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시지 측면성의 설득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박준홍,박성석 한국어교육학회 2020 국어교육 Vol.0 No.17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more empirical results regarding the persuasive effects of message sidedness and to identify how message sidedness affects persuasive effects in persuasive discourse, with the ultimate goal of suggesting implications for persuasive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It does so by systematically and quantitatively analyzing studies discussing the persuasive effects of message sidedness and synthesizing the results. To this end, in this study,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on a total of 17 papers on the persuasive effects of message sidedness, with 89 analysis results. Results showed that the overall effect size (i.e., difference between two-sided messages and one-sided messages) was 0.39, showing a small effect size. Second, the effect size of the two-sided messages compared to the one-sided messages according to the dependent variable of the persuasion effect was the greatest for reliability followed by behavior intention and attitude. Third, the effect size of message sidedness by each type of regulatory focus indicated that two-sided messages were more persuasive with regard to promotion focus, whereas one-sided messages were more persuasive regarding prevention focus. Fourth, the effect size of message sidedness by framing direction was found to be more persuasive in one-sided messages of the lost framing messages. Fifth, the effect size of message sidedness by persuasion discourse typ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meaning of the results is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persuasive education are presented.

      • KCI등재

        매체 언어 교과서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박준홍 청람어문교육학회 2019 청람어문교육 Vol.0 No.7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 language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based on the results. For this purpose, the analysis framework was establish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analysis framework for media text understanding is composed of four perspectives of production, language, representation, and audience. In addition, the analysis framework for the production of media text is composed of seven perspectives of planning, storyboard-writing, filming preparation, filming, editing, presentation, and online sharing. Based on the above analysis framework, the results were presented as to how media language textbooks appeared in terms of media text understanding and production. Finally,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media language textbooks we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매체 언어 교과서를 분석한 후 그 결과를 토대로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 고찰을 통해 매체 텍스트의 이해와 생산의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 틀을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매체 텍스트 이해와 관련하여 첫째, 매체 언어 교과서는 매체 텍스트 생산자의 이해관계 등을 고려하며 매체 텍스트를 이해하도록 하지는 못하였다. 둘째, 매체 텍스트 생산자의 의도와 관련지어 왜 특정한 언어 양식이 활용되었는지를 사고하도록 하는 내용이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셋째, 매체 텍스트의 관점을 파악하는 내용이 공정성의 위배나 왜곡의 문제를 사고하도록 하는 수준으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넷째, 시청각적 요소에서 드러나는 심미적 가치를 이해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다음으로 매체 텍스트 생산과 관련하여, 첫째, 매체가 정해져 있는 상태로 학습활동 과제가 부여되어 매체 선정의 절차를 거칠 필요가 없게 되어 있었다. 둘째, 스토리보드 작성이 필수적인 절차로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셋째, 촬영 준비 절차가 마련되어 있지 않았으며, 넷째, 촬영과 편집을 위한 전략이 교육 내용으로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다섯째, 온라인 공유 과정을 통한 성찰 기회를 제공하고 있지 못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매체 언어 교과서 개발을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호기성 소화조 설계시 회분식 반응조에서 획득된 결과의 이용방안에 관한 연구

        박준홍,고광백,정연규 대한상하수도학회 1994 상하수도학회지 Vol.8 No.3

        In the general process of design for aerobic digestion, the design for field plant of which inflow pattern is continuous inflow is performed using the results from lab scale batch reactor. However, the recent researchers reported that the general designs were performed as over-estimated, Therefore, in this study, laboratory batch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at 20℃ and pH 7.5 on the aerobic digestion of waste activated sludge at different solid levels. This treatise could consider the negligence about effective digestion periods the usage of VSS as solid concentration, and the effect of initial solid concentration of solid degration rate coefficient(k_d) as reasons of the overestimated design, and showed the scheme of how to design for aerobic digestion from batch experiment.

      • KCI우수등재

        모빌리티를 통해 본 팬데믹 상황에서의 경계화와 생명정치 -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 COVID-19 집단감염을 중심으로 -

        박준홍,정희선 대한지리학회 2023 대한지리학회지 Vol.58 No.4

        2020년 1월 발생한 크루즈 선박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에서의 COVID-19 집단감염은 의학적・병리학적 시사점뿐만 아니라 사회적 관계와 이동의 정치, 감염병 관리를 위한 사물・기술 등의 배치와 구성, 그리고 이들의 관계에서 배태되는 경험과 정서적 감응에 대한 고려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에서 전개되는 모빌리티・부동성의 정치를 파악하고자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 COVID-19 집단감염 사례를 모빌리티와 생명정치의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모빌리티의 동기, 흐름, 리듬에 대한 검토가 행위 주체의 정체성, 관계성, 그리고 미시적・지역적 차원에서의 사회공간성이 변화되는 과정을 이해하고 그 상호작용에 내포된 정치적 의미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둘째, 해양과 육지의 관계가 선박 모빌리티, 기항지, 모빌리티 환승을 통해 지속적인 이동의 흐름・리듬으로 통합될 수 있으며, 정치적・경제적 의도에 따라 분리되고 재연결되는 등 가변적인 경계화 과정에 의존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셋째, 선박이라는 미시 공간에서 작동하는 생명정치의 규율 메커니즘과 안전장치가 육지에서와는 다른 위기 상황을 만들어냈으며, 이는 감염병 관리와 정보 순환의 차이에 기인하였음을 밝혔다. The COVID-19 outbreak on the Diamond Princess cruise ship in 2020 has not only medical and pathological implications, but also calls for consideration of social relations and the politics of mobility, which include the composition of objects and technologies for prevention of infectious diseases and the experiences and affects produced by these relationship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se of the COVID-19 outbreak on the Diamond Princess cruise ship from the perspective of mobility and biopolitics, identifying the politics of mobility and immobility in the maritime domai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tives, flows, and rhythms of mobility can help understand the processes by which identities, relationships, and socio-spatialities at the micro and local levels are transformed, which indicates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their interactions. Second, land-sea relations can be integrated into continuous rhythms of movements through ships’ mobility, ports of call, and mobility transfers. This shows that they can be disconnected and reconnected according to political and economic intentions, relying on variable processes of bordering. Third, disciplinary mechanisms and security apparatuses of biopolitics operating in the microspace of ships create different crisis situations than those on land, due to differences in infectious disease management and circulation of information.

      • KCI등재

        사용자 심층인터뷰를 통한 공기청정기의 의미 분석에 관한 연구

        박준홍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8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rive the meaning from air purifiers that perceive by analyzing users' perception and behaviors about air purifiers based on the in-depth interview.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echnical definitions and core functions of air purifiers were confirmed and analyzed the research methods between air purifiers and users by tracking the literature study of last decade. Based on this,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14 peoples between the ages of 20 and 40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air cleaner that users perceive. Interview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ree stages subject cording, categorization of meaning, and conceptualization of meaning.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behavior of users using air cleaner could be classified into 4 types of group, a groups that are constantly in use, a group that uses passively since purchasing an air purifier, a group that is not used after purchasing an air purifier, And finally, who do not want to buy an air purifier. Through this classification, the meaning of the air purifier recognized by the user could be divided into groups.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meaningful and worthy of being able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air cleaner from the existing research method and try to interpret the new alternative. However, it is a limitation of this study that the scope of users is limited to domestic and the number of in-depth interviews is limited to 14 people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continuous research will be required, and various studies will be attempt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user more deeply. 본 논문은 심층인터뷰를 바탕으로 공기청정기에 대한 사용자 들의 생각과 행태를 분석하여 사용자들이 인식하는 공기청정 기의 의미를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공기청정기의 기술적 정의와 핵심기능을 확인 하였으며, 지난 10년간의 문헌연구를 추적하여 공기청정기와 사용자를 활용한 연구방법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용 자들이 인식하는 공기청정기의 의미를 도출하기 위해 20대에 서 40대 사이의 남녀 14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인터뷰를 기획 하고 진행하였다. 인터뷰는 주제별 약호화, 의미의 범주화, 의 미의 개념화의 3단계를 기준으로 분석하였으며, 도출된 내용 을 바탕으로 사용자가 인식하는 공기청정기의 의미를 개인화 된 경험(Experience)과 사회적 의미(Perception)로 구분하여 구조화 하였다. 연구의 결론으로 공기청정기를 사용하는 사용 자의 행태를 크게 4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는데, 지속적으로 사 용하고 있는 그룹, 공기청정기 구입 후 소극적으로 사용하는 그룹, 공기청정기를 구입 후 사용하지 않는 그룹 그리고 마지 막으로 공기청정기를 구입할 생각이 없는 그룹이다. 이와 같 은 분류를 통해 사용자가 인식하는 공기청정기 의미를 각 그 룹별로 나누어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결론에서 심층인터 뷰의 결과를 바탕으로 디자인 개발을 위한 전략과 새로운 관 점을 대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기 존의 연구방식에서 벗어나 공기청정기의 의미를 분석하고 해 석을 시도하여 새로운 대안을 고찰한 것에 그 의미와 가치가 있다. 하지만, 사용자의 범위를 국내로 한정한 것, 그리고 심 층인터뷰의 인원이 14명으로 제한된 것은 본 연구의 한계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지속적인 후속연구가 요구되며, 이를 통 해 사용자 의미를 보다 깊이 있게 이해 할 수 있는 다양한 시 도들이 연구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 KCI등재

        코로나19 집단감염 사례를 통해 본 소수자에 대한 사회공간적 배제: 이태원 클럽 감염을 중심으로

        박준홍,백지혜,이지나,정희선 국토지리학회 2021 국토지리학회지 Vol.55 No.2

        Through the case of coronavirus cluster originated from Itaewon clubs in Seoul, this study identified the multiple stigmatization and socio-spatial exclusion of minorities in terms of mobility and place identity, stressing the meaning and role of an inclusive city. A network analysis of keywords extracted from newspaper articles regarding Itaewon coronavirus outbreak which occurred in May 2020 was carried out in conjunction with keywords from online comments on the articles. The keywords and adjectives used in the comments showed the public criticism of the entire LGBTQ community rather than an individual as a confirmed case, along with a negative perception of Itaewon. This indicates that the disclosure of travel logs as an act of biopolitics exposes the mobility capital of minorities, and that the negative perception of minorities is extended to places and regions accommodating the spaces appropriated for them. It is suggested that the problems of stigmatization and exclusion of minorities related to infectious diseases can be alleviated by spreading the perspectives of an inclusive city, together with communication strategies focusing on the human rights of minorities and infected persons and expanding awareness of spatial diversity. 본 연구에서는 국내 코로나19 집단감염 사례를 통해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다중 스티그마와 배제를 모빌리티와 장소 정체성의 관점에서 파악하고 포용도시의 의미와 역할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5월 발생한 이태원 클럽 집단감염을 사례로 일간지 기사 텍스트에 나타난 키워드와 댓글 키워드를 추출한 후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댓글에 쓰인 키워드와 형용사는 확진자로서의 개인이 아닌 성소수자 집단 전체에 대한 비난과 이태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보여주었다. 이는 생명정치의 행위로 이루어지는 확진자의 이동 동선 공개가 소수자의 모빌리티 자본을 폭로하고, 소수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다시 소수자 전유 공간을 수용하는 장소・지역으로 확장됨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감염병 상황에서의 낙인과 배제의 문제는 포용도시가 강조하는 문화 다양성과 관용성의 관점을 견지함으로써 완화될 수 있는데, 특히 소수자와 감염자의 인권과 사회심리적 효과를 고려한 헬스 커뮤니케이션 전략과 공간적 다양성에 대한 인식 확대가 중요하다.

      • KCI등재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 통한 제주 예멘 난민의 관계성의 이해

        박준홍,정희선 한국도시지리학회 2019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2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rehend the Yemeni refugee crisis in Jeju as a process of establishing and dismantling a network of various human and non-human actors by examining the discourses on refugee acceptance and opposition in relation to human rights and social security. The visa-free entry policy in Jeju Island was a major actor in Yemeni refugees’ entry into South Korea in 2018, and the international refugee protection system such as the Refugee Convention, Refugee Act, and the Korean Refugee Act (2013) played a role of key actors in the formation of refugee actor-networks. In addition, social media through which Yemeni refugees shared information on the Jeju Island’s visa-free system as well as mass media which spread information about Yemeni refugees’ entry and Islam as a heterogeneous cultural element also included multifarious social actors previously unrelated to refugee issues in the network. In understanding the major elements of the socio-political debates on Yemeni refugees, it is necessary not only to consider non-human actors such as refugee-related policies and institutions, including social media and mass media reports but also to reflect the relational processes of actions related to refugees, such as human rights protection and social security identified in terms of actor-network transformation and (re) configuration. This approach considers refugees as relationally formed actors, rather than beings with certain absolute attributes, providing an opportunity to recognize refugee problems in the context of network building among human and non-human actors. 본고에서는 제주 예멘 난민 사태를 다양한 인간 및 비인간 행위자의 네트워크 구축과 해체의 과정으로 이해하고 난민 수용과 반대, 인권과 사회안보 등의 난민 담론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제주도 무사증 제도는 2018년 예멘난민 입국의 주요한 행위자로 작용하였으며 난민협약 및 난민의정서 등 국제난민보호제도와 국내 난민법(2013년) 도 기존 네트워크의 해체와 새로운 난민 행위자-네트워크의 형성에 있어 핵심적인 행위자로 기능하였다. 또한 예멘난민이 제주도 무사증 제도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고, 예멘 난민의 입국과 이질적 문화요소로서 이슬람교에 대한 정보를 확산시킨, 사회적 매체와 대중매체 역시 난민 문제에 무관했던 사회 주체들을 네트워크에 포섭시켰다. 제주 예멘 난민에 관한 사회정치적 논쟁의 핵심을 이해하는 데 있어 난민 관련 정책 및 제도, SNS, 언론 보도 등 비인간 행위자에 대한 고려는 필수적일 뿐만 아니라 난민과 관련된 관계적 실천 과정, 즉 인권 보호와 사회안보의 이슈를 행위자-네트워크의 변형과 (재)구성의 관점에서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난민을 특정한 본질적 속성을 지닌 존재가 아닌, 관계적으로 형성되는 행위자로 간주함으로써 난민 문제를 재인식시키는 데 일조할 수 있다.

      • KCI등재

        틀(frame) 유형을 활용한 협상 교육 내용 연구

        박준홍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5 국어교육연구 Vol.36 No.-

        This study examined frame categories’ importance and limits as they apply to negotiation education. Frames are tools that enable people to understand and interpret conflicts and to resolve them strategically. Therefore, knowledge of frames can be valuable to students who deal with conflicts when negotiating. Using frames as a way to negotiate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because frames have not yet been applied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To fill that gap, this study analyzed the limits of frame categories and suggested a solution in two dimensions. Last, this study presented the content of negotiation education using frame categories. 협상은 상반되면서도 공통된 이익에 관한 갈등을 조정하여 양측 모두의 이익을 증진시키는 방법이다. 따라서 갈등의 양상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그에 따라 갈등을 조정하는 전략을 세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고에서는 협상의 이러한 본질을 고려하여 틀(frame) 유형을 협상의 교육 내용으로 제안하였다. 틀은 갈등당사자들이 갈등에 관한 세계를 해석하는 데 사용되는 렌즈와 같기 때문에 틀을 분석함으로써 어느 지점에서 갈등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갈등을 조정할 수도 있어 갈등 조정 방법인 협상에서 큰 유용성을 지니기 때문이다. 실제로 본고에서는 틀에 관한 선행연구와 현재 협상 교육 내용의 고찰을 통해, 기존의 교육 내용을 보완해 줄 수 있는 ‘틀 유형을 활용한 협상 교육 내용’의 세 가지 이점을 밝히었다. 그러나 틀 유형에 관한 논의는 그동안 국어교육 분야에서 거의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그대로 협상 교육 내용으로 도입하는 데에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를 교육 내용화하기 위해 틀 유형 자체에 관한 문제와 틀 유형 활용 방식에 관한 두 가지 차원의 문제점을 도출하였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