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순환식 유산소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폐 기능 및 보행 지구력에 미치는 영향

        박종준 ( Jong-june Park ),최윤희 ( Yoon-hee Choi ),차용준 ( Yong-jun Cha ) 대한물리의학회 2016 대한물리의학회지 Vol.11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a circuit aerobic exercise program positively affects pulmonary function and gait endurance in chronic stroke patients. METHODS: Twenty-four chronic stroke patients were allocated equally and randomly to an experimental group (n=12) or a control group (n=12). All participants received 60 minutes of comprehensive rehabilitation treatment, the experimental group additionally performed a circuit aerobic exercise for 30 minutes, while the control group additionally performed a general aerobic exercise, i.e., gait training on the treadmill for 30 minutes. These 30-minute exercise sessions were held three times per week for six weeks. Pulmonary function was assessed using forced vital capacity (FVC),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 and maximal voluntary ventilation (MVV), and gait endurance was assessed using the 6-minute walk test (6MWT). RESULTS: In the both groups, FVC, FEV1, MVV, and 6MW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raining. Members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FVC, FEV1, and MVV, and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s than controls (p<.05). However, 6MWT improvem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two groups (p>.05). CONCLUSION: The devised circuit aerobic exercise program offers an effective rehabilitation aerobic exercise for improving pulmonary function and gait endurance in patients after chronic stroke.

      • KCI등재

        관습주의의 도덕철학적 쟁점들

        박종준(Park, Jong-June)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9 철학사상 Vol.71 No.-

        관습주의에 대해서 다양한 도덕철학적 문제들이 제기되어 왔다. 그 중 대표적으로는 관습의 역할, 관습에의 순응과 관습의 보수성 그리고 관습의 상대성으로부터 비롯되는 도덕규범의 상대성 문제 등이 있다. 이런 문제들은 관습주의로 불리는 논의들의 공통된 입장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따라 대답될 수 있는 것들이다. 이 논문은 관습주의의 대표적인 논의들을 살펴봄으로써 관습에 대한 정의와 관습의 핵심 기능을 중심으로 한 관습주의의 주요 논점을 규명한다. 관습주의의 주요 논점이자 공통기반은 관습을 조정(coordination) 상황에서의 협조 해(solution)로 이해함으로써 규명될 수 있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제기된 도덕철학적 문제들이 관습주의의 중대한 문제점이 될 수 없다는 것을 논변한다. 한편 이러한 논의의 과정에서 관습주의의 도덕철학적 한계 역시 논의될 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먼저 관습주의의 공통기반인 조정의 해로서 관습을 규명한다. 이 후 관습주의에 제기된 도덕철학적 문제점들을 중점적으로 논의한다. 아울러 관습주의의 도덕철학적 한계가 어디에 있는지를 간략히 살펴본다. Some moral philosophical questions have been raised regarding conventionalism. Among them, the questions about the function of convention, the problem of conformity to convention and relativity of conventions are the most widely known. These questions can be answered dependent on what conventionalism posits in general. Unfortunately, conventionalism is not a theory espoused by one philosopher, so an investigation of the common ground of conventionalism is necessary. People conform to convention based on the fact that other people do too. As such, a convention is to be shown as an equilibrium that everyone expects in a coordination game. This paper will show that such questions are not moral philosophical problems of conventionalism. On the other hand, it will also show the limits of conventionalism in moral philosophy.

      • KCI우수등재

        죄수의 딜레마에 대한 해법으로서의 정부

        박종준(Jong-June Park) 한국철학회 2011 철학 Vol.0 No.108

        이 논문에서 논의되는 주제는 다음과 같다. ① 홉스와 흄의 논의는 죄수의 딜레마에 어떻게 개입되어 있는가? ② 죄수의 딜레마에 대한 두 사람의 입장차는 무엇이고 해법은 무엇인가? ③ 죄수의 딜레마에 대한 해법으로서 정부는 얼마나 신뢰할 만한가? 이러한 논의는 인간이 처해 있는 상황에 대한 홉스와 흄의 진단으로부터 시작된다. 홉스적 상황과 흄적 상황에서는 서로 다른 게임이 연출되고, 게임이 다른 만큼 해법 또한 다르다. 홉스적 상황은 합리적이고 이기적인 개인들이 자신의 소유를 지키기 위해 경쟁하는 “자연상태”이다. 반면, 흄적 상황은 공동 이익의 추구가 문제되는 공동체적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의 차이에 의해 서로 다른 딜레마 게임이 연출되는데, 홉스적 상황에서는 전형적인 죄수의 딜레마게임(prisoner's dilemma game)이 벌어지고, 흄적 상황에서는 사슴사냥게임(stag hunt game)과 같은 조정게임(coordination game)이 연출된다. 여기에서 흄의 진단과 해법이 홉스의 그것에 대해 가지는 비교우위가 드러난다. 홉스와 흄은 모두 죄수의 딜레마에 대한 해법으로서 정부를 주장한다. 그러나 정부라는 사회적 장치는 하나의 심각한 논리적인 난점을 가지고 있는데, 그것은 정부 자체가 하나의 공공재라는 사실에 기인한다. 공공재 도입을 위한 게임에서는 무임승차가 우월전략이고, 무임승차는 죄수의 딜레마적 상황의 재현이다. 따라서 정부 도입을 위한 선결조건은 다름 아닌 죄수의 딜레마 그 자체의 해소이다. The Prisoner’s Dilemma is a common theme in Hobbes and Hume, and they suggest same solution: the government. But the situations in which the dilemma arises are not the same; different situations make different games. In Hobbesian ‘natural state’, it is a ‘prisoner’s dilemma game’ that takes place, while it is a ‘coordination game’ in Hume’s ‘community’. Hume’s solution has two different dimensions, and that makes his superior to Hobbes’s. Nevertheless, the solution reaches a dead end because of the fact that the government itself is a public goods. In a public goods dilemma game, the dominant strategy is to free ride.

      • KCI우수등재

        자연상태에 대한 확신게임(assurance game) 모델화의 난점과 과제

        박종준(Jong-June Park) 한국철학회 2012 철학 Vol.0 No.113

        홉스의 자연상태에 대한 게임이론의 정적 분석모델인 AG게임은 다음과 같은 홉스의 정치철학의 핵심적인 요소들에 대한 정합적인 설명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난점을 가진다. ① 자연상태가 전쟁상태인 이유에 대한 설명 ② 자연상태에서의 군주(sovereign)의 역할에 대한 설명 ③ 군주 설립의 논리적 가능성에 대한 설명 AG게임모델은 ①을 잘 설명할 수 있지만, ①과 ③을 정합적으로 설명할 수 없다는 난점을 노출한다. 그런데, ③이 설명될 수 없다면 ②에 대한 설명도 어려워진다. 왜냐하면 군주 설립이 가능하지 않다면 자연상태에서의 군주의 역할도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군주의 역할이 있을 수 없다면 만인의 만인에 대한 전쟁은 끝나지 않는다. 필자는 PD게임(prisoner"s dilemma game) 모델화의 난점을 극복하기 위해 제시된 AG게임(assurance game) 모델화의 난점과 한계를 논의한다.1) 그리고 PD게임과 AG게임의 융합모델인 AD (assurance dilemma) 모델의 한계를 지적한 후 남아있는 대안과 과제를 제시한다. In series of examining static models of the state of nature, as well as Hobbes’s theory of it, I, in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 assurance game and assurance dilemma model. While it is said that the state of nature is the prisoner"s dilemma situation, on the other hand, some Hobbesian commentators argue that the state of nature can be best modeled with assurance game or assurance dilemma. However, any of those static models of traditional game theory cannot be a proper model in representing Hobbesian state of nature. They cannot explain coherently about the core contents of Hobbesian political philosophy: the reason why the state of nature is the state of war, the role of the sovereign in the state of nature,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the soveriegn. Those are not satisfactory since they are being based only on a static analysis of the state of nature. Dynamic models should be provided to get a proper apprehend the state of nature.

      • KCI우수등재

        Ethics of the Golden Rule and the Commandment of Love

        Jong-June Park(박종준) 한국철학회 2020 철학 Vol.- No.145

        황금률의 윤리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황금률과 상호주의 그리고 사랑의 법간의 관계를 다루어왔다. 황금률에 관한 기존의 이러한 연구들은 중대한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무엇보다도, 황금률이 제시되는 텍스트를 선택적으로 취함으로써, 황금률의 특징에 대한 혼동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동일한 텍스트에 나타나는 다양한 도덕규범들에 대해 일관적인 설명을 결여하고 있다. 이러한 한계들로 인하여 기존의 연구들은 황금률의 윤리가 가지는 독특성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는데, 그 독특성은 이 논문에서 제시하는 간접적 삼자관계의 논리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이다. 간접적 삼자관계는 텍스트 내에 혼재한 다양한 도덕규범들의 관계를 일관적으로 설명하고 황금률의 성격을 해명하는 한 가지 방법을 제시한다. Previous studies on ethics of the golden rule have primarily discussed the relation between the golden rule, reciprocity and the commandment of love. They have been exposing some limitations. By selectively choosing the verses of text, they led to confusion in relation to the character of the golden rule and cannot consistently explain various norms. Finally, they do not show a unique aspect of ethics of the golden rule because they do not appropriately deal with a relational logic of the indirect third-party. Indirect third-party relation can present a way to explain the relation of norms consistentl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lden rule.

      • KCI등재

        황금률에 대한 오해 또는 오용

        박종준(Park, Jong-June)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7 철학사상 Vol.65 No.-

        칸트(Kant)는 황금률을 자신의 도덕철학과 대조하기 위해서 언급하는 한편, 밀(J.S Mill)과 홉스(Hobbes)는 자신들의 도덕철학적 입장을 정당화 하기 위해서 황금률을 인용한다. 그런데 이들의 황금률에 대한 언급과 인용은 황금률에 대한 오용이나 오해에 기반하고 있다. 칸트의 황금률 오용은 황금률에 대한 축자주의와 조건적 해석에 기인하고, 밀의 황금률에 대한 오해는 공리주의와 황금률을 동일시하는데 기인한다. 홉스는 제2자연법을 황금률과 같은 것으로 보고 자연상태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지만 자연상태에서 황금률과 자연법은 동일한 행위원리가 아니다. Kant’s, J.S Mill’s and Hobbes’s references and quotations on the golden rule are based on misuses or misunderstandings. Kant misunderstands the golden rule when he takes it literally. He misuses the golden rule by making it a conditional proposition. J.S Mill misunderstands the golden rule when he thinks that the golden rule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principle of utility. He mistakes the golden rule as saying God’s spirit of the ethics of utility. Hobbes compares the second law of nature to the golden rule. However, the golden and the second law of nature could not be compared if they imply different strategic actions in the state of nature.

      • KCI등재

        현대 황금률의 도덕철학적 문제

        박종준(Park, Jong-June)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6 철학사상 Vol.60 No.-

        황금률은 보편적인 도덕원리로 적절하지 않다는 비판에 직면하여 황금률의 도덕적인 지위를 구하고자 하는 노력의 과정에서 황금률은 적지 않은 변화를 겪었고 그 과정에서 수정된 현대의 황금률들이 태어났다. 이러한 과정에서 나타난 가장 큰 변화는 황금률의 형식에 있다. 무엇보다도 현대의 황금률은 모두 일반화된 형식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일반화된 황금률이 지향하는 도덕철학적 특징은 평등주의, 상호주의, 그리고 합리주의이다. 이 논문은 황금률에 제기된 비판에 직면하여 수정되어온 현대 황금률이 심각한 도덕철학적 위험성을 안고 있다는 것을 논변한다. 그리고 이러한 도덕철학적 위험성은 고대의 황금률이 추구하는 가치와 모순된다는 점을 논증함으로써 전통적 비판으로부터 황금률을 구원하려는 노력이 실패할 수밖에 없음을 논변한다. The golden rule has been subjected to such criticism that it cannot be qualified as a moral principle. Against their critics, contemporary defenders of the golden rule have changed it into different forms. The contemporary golden rules can be characterized as ‘equalized’, ‘reciprocated’, and ‘rationalized’. Critics and defenders use a generalized form of the golden rule, in this case “Do unto others what you would have them do unto you” or “Do not do unto others what you would not have them do unto you,” known as ‘the passive rule’. I argue in this paper that the contemporary generalized golden rules have a serious moral problem and that the particular moral values indicated in the original texts from which the idea of the golden rule derives cannot be successfully emphasized in the general form.

      • KCI등재

        자연상태는 죄수의 딜레마 상황인가?

        박종준(Jong-June Park) 한국철학회 2012 철학 Vol.0 No.110

        사회계약론적 전통에서 ‘자연상태’에 대한 이해는 엇갈린다. 그것은 실제로 존재했을 것으로 여겨지는가 하면, 단지 사회계약의 성립을 위한 논리적인 전제로 가정되기도 한다. 어떤 경우에 그것은 폭력으로 점철된 전쟁상태로 그려지는가 하면, 또 다른 경우에는 평화로운 상태로 그려지기도 한다. 그것은 실제로 정부가 존재하지 않게 될 때 예상되는 무질서한 상태로서 현대에서도 발생할 수 있는 것이라고 주장되는가 하면, 인류역사에서 그와 비슷한 상태는 존재한 적도 없다고 비판되기도 한다. 홉스의 자연상태는 이러한 논란의 중심에 있다. 이와 아울러, 홉스의 자연상태에 대한 다양한 해석 모델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홉스의 자연상태는 죄수의 딜레마(the prisoner’s dilemma) 상황으로 해석된다. 반면 몇몇 대표적인 홉스의 주석가들은 자연상태를 게임이론에서 상정하는 고립적이고 효용추구적인 개인들이 딜레마에 처한 세계로 여기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그들은 홉스의 자연상태를 죄수의 딜레마 상태와 같은 게임이론적 분석의 대상으로 여기기를 거부한다. 그들에 따르면 자연상태는 대화와 협상이 가능하여 상호간의 전쟁을 자발적으로 중단할 수 있는 합리적 개인들의 세계이다. 그런데, 전자의 해석은 자연상태에 대한 동역학적 분석을 결여하는 반면, 후자의 해석은 죄수의 딜레마의 본성에 대한 이해를 결여하고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홉스적 자연상태에 대한 두 가지 상반되는 해석의 타당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서 자연상태에 대한 홉스의 기술이 어떤 점에서 한계를 노출하는지가 드러날 것이다. Opinions are split when it comes to the state of nature. It is insisted that the state of nature constitutes the PD game. In the state of nature, individuals act in such a way that the result is just a war, since the state of nature, the war, by definition, is a non-cooperative situation. Individuals find themselves in the prisoner"s dilemma game. Thus, the prisoner"s dilemma game situation is the only model that Hobbes must have assumed obtains. However, this interpretation is not satisfying since it is based only on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state of nature. Dynamic explanations should be provided, to get apprehend the state of nature. On the other hand, some Hobbesian commentators do not agree with game theoretic analysis of the state of nature. They do not regard the state of nature as the situation in which rational isolated individuals are in the prisoner"s dilemma. They contend that rational individuals in the state of nature are not isolated, so they are able to escape from the prisoner"s dilemma by communicating. The commentators contentions are misleadin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se opinions, as well as Hobbes"s theory of the state of nature. Hobbes"s theory of the state of nature is static, and I cast doubt on this. According to a statistical analysis, it is rational for any individual to choose the non-cooperative strategy. However, according to a dynamic analysis, the equilibrium might be different. Finally, I criticize Hobbes"s logical inference of the state of nature from a conception of human nature.

      • KCI등재

        사회적 딜레마에 대한 도덕철학적 해석

        박종준(Park Jong june) 대한철학회 2015 哲學硏究 Vol.134 No.-

        사회적 딜레마에 대한 전통적 입장인 합리성 해석에 따르면, 사회적 딜레마는 개인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이기주의자의 부도덕성에 기인하기 때문에 도덕이 죄수의 딜레마를 해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죄수의 딜레마를 대표로하는 사회적 딜레마에 대한 합리성 해석과 대안적 해석을 비교 검토한다. 필자는 먼저 사회적 딜레마의 원인을 이기성과 부도덕성으로 보는 합리성 해석의 타당성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죄수의 딜레마에서 게임 참여자들은 개인적 효용을 극대화 하려는 탐욕스러운 심리적 동기가 아니라 최악의 상황에 대한 고려로부터 선택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러한 심리적 동기는 일방적 착취에 대한 거부, 또는 불공평한 결과에 의한 자존감 훼손과 관련된다. 사회적 딜레마의 원인이 합리성이나 부도덕성보다는 자존감과 관련되어 있다고 볼 때의 이점은 합리성 해석에 기반 한 전통적 딜레마의 해법이 왜 효과가 없는지를 잘 보여줄 뿐만 아니라, 사회적 딜레마가 진정으로 해결되기 어려운 이유 또한 제공한다는 것이다.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social dilemmas (or rationality interpretation) notes that the dilemmas take place in the interaction between egoistic game players. That is, according to the rationality interpretation, uncooperative game players are supposed to be selfish and immoral. I shall argue that some moral philosophical problems are arising out of the rationality interpretation of social dilemmas and then discuss what should be an important point in studying the relation between social dilemmas and morality. Not all uncooperative players in the social dilemma games are egoistic. Neither are they immoral. Majority uncooperative players in any social dilemma games seem to chose their strategies not according to greed but to moral sentiments or self-regard. Not willing to be a 'sucker' seems to be the main reason of defection in the social dilemma games.

      • KCI우수등재

        반복적 죄수의 딜레마(IPD) 모델과 공동체

        박종준(Jong-June Park) 한국철학회 2014 철학 Vol.0 No.118

        강제력이 없는 상태에서 사람들 간의 상호작용이 일회적 죄수의 딜레마 게임(PD 게임)의 구조를 가진다면 상호협조가 불가능하다는 것이 게임이론의 일반적인 분석이다. 그러나 자연상태에서 사람들 간의 상호작용이 PD 게임의 구조를 가진다고 해도, 만일 그러한 상호작용이 반복된다면 자발적인 협조가 가능할 것이라는 주장도 설득력 있는 근거를 가진 것처럼 보인다. 이 논문은 반복적 PD 게임 모델(IPD)을 통하여 자연상태에서 자발적 협조의 가능성을 설명하려는 시도들이 전통적 사회계약론의 자연상태가 아닌 다른 유형의 사회 상태 즉, 소규모 공동체(community)를 전제할 때 비로소 성공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강제력에 의존하지 않는 자발적 협조의 가능성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전통적 자연상태 모델의 수정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While it is said that mutual cooperation is not possible in one shot PD game without a coercion in the state of nature, on the other hand, it is argued that mutual cooperation can emerge if iterated PD games(IPD) could be played. However, the IPD model can be applied only when it supposes not ‘the state of nature’ but the state of community to work. I show that the traditional model of the state of nature in social contract theory should be wai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