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활간호서비스에 대한 환자와 간호사의 인식 비교

        박지원,소희영,김창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1 재활복지 Vol.15 No.1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compare patient need with nurse perception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rehabilitation nursing service. Method: A questionnaire composed of 43 items was used to collect data. Participants were 211 patients receiving care after industrial accidents and 150 nurses working at a special hospital for industrial disasters. Results: Mean score for nurse perception of importance of rehabilitation nursing service was 4.17,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to the mean score for patient need (3.78)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all domains of rehabilitation nursing service (physical·therapeutic, t=-8.622, p=.000; psychological·holistic, t=-3.772, p=.000; educational·informational, t=-6.409, p=.000; social·occupational, t=-4.870, p=.000). The score for patient need (3.78) was higher than for nurses' performance (3.48). Scores for nurses' performance were higher than patient need only for the physical·therapeutic domain (t=-1.207, p=.229), while scores for patient nee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other three domains; psychological·holistic (t=2.438, p=.015), educational·informational (t=3.474, p=.001), and social·occupational (t=7.764, p=.000) compared to scores for nurse performance.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although nurses recognized rehabilitation nursing service as important, they only perform physical and therapeutic services. Therefore special education, supplementation of human resources, and strategy to systemize medical and nursing structure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psychological, educational, and social services.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재활간호서비스에 대한 환자의 요구도와 간호사의 중요도 인식정 도 및 수행도의 차이를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박지원 등(2009)이 개발한 43문항으로 구성된 재활간호서비스 측정도구 설문지를 이용하여 1개 산업재해 전문병원에 입원한 환자 211 명과 같은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50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재활간호서비 스에 대한 간호사의 중요도 인식(M =4.17)이 환자의 요구도(M =3.78)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 게 나타났다. 재활간호서비스 영역별로 차이를 비교해 보면 신체 ․ 치료(t =-8.622, p =.000), 심리 ․ 영적(t =-3.772, p =.000), 교육 ․ 정보(t =-6.409, p =.000), 사회 ․ 직업(t =-4.870, p =.000) 모든 영역 에서 간호사의 중요도 평균점수가 환자의 요구도 평균점수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 환자의 요구도(M =3.78)는 간호사의 수행도(M =3.48)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를 영역별로 비교 해 보면 신체 ․ 치료(t =-1.207, p =.229) 영역만 간호사의 수행도 평균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고, 심 리․ 영적(t =2.438, p =.015), 교육 ․ 정보(t =3.474, p =.001), 사회 ․ 직업(t =7.764, p =.000) 영역에서는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환자의 요구도 평균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 간호사는 재 활간호서비스 내용에 대해 환자보다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나 신체 ․치료 영역의 수행도만 환자 의 요구를 충족하고 있다. 심리, 교육, 사회적 영역의 수행도를 높이기 위한 전문적인 교육과 인 력보충, 의료 및 간호시스템을 체계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 추천시스템을 활용한 개인화 방안 및 예측모델에 대한 연구

        박지원 김천대학교 2005 김천대학교 논문집 Vol.26 No.-

        Grouping people into clusters based on the items they have purchased allows accurate recommendations of new item for purchased allows accurate recommendations of new item for purchase

      • KCI등재

        LiD(Learning in Depth)프로그램의 학습자 포트폴리오에 대한 질적 분석 : 부산 N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박지원,황순영,김회용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9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arner's portfolio, which is a result of LiD (Learning in Depth) program, and to explore its educational values and limitations.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analysis on portfolios of Busan N elementary school students. N elementary school introduced the LiD program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nd has been running for 5 years for all students. As a result of these analysis: First, the program was able to be prolonged because of loose connection with the subject and tolerance for boredom. Second, the quality of the activity was influenced by a good question that considered the level of learners and the possibility of exploring. Third, the cognitive tools, emphasized in the LiD program, were actually effective in activities. Fourth, learners integrated the knowledge gained from LiD activities based on their experiences and interests. Fifth, teachers, family, and colleagues played an important role as facilitators. Sixth, it was related to the regular curriculum and various learning media. In conclusion, the LiD program allows us to look back on performance-oriented education by enabling long-lasting study, and provides a new idea of cognitive tools. And It needs to seek measures appropriate to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Korea, such as linking with the curriculum and improving the culture. 본 연구는 LiD(Learning in Depth)프로그램의 학습 결과물인 학습자 포트폴리오를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프로그램의 교육적 가치와 시행상의 한계를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LiD프로그램을 국내에 처음으로 도입하여 전교생을 대상으로 5년간 시행하고 있는 부산의 N초교 학습자의 LiD포트폴리오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프로그램이 의욕-정체-극복의 과정을 거쳐 장기화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주제와의 느슨한 연결성과 지루함에 대한 관용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의 수준과 탐구 가능성을 고려한 적절한 질문이 활동의 질을 좌우했으며 셋째, LiD프로그램이 이론적으로 강조하는 인지도구의 활용이 실제로 활동에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자들은 각자의 경험과 관심을 바탕으로 활동을 통해 얻은 지식들을 내부에서 통합하는 모습을 보였다. 다섯째, 촉진자로서 교사, 가족, 동료가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 여섯째, 교과 및 다양한 학습 미디어와 결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LiD프로그램은 오래 지속하는 공부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성과중심적인 오늘날 교육을 되돌아보게 하고, 인지도구의 활용이라는 새로운 교육의 지평을 제시한다. 그러나 여전히 개별 학습자들의 활동을 촉진하는 구체적인 교육적 개입이 부족한 실정이며, 교과와의 연계, 교육문화 반영 등 한국 교육환경에 맞는 개선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 의료기관 모바일 홈페이지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박지원 김천대학교 2014 김천대학교 논문집 Vol.35 No.-

        Previous mobile communication structure and enterprise activity has been changed a lot in a short period with rapid growth of mobile internet market based on the sman acteristic of mobile service doesn't affect to the intention of use, only the accuracy mobile homepage in the future, it should develop contents for the users who have high immersion tendency and reinforce the aspect of accessibility in system quality. Key Words: medical mobile homepage, smart phone, system quality, Structural 54 phone development, only some enterprises which adapt to themselves successfully in this change of environment can survive in the infinite competition. According to this, I try to study for the factors affecting on intention of use of med ical mobile homepage which is one of those methods in this study. This study has purpose of deducting factors which affect on the intention of use in medical mobile homepage such as characteristic of users and service of mobiles and finding out the influence affecting on the intention of use through investigating the causal relation among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those factors, with these research results. To achieve these research purpose, I have searched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through related papers, set up the theoretical research model through logical inference relation mutually among components, after analyzing research model set up using SPSS 19.0, present the limitation and implication through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purpose of users in the medical mobile homepage. The impact factors were analyzed using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it shows that security and stability among char- acteristic of mobile service doesn't affect to the intention of use, only the accuracy affects to the perceived usefulness. Based on these result, when established a medical mobile homepage in the future, it should develop contents for the users who have high immersion tendency and reinforce the aspect of accessibility in system quality.

      • KCI등재

        신자유주의 교육의 정서로서 ‘우울’과 ‘잔혹한 낙관주의’

        박지원,김회용 한국교육사상학회 2019 敎育思想硏究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on an educated mind in neoliberal conditions. Today, Korea might be called an over-educated society. Because of excessive desire, burn-out and psychological suffering have become a kind of common emotion that educational subjects experience. This problem needs to be treated as a philosophical issue beyond empirical exploration and individual management. This study focused on "depression" and "cruel optimism" as problematic affects of an educated mind. First, these are unique forms of affect in neoliberal era. Neoliberalism is motivated by self-positivity and desire for being productive.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being excessively positive and having fantasy for the future could be internal exhaustion, blind vigor and immersion. In addition, today 's advanced education performs functions of creating and justifying the order of positivity. An education, as a system that promises a good future, produces some belief in meritocracy which means that individual effort and ability must be compensated. Depression and cruel optimism appear in various forms of survival. Conclusionally,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d signs of neoliberal affects by setting three types of educational subjects: the adaptive subject, the adventurous subject, and the cynical subject. 이 연구는 신자유주의적 조건 속에서 교육받은 인간의 마음을 성찰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오늘날 한국은 가히 교육과잉사회라 할 만하며, 과도한 교육적 욕망이 초래하는 심리적 침체와 고통은 한국사회의 공통정서가 되었다. 이 문제는 실증적 탐색과 개별적인 관리의 차원을 넘어서 교육의 본질에 대한 철학적 탐구주제로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교육받은 주체들의 문제적인 정서로 ‘우울’과 ‘잔혹한 낙관’에 주목하였다. 먼저, 우울과 잔혹한 낙관주의는 신자유주의 시대의 독특한 정동양식이다. 신자유주의는 주체의 자기긍정과 생산에 대한 욕망을 동력으로 삼는다. 과잉된 긍정과 미래에 대한 환상적 기대의 부정적 결과는 한편으로는 소진과 우울로, 또 다른 형태로는 맹목적인 활기와 몰두에 빠지는 잔혹한 낙관으로 나타날 수 있다. 한편, 오늘날 발전된 형태의 교육은 시대적 명령으로서의 긍정주의를 생성하고 정당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오늘날 교육은 모종의 좋은 미래를 약속하는 시스템으로서, 개인의 능력과 노력이 응분의 성과로 나타날 것이라는 메리토크라시에 대한 믿음과 그러한 삶이 온당하고 아름답다는 환상을 심어준다. 신자유주의적 교육 안에서 우울과 잔혹한 낙관은 다양한 형태의 생존양식으로 나타난다. 이 연구에서는 적응적 주체, 모험적 주체, 냉소적 주체라는 세 가지 교육주체의 유형을 설정하여 신자유주의적 정동의 징후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는 미시적인 마음의 지형을 정치적으로 사유함으로써 교육의 정동적 부산물에 공적 의미를 부여하고, 나아가서는 한계상황에 대한 내재적 저항의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시도이다.

      • KCI등재

        단기 MBSR이 노인의 마음챙김, 스트레스, 우울, 불안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박지원,이혜진 한국건강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2 No.3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brief MBSR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program for older adults. Participants at a senior welfare center were assigned either to a treatment group (n = 14) or to a waitlist control group (n = 10). The treatment consisted of four weekly sessions. Participants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of mindfulness, stress, depression, anxiety and life satisfaction at pre-, post-, and 4-weeks-after the treatment. Mindfulness was measured by the level of observant awareness and interoceptive awareness.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of mindfulness in the treatment group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is effect was maintained at the follow-up period. There were also a significant trend of increase in life satisfaction, and a partial decrease in depression and anxiet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stress in the treatment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brief intervention of MBSR is effective for improving mindfulness and life satisfaction, and partly effective for reducing depression and anxiety in older adult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단기 마음챙김 기반 스트레스 감소(MBSR)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노인종합복지관 취미교실 이용자 중 참가자를 선별하여 처치집단(14명)과 대기통제집단(10명)으로 나누고, 처치집단에게 한 주에 한 회기씩 총 4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마음챙김 수준을 알아차림과 신체자각으로 구분하였고, 그 밖에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불안, 삶의 만족도 수준을 자기보고 척도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실시 직전, 직후, 4주 후에 걸쳐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처치집단이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알아차림과 신체자각 수준이 사전에 비해 사후에 유의하게 더 향상했고, 이는 4주 후에까지 유지되었다. 또한, 처치집단은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삶의 만족도가 사전에 비해 사후에 유의하게 더 향상된 경향을 보였고, 우울과 불안 수준은 부분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스트레스 수준은 처치집단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고, 통제집단은 유의하게 더 증가했다. 이 결과는 단기 MBSR 개입이 노인들의 알아차림과 신체자각 수준의 증가 및 지속에 효과가 있고, 삶의 만족도 및 우울과 불안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데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한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SCOPUSKCI등재

        소화기암환자의 항암요법 시간 경과에 따른 피로도 측정 연구

        박지원,김용순,서미숙 성인간호학회 2001 성인간호학회지 Vol.13 No.4

        Fatigue is one of the most common complaints of cancer patient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hange of fatigue level and general symptoms as time go by, so that, we could explain more on the mechanism and chance of fatigue in relation with treatment, and explore the influencing factors.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0 GI cancer patients who have visited the cancer center of A hospital in Suwon. We measured fatigue by using the Revised Piper Fatigue Scale(RPFS) at the time of starting and finishing induction chemotherapy, and starting the 2nd cycle of chemotherapy. Results: 1) The fatigue score was 2.81, 3.73, and 3.82 in a 10 point scale at the time of starting and finishing induction chemotherapy, and starting the 2nd chemotherapy, respectively. This means fatigue persisted until after the treatment. 2) Fifty two percent of participants complained of some kinds of symptoms when starting the treatment, and the proportion increased up to 92% when finishing the treatment. 3) Fatigue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 in patients with fatigue-related symptoms than for patients without those symptoms. 4) Fatigue scor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patients'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educational level, economic status, occupation, diagnosis, hematocrit, weight, and amount of sleepy. Conclusion: We have to develop intervention strategies to reduce fatigue in cancer patients in the consideration of influencing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