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退溪 李滉의 心學과 알프레드 아들러의 心理學 -마음과 몸의 관계를 중심으로-

        박종용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동서인문학 Vol.0 No.56

        필자는 본 논문에서 「退溪 李滉의 心學과 알프레드 아들러의 心理學」을 마음과 몸의 관계를 중심으로 논하였다. 退溪 李滉(1501~1570)은 마음은 性과 情을 통섭하는 밝은 德이므로 온갖 이치를 갖추어 만사에 대응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는 유학에서 말하는 心개념을 포괄적으로 정의한 것이다. 마음을 보존하고 배양함으로써 마음의 본래 모습을 드러내려는 存養論은 유학의 修養論이자 참 자아를 실현하는 방법론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자기修養은 내적 도덕성을 쌓아가는 과정이므로 인간의 보편적인 감정을 그 수양의 출발점으로 삼는다. 알프레드 아들러(Alfred Adler,1870~1939)의 개인심리학은 개인의 능력을 찾아내는데 핵심이 있다. 이 과정에서 용기는 협동하고 사회적 관심을 표현해 낼 수 있는 능력이라 할 수 있다. 자신의 삶을 유용한 방향으로 이끌어 나갈 때, 개인은 스스로 가치 있는 존재임을 自得하게 된다. 이러한 자득이 삶의 자취로 드러나는 것이 행복감이고, 그 강도는 타인과의 협동 정도에 비례하게 된다. 여기서 마음과 몸을 통해서 인간존재는 자신의 개인적 결함을 사회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향상시켜 나아가게 된다. Toegye Yi Whang(1501~1570) said that the Mind&Heart is equipped with all kinds of things and can respond to everything, since it is a bright virtue that controls the nature(xing, 性) and the emotion(qíng, 情). This is a comprehensive definition to the concept of the Mind&Heart in Confucianism. Jonyangnon(存養論), theory of preserving and cultivating the Mind&Heart and revealing its original function, can be said to be a method of realizing true self as well as the self-cultivational value in Confucianism. Thus, self-discipline is a process of building up inner morality, so one regards the universal emotions of humans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discipline.

      • KCI등재

        원격조종 타워크레인 작업에서 안전작업매뉴얼 활용이 안전의 3원인(3E)과 운전원에 의한 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종용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2 안전문화연구 Vol.- No.17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of 23 accidents related to tower cranes that have occurred over the past 6 years ('14~'19. 6) due to the increase in the use of remote controlled tower cranes, it found out 26 general tower cranes (72.2%) and 10 remote controlled tower cranes (27.8%) among the 36 fatal accidents. There were no accidents in 2018, but in the first half of 2019, the fatal accident rate of remote controlled tower cranes is increasing with two accidents resulting in three death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djustment effect of safety working manual on effect of the HARVEY's safety accident indirect cause theory -three causes (3E) of safety and disaster occurred by drivers in the remote controlled tower crane works. The research method is to conduct a survey of workers and stakeholders, and to find out what is the difference on the effect of three causes (3E) of independent variables to safety accident caused by controllers, which are dependent variables when using a safety work manual. For this, Sobel Test and Bootstrap verification were performed using the Jamovi statistical program. Results of analysis, using of the safety working manual was shown that there is a difference statistically on the effect of three causes (3E)-enforcement cause, engineering cause and educational cause- to safety accident caused by drivers. As survey results of whether the equipping and using of the safety working manual for the remote controlled tower crane, it found out that the manual utilization was very low because there is no manual in most construction sites, or workers did not know whether safety working manual is equipped.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necessary to improve the utilization through spreading manuals to all construction sites as well as manual development. Forward, It is expected that safety working manual can be equipped on all construction sites that use remote controlled tower cranes and to help for safe work and prevention of accident and look forward to continuously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safety working manual for construction machines.

      • SCOPUSKCI등재

        Rat 소장에서의 의약품의 흡수에 관한연구 의약품의 흡수에 미치는 신미료의 영향

        박종용,우종학,김신근,한세호 한국약제학회 1971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Vol.1 No.1

        Many of the studies on absorption and excretion of drugs have been reported in the field of pharmaceutics, but the effect of acrid condiments for the absorption of drugs has not been. Hereupon, the authors investigated them in small intestine canal of rat in situ. In this experiment, aminopyrine, sulfadiazine and salicylic acid appended acrid condiments such as garlic, red pepper and pepper showed more increased absorption than constituted drugs. In particular, pepper showed the most increased than pepper, red pepper and garlic take lower absorption than pepper. When two drugs and over exist at a time, the efficacy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search of each circumstances administering one drug or compound drugs. We considers that we are able to get safe and effectivecopound preparations when we studies on the effect. of drug action.

      • KCI등재후보

        적응 배열 안테나를 고려한 cdma2000 셀룰러 시스템의 역방향 링크 성능 분석

        박종용,김항래,한태영,김남,Park, Jong-Yong,Kim, Hang-Rae,Han, Tae-Young,Kim, Nam 한국전자파학회 2003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4 No.4

        본 논문은 기지국 배열 안테나를 이용하여 전파음영 환경 하에서 MCGM 알고리즘과 전력제어 오차에 따른 cdma2000 셀룰러 시스템의 역방향 링크에 대한 성능을 분석한다. 블록킹 확률을 배열 파라미터와 $E_{b/}$ $N_{0}$ 및 간섭통계를 이용하여 유도하고 특정한 블록킹 확률에서의 시스템 용량을 계산한다. 1 %의 블록킹 확률, 전력제어 오차 2 dB, 배열 안테나 소자 수 M=2, 4, 8, 12에서 cdma2000 시스템과 IS-95 시스템의 사용자 수는 각각 21, 40, 75, 110명과 9, 17, 30, 44명으로 나타나, cdma2000 시스템이 IS-95 시스템에 비해 2.3~2.5배의 용량 증가를 보였다.다.다. In this paper, the reverse link performance of imperfect power controlled cdma2000 cellular system that using array at a base station is analyzed, when MCGM beamforming algorithm and power control error is considered in shadowing. The blocking probability of the cdma2000 cellular system based on array parameters, E$\_$b//N$\_$0/ and interference statistics is calculated, and then the system capacity is calculated at a specific blocking probability. When the blocking probability is set 1 %, PCE(power control error) is 2 dB, M=2, 4, 8, 10, the capacity of cdma2000 is increased 2.3 ∼ 2.5 times higher than IS-95.

      • KCI등재

        혼인취소의 효과

        박종용 한국가족법학회 2003 가족법연구 Vol.17 No.2

        This study dealt with bellow questions. 1. A voidable marriage is a valid and subsisting marriage unless and until it is annulled. The effects of a annulment of marriage is not retroactive(Civil Code 824). then in a relation of a voidable marriage when it was annulled and one party or both parties was acquired property. Could the other party or both parties claim it? 2. A bigamy, at the time of the marriage, either party was already lawfully married to a third party. it is a voidable marriage (Civil Code 816. 2). (1) In a relation of a voidable marriage, when it was annulled and one party or both parties of the marriage was acquired property. Could the other party or both parties claim it? (2) In a relation of a bigamous marriage, when the bigamist did not conduct the annulment of marriage and died, in later it was annulled. In the case Could the surviving spouse have the succession right.

      • KCI등재
      • KCI등재

        退溪의 詩에 나타난 學問觀 연구

        박종용 한국유교학회 2014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

        T'oegye (Lee Whang, 1501~1570) was one of the most famous Korean Neo-Confucian scholars, who was serious about realizing Tao (道) through the Learning (學問). His ultimate goal through the cognition and practice of Tao was to be a real human being, that is, a sage. For T'oegye, the study was the vehicle by which students could become a sage, namely the personification of the Ultimate reality (眞理). Reading that T'oegye thought of as the primary source toward a sage is the way that learners practice Tao by acquiring saints' words and actions for Wigijihak (爲己之學) to get the promotion of learning, personality and virtue, not for Wiinijihak (爲人之學) to take advantage of the study as the means to win the fame and higher official post. As T'oegye's Learning was to learn and conduct the truth with an active attitude of Sugichiin (修己治人), the effort to put learning in practice was the key point of his thoughts. One of the representative ways to build up one's character was Reverence(敬), which sought for coincidence between learning and life. Reverence was a sense of community required to make haman society more sound and moral. T'oegye was an honest, humble, and diligent learner as a teacher, which means 'teaching is learning (斅學半)'. He was willing to ask his pupils questions and to learn from any person and correct his view, when even a word of advice was given to him. In teaching his students, he always greeted them in an attitude of Reverence without calling any young discipline 'Neo (you)', and he always maintained a dignified, respectful behavior with no sign of getting angry at the worst things. T'oegye's Way of Learning was strengthened by keeping and following the tradition of Confucianism. He argued that one's charateristics should be developed through individual education. He encouraged his pupils to carefully read Collected Commentaries on the Four Books(四書集註) to be aware of their meanings exactly and keep them in memory. The voluntary study called Self-cultivation served to maximize the effect of teaching and learning. As mentioned above, T'oegye tried to indicate the way of learning to his pupils and have them recognize how to do the study. T'oegye consistently highlighted human education and sought for the firm morality based on Benevolence(仁). His studying method guides us to the right understanding of the traditional education. He feels endless reverence for People and Things. Especially T'oegye shows it in about his 2000 poems, which keep us following the Holy Way [예던길, The Way of Learning] that former Confucian scholar [T'oegye] went through. Let us read the following poem. 高蹈非吾事 To enter higher public post is my no serious undertaking, 居然在鄕里 Therefore I would live a rural life amid nature's scenery. 所願善人多 My long cherished desire is to see the Good overflowing, 是乃天地紀 And I will set right the discipline throughout the country. 퇴계는 학문의 목적을 聖人되기에 두었다. 따라서 학문을 출세나 명성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 삼는 爲人之學을 지양하고 자기의 인격과 덕행의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학문인 爲己之學을 목표로 하였으며 관직에 미련을 두지 않고 기회가 있을 때 마다 고향으로 내려가 후진양성에 힘썼다. 퇴계는 『小學』과 『四書』를 공부의 기본으로 삼았는데, 특히 『四書』중에서 우선 『大學』을 “마음을 지키고 다스림을 시행하는 근본”으로 여겼다. 즉 퇴계는 『대학』을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도덕규범이 아니라 근원적이고 원리적인 수양과 실행의 준칙으로 인식한 것이다. 그가 『대학』은 배워서 덕을 이루기 위한 것이다.” 라고 말한 것이나 『대학』은 수신의 근본이요, 덕에 들어가는 문으로서, 배우는 자의 일이라고 말한 것도 『大學』에 대한 이러한 인식에 기초한 것이다. 젊은 퇴계에게 가장 커다란 영향을 줬던 책은 『心經附註』와 『朱子大全』이었다. 『心經』은 선진 유학 및 송대 성리학자들에게 중요한 문제였던 心에 관한 精選書로서 평생 공부를 위한 풍부한 자료를 제공했던 것이다. 즉 『心經附註』를 심신의 절실한 공부에 바탕이 되는 것으로 여겼던 것이다. 그러므로 퇴계의 학문을 설명하는 데 『心經附註』에 대한 이해는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讀書는 天理와 道理에 대해 밝혀놓은 聖賢들의 말씀을 접할 수 있는 가장 손쉬운 방법이다. 독서하는 사람 스스로도 진리를 탐구하고 事物과 인간의 本質을 사색할 수 있지만, 그것의 옳고 그름을 검증받을 수 있는 잣대는 과거 현철들이 설정해 놓은 지식체계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마음을 주재하는 敬의 구체적인 공부로서 퇴계는 靜坐法을 권한다. 그는 靜坐한 뒤에라야 몸과 마음이 거두어지고 도리가 비로소 한곳으로 모이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만일 몸을 함부로 하고 흐트러지게 하면 심신이 혼란하고 도리가 한 곳에 모일 수 없다고 하였다. 한편 퇴계의 학문은 知․德․體가 하나로 융합된 全人敎育이었다. 즉 완성된 인간다움의 길이란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일어나지만 궁극적으로는 개개인의 정신세계에서 형성되는 결정체이다. 그래서 개개인의 정신세계에서 가치와 의미와 이상이라는 세 요소가 자양분이 되어 자각의 꽃을 피우는 것이 중요하다. 퇴계는 바로 이러한 정신적 만남을 통해서 제자들의 인간성이 비약적으로 고양되는 인격적 차원을 형성하려하였고 또한 인간적인 학문을 통해서 암울한 현실의 참다운 군자를 배출해 내고 싶어 했을 것이다. 이를 위해 거듭 직위에서 물러나 후진을 양성하려는 퇴계의 의지가 그가 50세에 한서암에 기거할 때 쓴 吾事라는 詩에 잘 드러나 있다. 高蹈非吾事 내 할 일은 저 높은 벼슬이 아니니, 居然在鄕里 조용히 시골마을에서 살아가리라. 所願善人多 소원은 착한 사람 많이 만들어, 是乃天地紀 천하의 기강을 바로 잡는 일이다. 여기서 善人은 겉과 속 그리고 존재와 가치를 조화시켜 文質彬彬을 이룬 군자 즉 全人이었다. 그래서 삶의 참뜻은 이러한 조화와 융합을 발견하는 데 있다고 보았는데 그 발견하려는 노력이 곧 참된 앎이 된다는 것이다. 사람은 누구나 자기의 의미와 가치를 의식하면서 이를 찾아 떠나는 행려자의 기로에 서있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프리드리히 슐레겔이 “합리적으로 나아가는 이성의 법칙과 방법을 버리고 다시 한 번 황홀...

      • KCI등재

        Role of nociceptin/orphanin FQ and nociceptin opioid peptide receptor in depression and antidepressant effects of nociceptin opioid peptide receptor antagonists

        박종용,채수지,김창섭,김윤재,이현주,한은주,주영신,홍수림,윤재원,김효정,신경호 대한약리학회 2019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Pharmacology Vol.23 No.6

        Nociceptin/orphanin FQ (N/OFQ) and its receptor, nociceptin opioid peptide (NOP) receptor, are localized in brain areas implicated in depression including the amygdala, bed nucleus of the stria terminalis, habenula, and monoaminergic nuclei in the brain stem. N/OFQ inhibits neuronal excitability of monoaminergic neurons and monoamine release from their terminals by activation of G protein-coupled inwardly rectifying K+ channels and inhibition of voltage sensitive calcium channels, respectively. Therefore, NOP receptor antagonists have been proposed as a potential antidepressant. Indeed, mounting evidence shows that NOP receptor antagonists have antidepressant-like effects in various preclinical animal models of depression, and recent clinical studies again confirmed the idea that blockade of NOP receptor signaling could provide a novel strategy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In this review, we describe the pharmacological effects of N/OFQ in relation to depression and explore the possible mechanism of NOP receptor antagonists as potential antidepressants

      • KCI등재

        朱子 中和說의 思想的 배경과 변천과정

        박종용 한국유교학회 2014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

        朱子 수양론의 궁극적인 목적은 聖人되기이다. 신유학의 집대성자로서 주자는 유가의 여러 사상들을 종합하여 수양론의 체계를 세웠다. 스승인 이연평은 靜을 중시하여 未發氣象의 體認공부를 심도 있게 하면 일상에서도 人倫이 실현될 수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情과 體의 涵養을 人倫을 실현하는 공부로 본 것이다. 朱子는 靜과 動, 體와 用을 연관시키는 스승의 가르침을 따르긴 하였으나 확신할 정도로 이해하지는 못하고 있었다. 이 때 주자는 張南軒과의 만남을 통해서 자신이 알고 있던 것과는 다른 견해를 접하게 된다. 즉 남헌은 湖湘學을 계승하였기에 인간의 삶을 통해 드러나는 天理의 참된 모습을 察識하고 涵養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다. 연평이 靜的이라면 남헌은 動的이었다. 그래서 주희는 남헌의 動的인 입장을 받아들여 연평의 靜的인 입장이 잘못된 것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남헌에게 보낸 4통의 편지를 中和舊說이라 한다. 이 4書가 쓰인 순서에 대해서는 학자들마다 서로 다른 입장 차이를 보이는데, 본 논문에서는 4편의 편지가 쓰인 순서를 比定하게된 기준 2가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는 언어의 내용語(Content Word)와 기능語(Function Word)라는 관점에서 제시한 기준이고, 두 번째는 언어의 內延的 意味와 外延的 意味상에서 제시하는 기준이다. 이러한 두 가지의 기준으로 4書의 순서를 정하면 첫 번째 편지는 제 1書인「人自有生」로 시작하는 편지이고, 두 번째는 제 4書인「前書所稟」이며, 세 번째는 제 2書인「前書所扣」이고, 그리고 네 번째는 제 3書인 「誨諭曲折」로 시작하는 편지라고 생각된다. 朱子가 40세 되던 해에 蔡季通과의 만남을 계기로 남헌의 견해에 문제점이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남헌의 察識端倪說은 마음이 발하기 이전의 涵養工夫가 결여되어 純一한 맛이 없다는 것이다. 朱子에게 가장 큰 영향은 바로 伊川의 已發未發說이라 할 수 있다. 그는 中和說 정립과 함께 居敬窮理의 학문방법론을 완성하게 되었으며, 동시에 已發時의 주된 공부를 致知로 설정함으로써 認識論으로서 格物致知論을 전개하게 되었다. 中和新說에서 그는 마음을 未發과 已發, 性과 情, 體와 用으로 나누고, 未發일 때 性 ․ 體의 이상적 상태를 中이라 하고, 已發할 때의 情과 用의 이상적 상태를 和라고 하였다. 中和를 이루기 위한 공부의 방법이 敬으로서 경 공부는 未發과 已發일 때를 일관하여 지속되어야 한다고 했다. 未發已發이란 개념이 『中庸』에서 언급되는데 여기서의 ‘未發’은 철학적 개념으로 쓰이지 않았다. 이는 ‘已發’이란 개념이 쓰이지 않은 것과 연관된다. 未發을 已發과 연관시켜 철학적 개념으로 쓴 사람은 伊川이었다. 그러나 이천은 미발과 이발에 대해 그렇게 커다란 관심을 가졌던 것은 아니다. 오히려 伊川의 개념에 철학적 의미를 부여해서 체계화했던 사람은 朱子라고 할 수 있다. 朱子가 비록 이천의 사상에 힘입어 자기의 사상을 수립하고, 또한 그 연장선상에 있다고 하더라도 이천이 밝히지 못한 부분을 더욱 분명히 밝히고 보완하였다는 점은 朱子의 공헌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이제 우리는 ‘일찍이 다른 어디에도 없이 오로지 朱子學에서만 인간성이 스스로를 초월해서 일어서는 저 희귀한 천재적 섬광을 어떻게 영속시키고 넓혀갈 것인가?’라는 근원적 물음을 끌어안아야 한다. 그렇게 하기위해서 우리는 朱子가 자 ... The ultimately object of Zhu Xi's theory of the self-cultivation is to become a sage by changing one's physical quality. In Confucianism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study. Zhu Xi, synthesizer, established the system of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by inheriting the tradition of Confucianism and by adopting positively other thoughts. This paper aims at elucidating the famous Neo-Confucian thinker, Zhu Xi's view of self-cultivation and quiet sitting. Trends of meditation have prevailed during the Sung dynasty in China. Thinkers searching for the Truth tried to experience the original Nature by tracing a stream of consciousness to its source. In the Neo-Confucian tradition, the school named Dao-nan Xue to which Zhu Xi belonged maintained wei-fa qi-xiang ti-ren[未發氣象體認] Meditation. However, Zhu Xi, through few years' severe practice, finally has failed to feel wei-fa qi-xiang ti-ren. Zhu Xi interprets Li Tong's wei-fa qi-xiang ti-ren[未發氣象體認] as retaining the wholeness of the entity in its wei-fa state[未發涵養]. It goes beyond the mere process of calming the mind : it is a personal procurement of the pure goodness of the natural morality. This paper tries to articulate the meaning of wei-fa which is the core concept of Zhu Xi's theory of the self-cultivation. According to Zhu Xi, wei-fa means a state of mind in which those mental activities such as emotion and thoughtful deliberation have not yet aroused before extending its conscious activity toward outer objects. Also it means a state of mind which is mostly impartial and unselfish like a clean mirror without any speck of dust. Zhu Xi, sharply warned against practitioners that wrong practice will not only entrap them into a unlightened state of dizzy-sleeping but also will isolate them from social concerns and everyday affairs. After the moral principles are secured within the self, one can meditate on and draw out these principles[已發體認]. Ti-ren to Zhu Xi is not intuitive knowledge of what is outside, but personification of what is inside. Zhu Xi connects wei-fa han-yang ti-ren and zhi-zhi[致知] as a coherent whole : the method for preserving the moral nature in its entirely, and inherently embodying its moral principles in all sincerity. This article contains the reason why Zhu Xi has failed and those philosophical problems engaged in such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