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한승의 1920년대 창작동화 연구

        박주혜(Park, Ju-Hye) 우리문학회 2021 우리文學硏究 Vol.- No.72

        본 연구는 아동문학가 고한승의 1920년대 창작동화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고한승은 1923년에 처음으로 창작동화를 발표한 이후, 1930년까지 10여 편의 창작동화를 발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그간 고한승의 창작동화의 한계점으로 평가받아 온 설화적 특성을 고한승 작품만의 특수성으로도 파악할 수 있음에 주목한다. 이를 위해 우선 고한승 작품에 드러나는 상상력의 의미를 살펴본다. 그의 작품이 설화적 특징을 가졌다는 것은 비현실적인 요소를 다수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반증한다. 이러한 요소들을 환상적인 상상력의 구현으로 해석한다. 상상력이 시작되는 지점에 작가가 당대 현실에서 포착한 한계의 지점이 있고, 이를 기반으로 상상력이 발휘되고 있음을 살펴본다. 고한승 창작동화의 인물들은 생각하는 주체에서 행동하는 주체로 이행한다. 이를 통해 작가는 주변을 세심히 살피고, 함께 아파할 수 있으며, 마음을 행동으로 실천해야 함의 중요성을 드러낸다. 작품 내에서 더욱 강조된 타자를 위한 행동은 고한승이 당대의 독자 아동들에게 무엇보다 강조한 가치이다. 이러한 지점을 독자 아동들에게 쉽고 일상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고한승은 설화적 형식을 의도적으로 선택한다. 아동들의 현실과 작품의 거리감을 좁히기 위하여 자연환경에서 작품의 소재를 선택하였고, 설화적 형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왔음을 살핀다. 고한승은 1920년대 누구보다 선구적으로 창작동화를 창작한 아동문학가이다. 그는 1920년대 아동문학에 특수하고, 확고한 방법으로 자신을 기입하고 있었다. In this study, Go Han-seung’s creative children’s stories from the 1920s are reviewed in detail. After his first children’s story in 1923, Go Han-seung published more than 10 stories until the 1930s.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feature of folk tale,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the limit of his creative children’s stories, can be comprehended as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the imaginative aspects of his stories are understood first. At the point where imagination starts is the point of limit he grasped in the reality of those days, and based on this, his imagination is exercised. Characters of his works are switched from the subjects of thinking into those of acting. Through this, he reveals the importance of observing surroundings meticulously, sharing sorrows, and practicing mind into action. In order to convey this to young readers easily and frequently, he inevitably chose the folk tale as the most appropriate form of storytelling for the purpose. To narrow down the distance between reality and stories, he picked up subjects from the natural environment and wove them into folk tales. Go Han-seung is a pioneering writer of children’s stories. He holds a distinct and strong position among the writers of children’s literature of the 1920s.

      • KCI등재

        소리내어 생각하기(Think-aloud) 방법을 통한 청년층과 노년층의 추론특성 비교

        박주혜(Park, Ju Hye),윤지혜(Yoon, Ji Hye)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4 재활복지 Vol.18 No.2

        노화에 따른 인지 및 언어능력의 변화는 일상적인 삶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노인은 청년에 비해 인지적 처리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말과 더불어 글을 이해하는 수행력이 감소하며, 언어를 기억하는 능력도 저하된다. 따라서 글이나 대화의 내용을 이해하고 쫓아가는데 어려움을 보이고 더불어 사실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새로운 결론을 이끌어내는 처리과정인 추론에서도 어려움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노화에 따른 추론능력을 비교해보기 위하여 교육년수 12년 이상인 정상노인 25명과 정상청년 30명을 대상으로 이야기 산출을 유도하였다. 과제 유도방법으로는 시각적으로 제시되는 이야기 글을 대상자가 스스로 읽어 가면서 그 과정에서 떠오르는 생각을 말하는 '소리내어 생각하기(think-aloud)'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이야기를 읽는 동안 발생되는 추론의 양상(설명, 예견, 연상) 및 문장에 대한 추론을 이끌어 내기 위하여 정보를 제공한 기억작용(활성화, 유지, 인출)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정상노인이 정상청년보다 더 적은 수의 추론을 산출하였다. 둘째, 정상노인은 정상청년보다 예견의 횟수가 유의하게 더 적었다. 셋째, 정상노인은 연상, 설명, 예견 순의 추론양상을 보였으나 청년은 연상, 예견, 설명 순이었다. 넷째, 정상노인은 정상청년과 기억작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섯째, 정상노인은 추론을 통한 이야기 친숙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정상노인들은 청년에 비해 글을 읽고 이야기를 산출할 때, 추론을 하거나 미래를 예측하기 보다는 현재 읽고 있는 문장 내용을 중심으로 글을 이해하고 산출하는 양상이 두드러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Changes in cognition and language competence caused by aging are considered very much important in that they could have an influence on everyday lives of people. Since the elderly would need more time to deal with their cognitive processing than the young would, the former is believed to have some decreased understanding not only on spoken language but also on written language as their ability to remember a language deteriorates. In that regard, when it comes to following what is being talked about during a conversation, the elderly come to have a sense of difficulty and inconvenience. In addition, the elderly would have a hard time with inferences, a work to reach to a new conclusion based on actual information. In order to compare abilities to infer, our study led 25 normal elderly who have educated for more than 12 years and 30 young individuals to produce stories. As for a way to make the research participants fulfill the assignment, the study used a 'think-aloud' method which would encourage the research participants, first, to read any visually-provided stories to themselves and second, to tell ideas which they would have while reading the stories loud. For analyzing the data, we measured the memory behaviors (activation, preservation, retrieval) which has been used to provide the participants with information, helping them with types of inference (explanation, prediction, association) and inference on sentences as well when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reading the stories.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normal elderly have produced a less number of inferences than the young have. Second, the normal elderly were observed to make a fewer predictions than the young have. Third, while the normal elderly went with the types of the inference in order of the association, the explanation and the prediction, the young worked with the association, first, then the prediction and the explanation. Four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emory behavoirs between the two groups. Fifth, within the normal elder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inferences depending on familiarity with the stories. In the light of what has been understood so far, we concluded that when the normal elderly try to produce a story after reading, they would rather need to understand the reading for sure before they actually produce a new story, focusing on those sentences written in what they are working on. After all, this way of how the elderly work is considered different from a process of how the young work with either the inference or the prediction.

      • KCI등재

        뇌성마비인 언어 중재 연구 동향 분석

        박주혜(Park Ju Hye)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논총 Vol.37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뇌성마비인을 대상으로 한 국내 언어 중재 연구의 동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뇌성마비 언어 중재의 이해를 넓히고, 향후 요구되는 중재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6년부터 2020년까지 최근 15년간 국내 뇌성마비 언어 중재 연구 31편을 선정 후, 분석 기준에 따라 일반적 특성과 방법론적 특성에 따라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은 연령대와 뇌성마비 유형, 중재 장소, 중재 방식에 따라 분석하였다, 방법론적 특성은 중재 기간, 독립변인, 종속변인, 연구 설계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령대는 학령기를 대상으로 한 경우가, 뇌성마비 유형은 경직형을 대상으로 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중재 장소는 학교와 치료실에서 중재자가 직접 중재한 경우가 많았다. 중재 회기는 16~20회가 가장 많았다, 독립변인은 보완․대체 의사소통을 사용한 경우가, 종속변인은 화용론 연구가 가장 많았다. 설계 방법은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이용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결론: 지금까지 뇌성마비 언어 중재 연구의 흐름이 뇌성마비의 제한된 구어 기능 특성을 반영한 소통체계 사용과 기능적 중재를 목표로 한 연구가 많았다면, 이후에는 시대의 흐름에 맞는 기술을 적용하여 더욱 다양한 언어 영역의 중재 연구가 이루어질 것을 기대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broadening the understanding of language interventions for cerebral palsy through an by analysis of the trends in domestic research on language interventions for people with cerebral palsy and discussion of the direction of the intervention research required henceforth. Method: A total of 31 studies on language interventions in people with cerebral palsy conducted in Korea from 2006 to 2020 were se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general and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analysis criteria.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cluded age, cerebral palsy type, intervention location, and method. The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included intervention period,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 and study design type. Result: School-aged subjects and spastic types were the most common age group and cerebral palsy type respectively. For the intervention location, the practioners provided mediation directly in schools and treatment centers most often, and the most frequent number of sessions provided was 16 to 20.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nd pragmatic studies were the most common among th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respectively. Regarding the design method, the intermittent baseline design was the most common method employed. Conclusion: Hitherto the flow of language intervention research for people with cerebral palsy has been focused on the use of communication systems and functional interventions that reflect the limited verbal functio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ndition. Now, it is expected that more diverse language domain intervention studies will be conducted by applying technologies suitable for the current trends.

      • KCI등재

        『동화와번역』 : 이태준과 현덕의 유년동화에 나타난 아동의 구현 양상 연구

        박주혜 ( Ju Hye Park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4 동화와 번역 Vol.27 No.-

        아동은 당대 사회의 지배적 이데올로기를 담아내는 기표이다. 식민지시기에 아 동은 다양한 양상으로 투영된 이데올로기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1920년대 동심천 사주의적 아동관을 지나, 1930년대 중반까지는 카프계열의 리얼리즘을 강조한 사 회주의적 아동관이 나타났다. 카프 해산 이후 이러한 이데올로기와 결별을 하게 되면서, 비어있는 공백을 메우고자 했던 아동 문학 작가들의 노력은 ‘있는 그대로 의 아동’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 ‘있는 그대로의 아동’을 포착하려 했다는 점에서 1930년대 중반 이후 아동 문 학 작가들의 작업은 진정한 아동을 복권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볼 수 있다. 이들은 아동들을 아동되기로서의 주체로 그려내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리고 이태 준과 현덕의 유년동화는 이러한 지점에서 유의미하게 논의되어야 한다. 두 작가의 유년동화에는 아동되기로서의 주체 형성 양상이 구체적으로 나타 난다. 이러한 특징은 내용적인 측면과 형식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 볼 수 있다. 먼저 내용적인 측면에서의 양상 첫 번째는 아동인물이 엄마와 직접적인 관계 성을 생산한다는 점, 두 번째는 놀이를 통해 즐거움을 느끼는 아동이 탄생한다는 점, 세 번째는 아동인물들이 호기심과 천진성을 보인다는 점, 네 번째는 유년동화 에 나타난 아동인물들이 자기중심적 사고를 보인다는 점이다. 형식적인 측면에서의 양상 첫 번째는 의도적으로 반복구조와 열린 결말을 사용 하고 있다는 점이고, 두 번째는 관찰자 시점을 사용하여 서술자의 개입을 최소화 하고 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이태준과 현덕의 유년동화에서 즐거워하는 아동의 모습이 왜 나타 나게 되었는가에 주목해보았다. 즐거워하는 아동의 탄생은 시대의 모순을 드러내 고 있는 것이며, 그에 대한 고발이다. 이러한 현상은 결코 웃을 수 없는 시대에 대 한 은근한 폭로를 내재하고 있다. 이처럼 이태준과 현덕의 유년동화에 나타난 아동의 구현 양상은 진정한 아동 을 복권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살펴볼 수 있다. 아동되기로서의 주체 형성 과정은 이러한 모습을 더욱 확실시 하는 것이며, 이러한 모습의 아동이 구현되어 나타난 것은 시대적 상황을 고려할 때 필연적인 것이다. Taejun Lee and Hyeondeuk`s children`s stories show the specific process of child-becoming as an example of the formation of subjectivity. This characteristic can be divided into content and form. In terms of content, the first thing to notice is that their child characters form a direct relationship with their mothers. The second aspect is that children started to feel pleasure through playing. The third is that child characters are innocent of and curious about things. The fourth is that these characters tend to think in a self-oriented manner. In terms of form, the first formal aspect is that these stories intentionally use repetitive structures and open endings. Second, they use the observer`s perspective to minimize narratorial intervention. Lastly, this study explores why Taejun Lee and Hyeondeuk`s children`s stories show happy children enjoying themselves. The appearance of children enjoying themselves reveals the social contradictions of the time and the denouncement thereof, implying a subtle critique of a period when one can never enjoy oneself or laugh. As such, the depiction of children in Taejun Lee and Hyeondeuk`s children`s stories shows their efforts to restore the genuine character of children. The process of forming children as the main subjects under the theme of child-becoming reaffirms such a depiction. Given the situation of the period, this type of depiction of childhood is necessary.

      • KCI등재

        연성흠의 아동문학 연구

        박주혜(Park, Juhye)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21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8

        연성흠의 아동문학 작품은 배려 및 희생과 도움의 가치를 강조한다. 이는 작가 연성흠이 1920년대를 바라보는 시선이기도 하다. 연성흠은 이러한 의도를 드러내는 방향으로 작품을 구조화한다.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작품의 주요 메시지를 전달하는 아동주체의 주변인으로서 타자들을 매우 중요하게 다룬다. 두 번째, 이렇게 만들어진 주변인, 즉 타자의 시선에서 아동주체의 의미가 생성된다. 세 번째, 관찰자 시선을 통하여 객관적으로 인물과 상황을 보여준다. 이러한 특징은 작가가 전달하고자 한 주제의식을 더욱 잘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 연성흠의 아동문학 작품에서는 메시지 전달 주체보다 주변인으로서 타자의 캐릭터성이 더욱 부각된다. 욕심을 부리지 말고, 잘 참아야 하며, 타자에게 공감하고 위로를 줄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 작품의 주요 메시지이다. 이때 메시지 전달 주체보다 주변인 캐릭터를 더욱 공들여 만들어 놓음으로써 주인공의 행동과 사건의 결과에 더욱 당위성을 부여한다. 주변인 캐릭터를 통하여 독자의 동의를 얻어내는 방식을 선택한다. 연성흠의 작품에 내재되어 있는 주제의식인 배려, 연대, 도움의 가치는 주체가 스스로 정의내리는 것으로는 진정한 의미 확보가 불가능하다. 이러한 가치는 타자의 인정을 통해서만 생성된다. 연성흠은 타자의 시선 속에서 주체가 탄생되는 순간을 포착한다. 객관적으로 상황을 서술하는 관찰자 시점 또한 주제의식을 효과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의도적으로 선택된 것이다. 연성흠의 아동문학은 힘들고 괴로운 시대적 현실 속에서도 주변인을 통하여 존재의 가치를 깨닫고, 주변인에게 도움이 되는 행위를 삶의 동력으로 바라본다. 연성흠은 1920~30년대 초반 다양한 아동문학 작품 속에서도 자신만의 특성을 작품에 녹여내고 있다. Yeon Seong-Heum’s children’s literary works emphasize the meanings of consideration, sacrifice, and help, which is his viewpoint on time. Yeon Seong-Heum structuralizes his works in the direction to fully show this intention. As the first characteristic, others are handled very importantly as surrounding people of a child subject who delivers the main messages of the work. In the second characteristic, the meaning of the child subject is formed in the viewpoint of surrounding people and others. In the third characteristic, the main character, surrounding people, and situation are objectively described in the viewpoint of observer. Those characteristics fully show the author’s thematic consciousness. In Yeon Seong-Heum’s children’s literary works, the characters of others are more highlighted as surrounding people than the subject of message delivery. The main messages of his works are like ‘Everyone should become a person who is patient without greed, and also empathizes and supports others’. By putting more effort on the creation of surrounding characters than the subject of message delivery, the rightfulness is given to the main character’s action and result. He obtains readers’ consent through the characters of surrounding people. Regarding the values like consideration, solidarity, and help, which is the thematic consciousness inherent in Yeon Seong-Heum’s works, the definition made by the subject is not good enough to secure the true meanings. Such values could be formed only by others’ recognition. As a method to deliver this thematic consciousness, Yeon Seong-Heum captures the moment when a true subject is born in others’ eyes. The viewpoint of observer objectively describes every situation and fairly describes works without concentrating on a specific character. Through this method, the readers could view the subject that has passed others’ eyes, instead of the subject’s position. This method is intentionally chosen by the author to effectively show the thematic consciousness penetrating the work. Yeon Seong-Heum’s children’s literature realizes the value of beings through surrounding people, and also regards the acts helpful for surrounding people as motive power even in difficult and painful reality of the time. Among various children’s literary works of the 1920s~1930s, Yeon Seong-Heum shows his own unique characteristics in his works.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Yeon Seong-Heum’s children’s literature i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strengthening the basis of Korean modern children’s literature.

      • EIS 기반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최적 등가회로 모델 연구

        박주혜(Park, Joohye),홍진영(Hong, Jinyoung),최하진(Choi, Hajin) 한국콘크리트학회 2021 한국콘크리트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33 No.2

        이 연구에서는 굳지 않은 시멘트계 재료를 대상으로 EIS를 적용하여 최적의 등가회로 모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기존 문헌에서 제안된 등가회로 모델 모두 확인하였으며, 자체 실험을 통하여 얻은 300개의 데이터에 각각 적용하였다. 최적화 과정을 통하여 최적 등가회로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지표인 Goodness는 0.052로 도출되었다. This study confirmed the optimal equivalent circuit model by applying EIS to fresh cementitious materials. The equivalent circuit models proposed in the existing literature were analyzed and applied to 300 data obtained through our EIS experiment. As a result, the best-fit equivalent circuit model was presented through the optimization process, and Goodness, a indicator of correlation, was derived as 0.052.

      • KCI등재

        마해송의 『앙그리께』에 나타난 만남의 우연성에 관한 연구

        박주혜(Park, Ju-Hye) 한국현대소설학회 2019 현대소설연구 Vol.- No.74

        『Angriggae』 is the first full-length children’s story by Ma Hae-Song. Till now, most previous studies on 『Angriggae』 solely focused on either historical consciousness or political consciousness of the author, or the aspect of a certain religion, and there was no attempt to address why the author chose a format of full-length children’s story or its aesthetic elem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aesthetic element of 『Angriggae』 from its internal aspect. The contingency of encounter is positively functioning in this story, and becoming the power to lead the story. The accidental encounter of the characters should be considered as a reward itself. Only the new relationships that Yeongae and her family establishes after overcoming a series of misfortunes are the only reward that they could earn from harsh struggles for survival. This story, in which the characters claim their positions via contingency, is trying to give the idea that contingency could be rewarding as it is, rather than simple overuse of contingency. ‘Absolute negativity’, constructing the core of the self for the main characters are expressed as human decency and consciousness of co-existence. The phrase “Angriggae” spoken by various characters is changing in its meaning in the beginning, middle, and late part of the story. The author’s intention of emphasizing both human decency and consciousness of co-existence via contingent encounters and repeatition of “Angriggae” in the story has been successful since it is a children’s story in which various events are intermingled and tangled.

      • KCI등재

        경도 지적장애아동의 관형절이 포함된 내포문 이해에 관한 연구

        박주혜(Ju Hye Park),김영욱(Young Wook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4 No.4

        배경 및 목적: 관형절의 첨가위치와 관형절이 수식하는 명사의 격표지의 병행기능 단서에 따른경도 지적장애아동의 관형절이 포함된 내포문의 이해특성을 살펴봄으로써, 경도 지적장애아동의 언어이해 평가와 아동의 수준을 고려한 적절한 중재계획과 실행을 위한 임상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언어연령 5∼6세인 경도 지적장애아동 20명과 일반아동 20명을대상으로 연구자가 작성한 검사문장과 검사그림의 도구를 이용하여 그림선택 과제를 통한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첫째, 관형절의 첨가위치 단서에 따른 이해특성에있어서는 두 집단 모두 왼쪽 분지문의 이해도가 가운데 내포문의 이해도보다 높았다. 둘째,관형절이 수식하는 명사의 격표지의 병행기능 단서에 따른 이해양상에 있어서는 두 집단 모두관형절이 수식하는 명사의 격표지 기능이 병행인 경우가 병행이 아닌 경우의 이해도보다 더높았다. 논의 및 결론: 경도 지적장애아동의 관형절이 포함된 내포문의 이해 증진을 위한 효율적인 중재를 위해서는 관형절 자체가 지니는 구문적 특성과 아동이 지니는 이해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identify differences in their ability to comprehend relative clause sentences, depending on additional position and function cues of parallel function. We aimed to obtain data to design effective intervention plans for these children, with consideration for the level of their language comprehension. Methods: We surveyed 20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se language age was between 5 and 6-years-old and 20 non-disabled children. We collected data using test pictures and test sentences prepared by the researcher to determine ability of each child to understand relative sentences through the sentence-picture verification test. Results: First, with respect to positional cues, both groups appeared to be better at understanding left branching sentences than center-embedded sentences. Second, the use of parallel function cues resulted in better understanding than when different case-marker function cues were used.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it is necessary to promote and activate language comprehension in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through complementary strategies involving the efficient arbitration strategy, the children’s characteristics of understanding, and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relative clau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