 팔, 목, 머리, 가슴, 배, 골반, 샅, 다리)대로 칠판 강의하는 것(14시간쯤)을 녹화해서 동영상을 만들었다. 동영상을 컴퓨터로 옮긴 다음에 Adobe Premiere에서 알맞게 편집하였다. 동영상 파일을 압축해서 MPEG 파일(크기 28.0 GBytes)과 WMV 파일(크기 1.4 GBytes)로 만들었다. 슬라이드 강의(1시간)인 경우에는 동영상과 슬라이드를 함께 편하게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동영상을 오프라인과 온라인으로 퍼뜨렸으며, 학생은 동영상을 보면서 해부학 강의를 복습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방법을 쓰면 다른 해부학 교수도 자기 강의의 동영상을 쉽게 만들 수 있다. In order to review anatomy lectures, medical students use the lecture materials, lecture notebooks, or recorded voices of lectures. These learning materials are not so effective as the movies of anatomy lectur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help medical students review anatomy lectures by giving them the chance to replay the movies of anatomy lectures conveniently on the computer. For the purpose, an anatomy professor presented board lectures (about 14 hours) according to the anatomy units (introduction, back, upper limb, neck, head, thorax, abdomen, pelvis, perineum, and lower limb), which were recorded by camcorders to make movies. The movies were transferred to the computer; subsequently, edited suitably on the Adobe Premiere. The movies were compressed to make MPEG files (size 28.0 GBytes) and WMV files (size 1.4 GBytes). In case of the slide lecture, we made a program, on which lecture movies and slides could be watched concomitantly and conveniently. The movies of anatomy lectures were distributed off-line or on-line to help medical students review the anatomy lectures. This report about techniques of making movies will promote other anatomy professors to make movies of their own anatomy lectures.

      • SAP R/3 System을 이용한 JIT(Just-In-Time) Process 구현 방안

        박진서(Jin-Seo Park),김영렬(Yeong-Real Kim) 한국산업정보학회 2009 한국산업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5

        본 논문은 효과적인 물류 Process를 위해 일본의 도요타에서 만들어진 JIT(Just-In-Time) Process를 이해하고, 이를 SAP R/3 System을 이용해서 구현함으로써 물류 Lead Time 감소와 재고비용 감소에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분석한 다음 향후 실증연구를 위한 연구 모형과 검증 가설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