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ractical Theology and A Sacred Journey Toward Christlikeness

        박진경 한국실천신학회 2014 신학과 실천 Vol.0 No.4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new understanding of marginality and its practical teachings in order to address the marginal experience of a 17-year-old Korean American youth, called Adam in this study and his development toward Christlikeness. The marginal experience for KA youth is a growing concern in the teaching ministry of the KA church, but many KA churches do not offer their youth appropriate guidance and Christian education. From a practical theological viewpoint, I investigate Adam's critical incident through the four interconnected tasks - descriptive-empirical, interpretive, normative, and pragmatic - by employing the transformational approach of James Loder. This approach seeks to show the complementarity in theology and social science and develop an interdisciplinary model for Christian education in particular and practical theology in general. Utilizing the transformational model, I present a brief overview of Adam's background and incident in the descriptive-empirical dimension, the sociological analysis of his socio-cultural and racial elements of marginality through Everett V. Stonequist's lens in the interpretive dimension, the holistic concept of marginality from the theological perspective of Jung Young Lee in the normative dimension, and the reflective practices and concrete guidelines for the KA ministry in the pragmatic dimension. Through an exploration of Adam's critical incident, this article argues for the need to teach a new holistic concept of marginality in the educational ministry as a faithful space filled with possibility for transformation in Jesus Christ, who is at the utmost margin. Adam's problems are not issues being resolved within his generation. There will be ongoing agony and painful alienation not only among the 1.5 and second generation but also later generations of the KA youth in both American and Korean societies if the concerns of youths such as Adam are not addressed.

      • KCI등재

        Management of Cyanide Intoxication with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and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박진경,이승엽,최현식,최윤희,이영주 대한중환자의학회 2015 Acute and Critical Care Vol.30 No.3

        Cyanide intoxication results in severe metabolic acidosis and catastrophic prognosis with conventional treatment. Indications of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and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CRRT) are expanding to poisoning cases. A 50-year-old male patient arrived in the emergency room due to mental change after ingestion of cyanide as a suicide attempt 30 minutes prior. He was comatose, and brain stem reflexes were absent. Initial laboratory analysis demonstrated severe metabolic acidosis with increased lactic acid of 25 mM/L. Shock and acidosis were not corrected despite a large amount of fluid resuscitation with highdose norepinephrine and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We decided to apply ECMO and CRRT to allow time for stabilization of hemodynamic status. After administration of antidote infusion, although the patient had the potential to progress to brain death status, vital signs were improved with correction of acidosis. We considered the evaluation for organ donation. We report a male patient who showed typical cyanide intoxication as lethal metabolic acidosis and cardiac impairment, and the patient recovered after antidote administration during vital organ support through ECMO and CRRT.

      • KCI등재

        기독교 대학 종교교육에서의 하브루타 적용 연구 : 관계적 접근

        박진경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71

        본 논문의 목적은 기독교 대학의 주입식 종교교육 상황을 파악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하브루타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지식 전달식 강의는 비교적 짧은 시간 안에, 대그룹 학습자에게,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데 효과적이다. 그러나 기독교 대학의 일방향적 암기식 종교교육은 학습자-텍스트, 학습자-학습자, 학습자-교수자의 관계성을 분리하고, 더 나아가 기독교적 정체성도 약화시킨다. 그런 의미에서, 기독교 대학의 종교에 관한 지식 주입식 종교교육 패러다임을 극복할 하나의 대안으로 관계 지향적인 하브루타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하브루타는 유대인의 신앙과 전통을 전수하는 도구이자, 유대인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강화하는 교육이다. 동시에 하브루타는 관계성을 기초로 하는 교육방법이다. 관계적 측면에서 보면, 하브루타는 오직 관계성 안에서만 수행된다. 학습자와 텍스트(text) 사이의 관계성, 학습자와 학습자 사이의 관계성, 학습자와 교수자 사이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학습파트너(혹은 ‘짝’)와 함께 질문하고, 대화하고, 토론하고, 논쟁하면서 서로의 학습에 부분적으로 책임 의식을 가지고 하브루타를 수행한다. 본 논문에서 연구자는 기독교 대학의 일방향적 강의식 종교교육을 극복할 하나의 대안으로 관계성을 추구하는 하브루타를 다음과 같은 순서로 모색하고자 한다. 첫째, 기독교 대학 종교교육의 문제점인 학습자-텍스트, 학습자-학습자, 학습자-교수자 간의 분리된 관계성을 살펴본다. 둘째, 관계적 관점에서 하브루타의 정의, 하브루타의 원리와 단계, 한국적 하브루타 수업모형을 중심으로 하브루타의 주요 개념들을 모색한다. 셋째, 인터뷰로 수행된 A기독교 대학 B종교교육 하브루타 활용 사례를 통해 다양한 각도에서의 관계성 형성과 강화를 살펴보면서, 추후 종교교육에서 하브루타 적용 가능성을 탐색한다. 마지막으로, 앞으로 기독교 대학이 종교교육에서의 하브루타를 적용하면서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한다. 따라서, 텍스트, 학습자, 교수자와의 상호 협력적인 관계성 속에서, 하브루타는 기독교 대학의 지식 교수식 종교교육의 패러다임을 극복하고, 더 나아가 기독교 대학의 정체성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problematic situation of transmissive religious education in Christian university an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havruta to overcome it. The transmissive lecture could be effective in conveying much information to large group learners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However, the one-way transmissive religious education of Christian university separates between: learner-text; learner-learner; learner-teacher, and further weakens Christian identity. In that sense, we nee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relationship-oriented havruta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ransmissive religious educational paradigm in Christian university. Havruta is a tool to convey Jewish beliefs and traditions and strengthen Jewish identity. At the same time, havruta is a relationship-based educational method. From a relational perspective, havruta is performed only in relationship. Focusing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rner-text; learner-learner; learner-teacher, one practices havruta with a sense of responsibility in part for each other’s learning. In this article, I intend to explore havruta, which pursues relationship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one-way lecture-style religious education of Christian university as follows. First, I examine the situation of segregation of learner-text, learner-learner, and learner-teacher relationship, which is the problem of religious education in Christian university. Second, I scrutinize the main concepts of havruta by focusing on the definition, principles, and stages, Korean educational model of havruta from a relational point of view. Third, I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havruta in religious education to form and reinforce diverse relationships through the case of B religious education at A Christian University. Finally, I conclude by presenting how Christian university should move forward in religious education through havruta. Therefore, in the mutual cooperative relationships among text, learner, and teacher, we expect havruta to surmount the paradigm of transmissive religious education in Christian university and to further strengthen the identity of Christian university.

      • KCI등재

        반인종차별성 기독교교육 모형 연구 : 레오나르도 보프의 사회적 삼위일체론 중심으로

        박진경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79

        This study explores how anti-racism Christian education can overcome racial discrimination towar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using the framework of Leonardo Boff’s social doctrine of the Trinity. Here “anti-racism Christian education” refers to a community-oriented mutual education in whic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who are relational, equal, and communal beings - conquer racial discrimination and which pursues “diversity-in-communion” together with indigenous children through the trinitarian faith. Currently, the Korean church lacks Christian education that promotes understanding of racial diversity and fosters mutual respect for other races, particularly multicultural and indigenous families. To determine this type of education, first, this study explains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anti-racism Christian education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y exploring previous literature. Second, it investigates the understanding of racial discrimination in Korea society and the situation of racial discrimination towar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from a relational, equal, and communal perspective. Third, it seeks the theological norms based on the main characteristics of Boff’s social Trinity and its three attributes - relationship, equality, and communion - for overcoming racial discrimination. Fourth, based on the three attributes of the Trinity, it briefly presents the main concepts (definition, purpose, principle, content, and role of teacher) of the anti-racism Christian education model to overcome racial discrimination towar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Finally, it suggests a future-oriented direction that the Korean church should pursue in order to conduct anti-racism Christian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레오나르도 보프의 사회적 삼위일체론을 기초로 다문화가정 아동의 인종차별을 극복하기 위해 반인종차별성 기독교교육을 모색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반인종차별성 기독교교육’이란 삼위일체적 신앙을 통해 관계적, 평등적, 연합적 존재인 다문화가정 아동이 차별을 극복하여 선주민가정 아동과 함께 ‘연합-안의-다양성’을 추구하는 공동체 지향적인 상호교육이다. 현재 한국교회는 다문화가정 아동과 선주민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인종적 다양성에 대한 이해증진과 타인종에 대한 상호 존중 태도를 길러주는 반인종차별성 기독교교육이 부족한 현실이다. 이러한 교육을 모색하기 위해, 먼저, 반인종차별성 교육과 관련된 국내 선행연구를 탐색하면서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반인종차별성 기독교교육 연구의 필요성을 설명한다. 둘째, 인종차별에 대한 한국사회 내 이해와 다문화가정 아동의 인종차별에 대한 상황을 관계적, 평등적, 연합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셋째, 보프의 사회적 삼위일체론의 주요 특징과 인종차별 극복을 위한 삼위일체 속성(관계성, 평등성, 연합성)을 근거로 신학적 규범을 제안한다. 넷째, 삼위일체 세 가지 속성을 기초로, 다문화가정 아동의 인종차별을 극복하기 위해 반인종차별성 기독교교육 모형의 주요 개념(정의와 목적, 원리, 내용, 방법, 교수자 역할)들을 간략하게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앞으로 한국교회가 반인종차별성 기독교교육을 수행하기 위해 추구해야 하는 미래지향적인 방향성을 제안한다.

      • KCI등재

        『광란의 오를란도』의 최종 판본에 더해진 마지막 에피소드 연구

        박진경 한국이탈리아어문학회 2018 이탈리아어문학 Vol.0 No.55

        Anche tenendo in conto la ponderosità dell’opera, l’Orlando furioso, a partire dal momento iniziale del processo di elaborazione, ha necessitato di qualcosa come 25 anni e 3 revisioni prima che l’edizione finale potesse vedere la luce. Ciò dà un’idea della profondità e della dedizione con cui l’autore ha lavorato. Diversamente dalla seconda edizione, caratterizzata da sostanziali revisioni di lingua e stile, la versione finale risulta costituita da un totale di 46 canti, contenenti 718 ottave aggiuntive. Nel presente lavoro particolare attenzione viene dedicata proprio a tali episodi aggiunti all’edizione finale, episodi il cui studio è necessario per comprendere sia lo sviluppo dell’autore che l’evoluzione dell’opera. Questo perché proprio gli episodi aggiunti rappresentano spazi in cui troviamo riassunti le opinioni ed i pensieri del poeta, adeguatisi al cambiamento dei tempi. Prendendo in esame l’episodio di Leone, concepito e realizzato nel corso di un lungo periodo di gestazione, si è cercato di offrire una panoramica dei contenuti innovativi che Ariosto aveva intenzione di apportare all’opera: (a) aumentare l’interesse dell’opera e rafforzare le connessioni con l’Orlando innamorato grazie ad una storia avvincente e ben strutturata; (b) rappresentare una situazione che conferisse all’opera stessa un senso più compiuto; (c) trattare i problemi dell’epoca in prospettiva storica. Quanto detto è ciò che l’autore mirava a raggiungere attraverso l’ultimo episodio aggiuntivo. 『광란의 오를란도』의 마지막 판본에는 크게 나누어 총 3 그룹의 등장인물들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3개의 에피소드가 더해진다. 교차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작품인 만큼 더해진 에피소드들 역시 기존의 이야기들과 조화를 이루며 사이사이에 적절히 삽입배치되었다. 이들 가운데 첫 번째, 두 번째 에피소드는 다른 주제와 관련하여 한국 이탈리아학계에서 이미 연구된바 있다. 본고에서는 작품의 말미인 44곡에서 46곡사이에 마지막으로 더해진 에피소드에 연구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마지막 에피소드는 루제로와 브라다만테 사이에 새롭게 등장한 레오네라는 인물을 중심으로 펼쳐지는데, 그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갈등과 위기, 그리고 해소의 과정이 그려진다. 레오네의 개입을 통해 작가 아리오스토가 마지막까지 작품에 더하고자 했던 의미는 무엇이었을까? 그의 에피소드를 다양한 각도로 분석하여 그 해답을 찾아보도록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