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정소수점 DSP(ADSP-2181)을 이용한 실시간 G.723.1 음성부호화기 개발에 관한 연구

        박정재,정익주 한국음성과학회 1998 음성과학 Vol.3 No.-

        this paper describes the procedure of implementing a real-time speech codec, G.723.1 which was developed by DSP Group and standardized by ITU-T, using fixed-point DSP, ADSP-2181. This codec has two bit rates associated with it, 5.3 and 6.3 kbit/s. We implemented only one bit rate, 6.3 kbit/s, of the two with fixed-point 32-bit precis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amount of computational burden is about 55 MIPS and its quality is similar to the result of PC simulation with floating-point arithmetic. In this paper, we proposed a method to use a fixed-point DSP and a procedure for developing a real-time speech codec using DSPs and finally developed a G723.1 speech codec for ADSP-2181. Keywords: speech coding, G.723.1, fixed-point DSP

      • KCI등재

        멕시코 과나하토주의 호야산 니콜라스 지역에서 있었던 홀로세 환경변화와 인간의 영향

        박정재 대한지리학회 2005 대한지리학회지 Vol.40 No.6

        This paper presents a paleoenvironmental study on Hoya San Nicolas, a maar lake in Valle de Santiago inCentral Mexican Bajio. Maar lake sediments have been widely used for high-resolution reconstruction ofpaleoenvironment. Many different paleoenvironmental proxy data such as stable isotopes, pollen, and sedimentchemistry were produced in this study. These data help to reveal paleoenviromental changes throughout the wholeperiod covered by sediment materials from this study site. The evidence indicates that during ca. 11,000 - ca. 8,900 calyr B.P. there was dry climate; during ca. 8,900 - ca. 7,000 cal yr B.P. it was wetter; during ca. 7,000 - ca. 4,000 cal yrB.P. drier; during ca. 4,000 cal yr B.P - the present wetter. Prominent dominance of Pinus pollen during ca. 11,000 - ca.8,900 cal yr B.P. and during ca. 7,000 - ca. 4,000 cal yr B.P. may reflect very low lake levels resulting in poorpreservation of pollen. Pinus pollen, the most resistant pollen type, may have been able to survive severe deteriorationdue to arid climate, but other pollen types may not. Due to likely droughts in these periods, a sedimentation gaps areprobably present in the core. 본 연구에서는 중부 멕시코 바히오 지방에 위치한 바예 데 산티아고 시의 마르 호수 중 하나인 호야 산 니콜라스에서 채취한으로 화분, 동위원소, 지화학적 분석 등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11,000년전에서8,900년 전까지 기후는 건조하였고, 8,900년 전부터 7,000 년 전까지는 습했으며, 7,000년전부터4,000 년 전까지 건조하였고, 4,000년 전부터 현재까지는 다시 습했다. 두건조한 기간(ca. 11,000 - ca. 8,900 cal yr B.P., ca. 7,000 - ca. 4,000 cal yr B.P.)에 소나무 화분이 비율이 아주 높게 나온다. 이는 건조한 기후로 호수가 마르면서 전체적으로 화분이 파괴되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가장 단단한 화분중의 하나인 소나무 화분은건조한 상태에서 다른 화분보다 상대적으로 잘 버티므로 소나무 화분의 높은 비율은 기후가 건조했음을 뜻한다고 볼 수 있다. 두 건 조 시기에는 호숫물이 말라 퇴적이 중단된 기간이 있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위성영상을 이용한 중분류 토지피복도의 제작과정 개선

        박정재,구자용,김병선 대한공간정보학회 2007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15 No.1

        The land cover map represent the state of earth surfaces.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explore present conditions of earth surfaces and develop future plans for local areas. To produce the land cover map with efficiency, gathering geographic information from satellite images is important. Exporting, building, and managing processes on the land cover information are needed as well. In this study we aim to review the producing process of the level-2 land cover map in detail and enhance it. A present status of the producing process of the land cover map in Korea is reviewed, problems of the process are explored, and measures for improving it are proposed. The criteria for fixing boundaries and providing attributes for the land cover map are proposed. This proposed criteria may solve problems in a present producing process. The improving measures proposed in this study should be continuously revised in future studies. 토지피복도는 지표면의 상태를 나타내는 자료로 특히 환경 분야에서 지역의 현황을파악하고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이다. 토지피복도를 효과적으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한 지표면 현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게 수집하고, 이를 지리정보로 변환하여 구축하고 관리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환경부에서 구축한 중분류 토지피복도의 제작과정을 검토하고, 이를 객관적이고 구체적으로 개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의 토지피복도 제작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한후, 중분류 토지피복도를 제작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경계선 설정기준과 속성정보 부여기준은 기존의 토지피복도제작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경주 월성 해자 조사 성과와 목간

        박정재 한국목간학회 2018 목간과 문자 Vol.0 No.20

        This study review the excavation performance of the Wolseong moat since the 1980s, learned about the change of the moat, and analyzed the conditions of excavation between moats that had been excavated, and looked for the value of excavation mujian. The Wolseong moat are confirmed the presence of moats on the northern side of Wolseong easten-gate by investigating the excavation site and determined the size, construction techniques, patterns, and interior layer of moats by the excavation research. After analyzing and studying the results of an excavation research, the Wolseong moat was able to pit moat was constructed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when the stone-built moat was constructed Silla unified the three kingdoms in changed the postwar era, Finally the moat was fell into disuse after the 9th century. In addition, due to the nature of the moat, various wooden objects, earthen ware, and tiles were excavated and various wooden structures, plant fluids, and organisms were found in the society. In particular, mujian are the most direct graphic materials that can be inferred about the society of the time, and are the key artifacts of restoring Silla culture. Up to now, around 180 mujian and mujian parts wooden have been excavated from the Wolseong moat, and among them, 30 mujian and mujian parts wooden with read on them are actively used to identify culture at the time. This study we have examined the status of new-through mujian and mujian parts wooden found in the moat transfusion from 2015 and hav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mujian and mujian parts wooden excavations and their locations. The mujian excavated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is only excavated from the pit moat of the blood transfusion after being disposed of, and is not shaped by the moat in its general appearance. However, it is unreasonable to investigate some of the transfusion so far and identify the entire aspect of mujian excavated from the Wolseong moat. In the future, in-dept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mujian excavated from the year's original site, and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e for restoration of the Silla culture. 본고에서는 1980년대부터 진행된 월성 해자 발굴조사 성과를 검토하여 해자 변천과정을 파악하고 해자에서 출토된 목간의 출토상황을 분석하여 월성 해자 출토 목간이 가지는 가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월성 해자는 월성 동문지 발굴조사를 통해 월성 북편에 위치한 해자의 존재를 확인하였고 현재까지 꾸준한 발굴조사를 통해 해자의 규모, 축조 기법, 변화양상, 해자 내부 층위 및 층위별 출토 유물을 파악하였다. 발굴조사 성과를 분석·연구하여 월성 해자는 삼국시대에 수혈해자를 축조하여 사용하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기 전후한 시점에 석축해자로 변화하여 9세기 이후까지 사용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더불어 해자라는 유구의 특성상 다량(多量)의 토기·토제품·기와류와 더불어 다종(多種)의 목제품, 동·식물유체, 유기물이 출토되어 당시의 사회·문화·토목건축·식생환경을 복원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인하였다. 특히 목간은 당시의 사회상을 짐작할 수 있는 가장 직접적인 문자자료로서 신라 문화상 복원의 핵심유물이다. 현재까지 월성 해자에서 출토된 목간 및 목간형 목제품은 180여점이며 이 가운데 묵흔이 확인된 30여 점에 대한 판독을 통해 당시의 문화상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본고에서는 2015년부터 진행한 월성 ‘다’구역 수혈해자에서 확인된 신(新)출토 목간과 목간형 목제품의 현황과 출토 층위와 출토 위치를 파악하고 목간의 형태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월성 해자 출토 목간은 삼국시대에 조성되어 사용하다 폐기된 수혈해자 내부퇴적토에서만 출토되고 유수에 의해 해자 전반에 걸쳐 정형성을 띄지 않게 출토되는 양상을 보인다. 다만, 현재까지 수혈해자 일부에 대한 조사만 진행되어 월성 해자 출토 목간의 전체적인 양상을 파악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향후 월성 해자 신(新)출토 목간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진행되어 신라 문화상 복원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남한 지역의 홀로세 중후기 기후변화

        박정재 건국대학교 기후연구소 2013 기후연구 Vol.8 No.2

        There is not much difference in mid- to late-Holocene climate change between in South Korea and in other parts of the northern hemisphere. According to paleoclimate data from South Korea, the Holocene Climate Optimum ended around 7600-6000 BP. Lower latitudinal areas seemingly showed later termination times of the Holocene Climate Optimum. In late-Holocene, the climate was relatively cool between AD 200-AD 800 and AD 1300-AD 1900 and relatively warm between AD 800-AD 1300. In addition, the climate might be relatively cool between 1200 BC-400 BC and relatively warm between 400 BC-AD 200.

      • 위성영상을 이용한 중분류 토지피복도의 제작과정 개선

        박정재,구자용,김병선,Park, Jung-Jae,Ku, Cha-Yong,Kim, Byung-Sun 한국공간정보학회 2007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5 No.1

        토지피복도는 지표면의 상태를 나타내는 자료로 특히 환경 분야에서 지역의 현황을 파악하고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이다. 토지피복도를 효과적으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한 지표면 현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게 수집하고, 이를 지리정보로 변환하여 구축하고 관리하여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환경부에서 구축한 중분류 토지피복도의 제작과정을 검토하고, 이를 객관적이고 구체적으로 개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의 토지피복도 제작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한 후, 중분류 토지피복도를 제작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경계선 설정기준과 속성정보 부여기준은 기존의 토지피복도 제작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었다. The land cover map represent the state of earth surfaces.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explore present conditions of earth surfaces and develop future plans for local areas. To produce the land cover map with efficiency, gathering geographic information from satellite images is important. Exporting, building, and managing processes on the land cover information are needed as well. In this study we aim to review the producing process of the level-2 land cover map in detail and enhance it. h present status of the producing process of the land cover map in Korea is reviewed, problems of the process are explored, and measures for improving it are proposed. The criteria for fixing boundaries and providing attributes for the land cover map are proposed. This proposed criteria may solve problems in a present producing process. The improving measures proposed in this study should be continuously revised in future studies.

      • KCI등재

        홀로세 단기 한랭화의 동인과 한반도 고대 사회에 미친 영향

        박정재 국토지리학회 2019 국토지리학회지 Vol.53 No.4

        Abrupt Holocene cooling events (e.g., the 8.2 ka event) have long intrigued scientists because they represent significant exceptions to the fairly stable Holocene climate. Here, we introduce two pollen records showing these cooling events, which were very recently reported from two coastal sites in Korea. Bigeum pollen records indicated that early Holocene climate variations in coastal East Asia were principally controlled by the Atlantic meridional overturning circulation. Most importantly, the 8.2 ka cooling event was clearly recognized for the first time in coastal East Asia, where few high-resolution proxy data, such as ice core and stalagmite δ18O records, are available. Pomaeho pollen records indicated that climate deteriorations around 6400 cal yr BP and 4000 cal yr BP caused rapid vegetation changes in the study area, which were presumably attributable to low sunspot activity and strong El Niño-like conditions, respectively. These two cooling events were likely modulated by different climate mechanisms, as El Niño-Southern Oscillation activity began to strengthen around 5000 BP. These events may have had a substantial impact on ancient societies in the study area. 최근 고기후 학계에서 홀로세 단기 한랭기에 대한 학술적 관심이 높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이에 대한 연구가 거의 보고된 바 없다. 한반도에서는 동굴 석순이나 수목 나이테와 같이 고해상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시료들을 찾기 어렵기 때문이다. 비금도 화분자료에서 확인된 8.2 ka 이벤트가 보여주듯이 홀로세 초기의 동아시아와 한반도 기후는 북대서양의 기후 변화에 따른 북반구 ITCZ의 이동에 크게 좌우되었다. 그러나 동아시아에서 홀로세 중후기의 단기 한랭 이벤트들 (6.4 ka, 5.3 ka, 4.2 ka)을 일으킨 요인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진 바 없다. 최근의 강원도 포매호의 퇴적물 분석 결과는 이 이벤트들이 적도태평양의 해수면 온도 변화로 발생했고 당시의 기후 악화로 한반도의 고대사회가 충격을 받았음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