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접촉각 특성을 이용한 고분자복합재료의 표면열화 해석

        박종관,Park, Jong-Kwan 대한전자공학회 2002 電子工學會論文誌 IE (Industry electronics) Vol.39 No.3

        본 연구는 고분자 재료의 표면열화 발생 및 진행경로를 해석하기 위한 일환으로 열, 자외선 및 방전에 의한 열화를 각각 임의로 모의하여 접촉각 특성을 측정하여 열화 발생메커니즘을 해석하였으며, 특히 기존의 열화 연구와 달리 화학적 측면과 정전적 측면을 연계시킨 상관적 특성분석을 수행하였다. 표면활성화 상태를 측정한 접촉각 변화에 있어서, 일반적인 고분자의 표면은 73$^{\circ}$~91$^{\circ}$의 약소수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방전처리 및 350 nm 이하의 자외선 파장에 노출된 표면은 13.8$^{\circ}$ 및 20$^{\circ}$로 급격한 친수화를 나타내었고, 열처리 및 430~500nm 파장의 가시광 파장에 노출된 표면은 90$^{\circ}$와 80.1$^{\circ}$의 최대 접촉각 상승을 보이며 소수화를 나타냈다. UV, heat, and discharge treatments are arbitrary simulated for finding out the initiations and processes of surface degradation on the polymer surface. Especially,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inter-relation between chemical changes and electrical properties. In contact angle to measure the change of activated degree, that of polymers surface shows a slight hydrophobicity of 73$^{\circ}$~91$^{\circ}$. But, discharge treatment and UV treatment of 300 nm wavelength changed it to the hydrophilic one with the decrease of contact angle, 13.8$^{\circ}$ and 20$^{\circ}$ respectively. Thermal-treatment and UV treatment of 430~500 nm wavelength changed the surface to the hydrophobic one with the increase of contact angle, 90$^{\circ}$ and 80.1$^{\circ}$ respectively. ?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접촉각 특성을 이용한 고분자복합재료의 표면열화 해석

        박종관 대한전자공학회 2002 電子工學會論文誌 IE (Industry electronics) Vol.39 No.9

        UV, heat, and discharge treatments are arbitrary simulated for finding out the initiations and processes of surface degradation on the polymer surface. Especially,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inter-relation between chemical changes and electrical properties. In contact angle to measure the change of activated degree, that of polymers surface shows a slight hydrophobicity of 73°∼ 91°. But, discharge treatment and UV treatment of 300 nm wavelength changed it to the hydrophilic one with the decrease of contact angle, 13.8°and 20° respectively. Thermal-treatment and UV treatment of 430∼500 nm wavelength changed the surface to the hydrophobic one with the increase of contact angle, 90°and 80.1°respectively. 본 연구는 고분자 재료의 표면열화 발생 및 진행경로를 해석하기 위한 일환으로 열, 자외선 및 방전에 의한 열화를 각각 임의로 모의하여 접촉각 특성을 측정하여 열화 발생메커니즘을 해석하였으며, 특히 기존의 열화 연구와 달리 화학적 측면과 정전적 측면을 연계시킨 상관적 특성분석을 수행하였다. 표면활성화 상태를 측정한 접촉각 변화에 있어서, 일반적인 고분자의 표면은 73°∼91°의 약소수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방전처리 및 350 ㎚ 이하의 자외선 파장에 노출된 표면은 13.8° 및 20°로 급격한 친수화를 나타내었고, 열처리 및 430∼500㎚ 파장의 가시광 파장에 노출된 표면은 90°와 80.1°의 최대 접촉각 상승을 보이며 소수화를 나타냈다.

      • 항만구조물의 액상화 대책을 위한 진동대 실험에 대한 연구

        박종관 한국지반공학회 1992 지반 : 한국지반공학회지 Vol.8 No.3

        지진으로 인한 액상화현상은 토목구조물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액상화 현상에 대란 대책을 연구할 목적으로 모형 항만구조물을 대상으로 하여 진동대 실험을 실시하였다. 액상화현상으로 항만구조물에 발생하는 과잉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구간을 설치하고 그 효과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제방, 이중 널말뚝벽과 앵커 구조물의 진동대 실험을 통하여, 액상화 지반의 유동변형에 대한 특성과 보강범위에 대한 정량적 자료를 얻었다. 항만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한 보강구간의 범위는 진동가속도의 크기에 따라 다르다. 실험을 통하여 얻어진 구조물의 과잉변형을 보강구간의 범위와 진동가속도의 크기에 따라 나타내었다. Liquefaction leads to severe damage to earth structures after an earthquake. In this study, shaking table tests were performed on model waterfront structures as a countermeasure against liquefaction. The waterfront structure was reinforced by a compacted Bone, which was investigated for its effectiveness in protecting the structure from excessive deformation induced by the lateral pressure of liquefied ground. Through the tests . on embankment, double sheet pile wall, and anchor sheet pile wall, good quantitative information on the behavior of flow failure and the extent of reinforcement was obtained. The extent of a compacted zone for the protection of the structure depends on the magnitude of the acceleration during the shaking. The measured deformation was represented in terms of the extent of the compacted zone and the magnitude of the input acceleration.

      • KCI등재

        북극해의 지리적 특성과 유엔 해양법 협약을 통해서 본 관할권

        박종관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8 독도연구 Vol.- No.25

        The environmental and climate problems represented by global warming and a sharp decline in Arctic sea ice have led to global interest in the Arctic, centered on new sea routes(trade routes) and vast hydrocarbon resources(oil and natural gas) on the Arctic coast. This led to concerns and anxiety that sooner or later the Arctic will be an arena of competition and conflict for resources and routes, a forum for discussion on environment and climate. However,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UNCLOS), the "Constitution of the Oceans", provided the legal framework for the rapidly changing Arctic Ocean governance. In this paper,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vention and the Arctic jurisdiction, the Arctic Ocean region will be divided into five as follows. ①Atlantic Arctic Gateway, ②Eurasian Arctic, ③Pacific Arctic Gateway, ④North American Arctic, ⑤Central Arctic Ocean. The four issues addressed by the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are particularly relevant to the Arctic. ①Article 234 of the Convention(ice-covered areas), ②PART Ⅲ of the Convention(international straits), ③PART XIII of the Convention(marine scientific research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in the EEZ), ④PART Ⅸ of the Convention(regional cooperation). The issues related to the jurisdiction of the Arctic Ocean reg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①the regime for the maritime boundary and baselines, ②the regime of islands(Article 121), ③the hydrocarbon resources of the continental shelf(Article 76), ④Arctic Ocean beyond national jurisdiction There are only four important jurisdiction problems in the Arctic, apart from two maritime boundary disputes between Canada and its neighbors. The first is a duplicate claim on the continental shelf beyond the EEZ of Russia and Denmark. Canada will soon join this case. The second is a dispute between "internal waters" and "international straits" surrounding the right of passage through the Straits of the Northern Sea Route(Russia) and the Northwest Sea Route(Canada). The third dispute is the status of the EEZ and the continental shelf of the Svalbard archipelago. The fourth issue is the status of the United States, a non-Party to the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as a potential claimant to the seabed beyond the EEZ. Therefore, despite some issues, the present and future governance of the Arctic Ocean can be provided by the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which provides a comprehensive legal order of the oceans. 지구온난화와 더불어 진행되어 온 북극 해빙의 급격한 감소는 최근 들어 새로운 항로(무역로)와 북극해 연안의 광대한 탄화수소 자원(석유 및 천연가스)에 대한 전망뿐만 아니라 환경과 기후에 대한 지구적 관심을 야기 시켰다. 이러한 현상은 21세기 이래 북극이 자원과 항로에 대한 경쟁과 갈등, 환경과 기후에 대한 토론과 논의의 장이 될 것이라는 우려와 염려로 이어졌다. 그렇기는 하나 자원과 항로에 대한 국제적 우려는 엄밀히 말하면 “해양의 헌법”이라 할 수 있는 유엔 해양법협약(UNCLOS)을 통해 불식시킬 수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또한 급격하게 변화하는 북극해의 거버넌스를 위한 법적 틀을 마련해 주었다. 본 논문에서는 ‘협약’과 북극해 관할권 간의 관계를 보다 명확히 밝히기 위해 북극해 지역을 다음과 같이 5개로 구분하여 검토할 것이다. ①북극해 대서양 통로, ②유라시아 북극해, ③북극해 태평양 통로, ④북미 북극해, ⑤중앙 북극해. 해양법협약이 다루는 네 가지 쟁점은 특히 북극과 관련이 있다. ①얼음으로 덮인 지역(협약 제234조 ice-covered areas), ②국제 해협(협약 제3부 international straits), ③EEZ의 해양 과학 연구 및 환경 보호(협약 제13부 marine scientific research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in the EEZ), ④지역협력(협약 제9부 regional cooperation). 북극해 해양지역의 관할권과 관련된 쟁점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북극해의 해양경계와 기선(Baselines), ②군도(섬제도, Islands)에 대한 레짐(협약 제121조), ③대륙붕(continental shelf)(협약 제76조)과 대륙붕의 탄화수소 자원(Hydrocarbon resources), ④북극해 통과 해상루트의 항해, ⑤국가의 관할권 너머에 있는 북극해. 북극에는 캐나다와 그 이웃국가들 간의 관리된 2건의 해양경계 분쟁 외에 단 4건의 중요한 관할권 문제만 있다. 첫째는 러시아와 덴마크의 EEZ를 넘어선 대륙붕에 대한 중복된 주장이다. 이 건에는 캐나다가 곧 합류하게 될 것이다. 두 번째는 북방항로의 해협(러시아)과 북서항로의 채널(캐나다)을 통과하는 통항 권리를 둘러싼 “내수(internal waters)”와 “국제해협”의 분쟁이다. 세 번째 분쟁은 스발바르 군도의 EEZ와 대륙붕의 지위 문제다. 네 번째 쟁점은 EEZ를 넘어선 해저에 대한 잠재적인 청구국으로서 아직은 해양법협약의 비당사국인 미국의 지위 문제다. 따라서 몇몇 쟁점에도 불구하고, 북극해의 현재와 미래 평화 유지는 해양의 포괄적인 법적 질서를 제공하는 해양법 협약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 KCI등재

        고산소압의 적용에 따른 양질의 루틸상 TiO$_2$ 단결정 성장

        박종관,심광보,오근호,Iso Tanaka 한국결정성장학회 2001 韓國結晶成長學會誌 Vol.11 No.3

        광소자 응용에 적합한 고품질 $TiO_2$ 단결정을 성장 시키기 위하여 부유대용융법 성장장치에 고압의 산소를 인가하여 결정을 성장시켰다. 0.3,0.4,0.5,와 0.8MPa의 높은 산소압을 각각 인가하여 성장 시킨$TiO_2$ 단결정은 투명하고 어두운 청색을 띄었다. 성장된 결정의 내부구조를 평가한 결과 소경각경계의 존재는 성장 시 인가해준 산소압력에 따라 그 정도가 변화하였고,특히,0.5MPa 산소압력 하에서 성장된 $TiO_2$ 단결정은 소경각경계가 존재하지 않으며 광학적 성질이 우수한 고품위 단결정으로 평가되어 광소자로써 응용이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High oxygen pressure has been applied for a floating zone (FZ) crystal grower in order to grow high quality $TiO_2$(rutile) single crystals suitable for optical application. The $TiO_2$ crystals, grown under 0.3, 0.4, 0.5, and 0.8MPa oxygen pressure respectively, are all transparent and dark blue. The degree of the presence of sub-grain boundary in the crystal differs from the applied oxygen pressure. In particular, $TiO_2$ single crystals grown under0.5 MPa showed sub-grain boundary-free and estimated good for optical de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