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과연 타르스키의 진리정의는 철학에 필수적인가?

        박정일(Jeong-Il Park) 한국철학회 2001 철학 Vol.67 No.-

        최근에 이병덕 박사는 졸고 「열린 해석과 타르스키의 진리정의」 (이하 ‘박정일(1999)’로 약칭함)에 대하여 일견 매우 강력한 비판을 제기하였다. 그 비판의 핵심은 박정일(1999)에서 제시된 주장의 세 가지 근거가 모두 설득력이 없다는 것이다. 나는 이 글에서 이러한 이병덕 박사의 비판에 대해 답변하고자 한다. 나의 논점은 이러하다: 나는 박정일(1999)에서 타르스키의 진리정의가 철학에 필수적인 수단을 제공하지 않으며, 바로 이러한 의미에서 철학적으로 중요하지 않다고 주장하였다. 여기에 대한 이병덕 박사의 비판은 더 깊은 생각을 요구하는 자극적인 것이었지만, 나는 그가 대체로 박정일(1999)를 오해했다고 생각하며, 그리하여 그의 어떤 비판은 모호하거나 빗나갔고 또 어떤 주장은 오류라고 생각한다. 특히, 그가 제시하는 반대 주장 -이것을 의도한 것이라면- 의 논거는 거의 설득력이 없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나는 여전히 박정일(1999)의 주장이 유효하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김영정 논제와 정상 조건문

        박정일(Park, Jeong-Il)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1 철학사상 Vol.40 No.-

        故 김영정 교수는 비판적 사고와 형식논리학의 ‘멋진 조화’를 꿈꾸며 ‘선제논리’라는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불행하게도 그 프로그램은 실패로 끝났다고 여겨지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김영정 논제”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생각한다. “김영정 논제”란 전칭명제와 특칭명제를 모두 조건문을 포함하는 양화문장으로 파악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김영정 교수는 전칭긍정명제와 특칭긍정명제를 각각 (∀x)(Sx ⊃ Px)와 (∃x)(Sx ⊃ Px)로 기호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나는 김영정 교수의 프로그램이 실패할 수밖에 없었던 근원적인 이유는 우리의 조건문을 실질 함언으로 파악했다는 점에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하여 우리는 실질 함언이 아니라 우리의 언어실천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조건문, 즉 비트겐슈타인의 “정상 조건문(normal conditional)”(p → q)을 김영정 논제와 결합하면 어떤 귀결이 나올지를 탐구할 수 있다. 이러한 “수정된 김영정 논제”에 따르면, 가령 전칭긍정명제와 특칭긍정명제는 각각 (∀x)(Sx → Px)와 (∃x)(Sx → Px)로 기호화해야 한다. 그렇게 되면 수정된 김영정 논제는 정상 조건문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중요한 열쇠와 통로 역할을 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생각들이 정리가 되면 예컨대 (A → B와 A → ∼B가 둘 다 참이 되는) 기바드(Gibbard) 현상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판명되며, 기존의 논의가 얼마나 혼란스러운 것인지를 깨닫게 한다. 요컨대 우리는 비트겐슈타인의 정상 조건문과 김영정 논제를 결합하여 “수정된 김영정 논제”를 설정한 후 이 논제를 일관성 있게 유지할 때 어떤 귀결이 나올지를 탐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수정된 김영정 논제”를 일관성 있게 유지하는 것은 가능하다는 것, 그리고 이를 통해 전통적인 대당사각형이 복원된다는 것, 정상 조건문 p → q의 조건부 부정은 p → ∼q라는 것, 또 정상 조건문의 또 다른 사용(⇒)이 있다는 것, p → q의 대우는 ∼q ⇒ ∼p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e late Professor Young-Jeong Kim propounded the ‘Presupposition Logic’ program, longing for harmony between critical thinking and formal logic. Unfortunately that program is regarded as a failure, but I believe that Young-Jeong Kim’s thesis is still relevant. Young-Jeong Kim’s thesis asserts that both a universal proposition and a particular one should be considered as a quantified proposition which contains a conditional. Professor Young-Jeong Kim asserts that a universal affirmative proposition and a particular affirmative one must be symbolized as (∀x)(Sx ⊃ Px) and (∃x) (Sx ⊃ Px), respectively. However, I believe that the fundamental reason that Professor Young-Jeong Kim’s program could not help but end in failure is that he regarded our conditional as a material implication (conditional). Hence we need to consider the case that in Young-Jeong Kim’s thesis, a material implication should be replaced with a conditional which is used in our real language practice, that is, Wittgenstein’s normal conditional. According to this “modified Young-Jeong Kim’s thesis,” a universal affirmative proposition and a particular affirmative one must be symbolized as (∀x)(Sx → Px) and (∃x)(Sx → Px), respectively. Then, the modified Young-Jeong Kim’s thesis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viding an important key and the path to for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a normal conditional. Furthermore, after we arrange our thoughts in regard to this matter, we will come to know that the Gibbard phenomenon in which both A → B and A → ∼B are true does not exist, and come to realize how confusing the previous thoughts about conditionals are. In a nutshell, we can investigate what consequences can be derived if we maintain this modified thesis consistently after we combine Wittgenstein’s normal conditional with Young-Jeong Kim’s thesis. And through this we can ascertain that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modified Young-Jeong Kim’s thesis, that we can rehabilitate the traditional opposition square, that the negation of a normal conditional p → q is p → ∼q, that there is another kind of use for a normal conditional(⇒), and that the contraposition of p → q is ∼q ⇒ ∼p.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김영정 교수의 선제논리 프로그램

        박정일 ( Jeong Il Park ) 한국논리학회 2010 論理硏究 Vol.13 No.2

        After the unexpected death of the late professor Young-Jung Kim on July 28th last year, 4 pieces of paper unpublished were discovered. Those papers reveal that he had a grand program. In particular, we found that he had his own ideas and theory which he called Presupposition Logic and Field Logic. In this paper, I will call his program Presupposition Logic Program. He explored a new logic system, Presupposition Logic, in order to realiz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the closer relationship between logic and critical thinking. In this paper, I will expound what his presupposition and Presupposition Logic are and why he thought Presupposition Logic is necessary from a perspective of logic. And I will critically elucidate what was the problem that troubled him.

      • KCI우수등재

        『논리-철학 논고』의 ‘완전히 일반화된 명제’에 관하여

        박정일(Jeong-il Park) 한국철학회 2015 철학 Vol.0 No.122

        『논리-철학 논고』에서 ‘완전히 일반화된 명제’는 여러 문제들과 의문들을 불러일으킨다. 그 주요한 의문은 다음과 같다: 그것은 실로 명제인가? 또한 그것은 합성되어 있는가 아니면 단순한가? 완전히 일반화된 명제는 동어반복이나 모순과 같이 논리적 명제인가 아니면 세계에 속하는 사실을 기술하는 경험적 명제인가? 아니라면 그것은 경험적 명제이지만 사실이 아닌 어떤 다른 것을 기술하는 명제인가? 요컨대 완전히 일반화된 명제는 그림인가? 그리고 그것이 그림이라면 그것은 무엇을 그리는가? 이러한 의문들에 대해서 『논고』에서 확인될 수 있는 첫 번째 대답은 다음과 같다. “세계는 완전히 일반화된 명제들에 의해서 완전히 기술될 수 있다.”(5.526) 그러나 어떻게 완전히 일반화된 명제가 세계를 완전히 기술할 수 있는가? 도대체 여기에서 “완전한 기술”이란 무엇을 뜻하는가? 나는 이러한 물음들에 대해 비트겐슈타인의 실제 사유 과정을 해명함으로써 몇몇 학자들의 오류를 지적하고자 한다. ‘A completely generalized proposition’ of the Tractatus arouses several puzzles and problems. Those chief puzzles are as follows: Is it a proposition at all? Is it really composite or simple? Is it a logical proposition such as a tautology or a contradiction or is it a empirical proposition which describes a fact belonging to the world? In short, is a completely generalized proposition a picture? And if it is a picture, what does it depict? To these questions, the first answer that is given in the Tractatus is this: “One can describe the world completely by completely generalized propositions.”(5.526) But how can completely generalized propositions describe the world completely? What does it mean to be a “complete description” here? In this paper, I will explicate Wittgenstein’s thoughts on these problems and point out some commentators’ failures.

      • KCI등재

        조직정치지각과 조직유효성의 관계에서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

        박정일(Jeong-Il Park),이강수(Kang-Su Lee),황호영(Ho-Young Hwang) 한국산업경제학회 2014 산업경제연구 Vol.27 No.5

        1997년 외환위기 이후 노동시장의 유연성 강화를 위하여 비정규직이 도입된 이래 2012년 그 비중이 33.3%로 사회적으로 심각한 수준이다. 비정규직은 고용불안 등으로 인한 이직이 심하고, 조직내 정규직들이 중심이 되는 조직정치의 희생양이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정규직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었다. 따라서 본고는 비정규직인 방과 후 교사를 대상으로 그들의 조직정치지각과 조직유효성과의 관계, 그리고 이 관계를 조직공정성이 조절하고 있는지를 고찰하고, 기존의 정규직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결과와 비교함으로써, 조직정치가 정규직뿐만 아니라 비정규직 근로자의 관리측면에서도 중요한 고려의 대상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비정규직인 방과 후 교사의 경우, 조직정치지각은 직무만족에는 부(-)의 영향을 주었으며, 이직의도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에서 정규직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와 일치하였다. 다음으로 조직정치지각과 직무만족과는 내적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이 조절효과가 있었고, 조직정치지각과 이직의도와는 내적공정성만이 조절효과가 있었다. 또 정규직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에서는 조직공정성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본 연구에서는 비정규직인 방과 후 교사에게는 내적공정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점차 확대되어가는 비정규직 근로자 문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노력한 만큼의 적정한 보상을 통해 이직의도를 낮춤으로써 조직유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nfirmed the meantime, research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al politics is perceived as a temporary destination for after-school teacher, and analyzed for indicating whether the control effect organizational fairness. It was to review and compar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politics perception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existing and targeted to study full-time for the organization and control that justice is the relationship prior studies, non-regular targets accordingly. Organizational politics perception is so permanent as well as administrative aspects of non-regular workers to suggest that it was the subject of consideration. The results for the part after school teacher has satisfactory job political organization perception wa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in that gave the effect of, that affects the positive (+) is the separation of the (-). The adjustment procedure was effective internal justice and impartiality are the following: job satisfaction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as. The only adjustment was effective internal organizational politics perceptions of justice and turnover is help. There were no moderating effect on the justice of the organization"s turnover, it would appear that there is a moderating effect of intrinsic justice for non-regular after-school teacher with previous studies is the difference between a regular targets.

      • KCI등재

        『논리-철학 논고』의 그림 이론에 관하여

        박정일 ( Jeong-il Park ) 한국논리학회 2019 論理硏究 Vol.22 No.2

        『논리-철학 논고』에서 비트겐슈타인은 이른바 그림 이론을 제시한다. 그렇다면 그림 이론의 요점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어떤 철학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시되었는가』 나는 이 글에서 그림의 대상과 그림의 뜻은 상이 하다는 것, 모사 관계와 투영 관계가 상이하다는 것, 그림 이론은 요소 명제뿐만 아니라 복합 명제에도 적용된다는 것, 그리고 한편으로 그림 이론이 해결하고자 했던 기본적인 문제는 의미 이론의 문제와 진리 개념의 문제이지만 다른 한편으로 더 중요한 문제는 비트겐슈타인이 “부정의 수수께끼”라고 부른 것이 었음을 보이고자 한다. 그렇게 되면 우리는 『논리-철학 논고』의 그림 이론이 비유에 불과하고 내용이 없다는 해석이 전혀 옳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Wittgenstein presents so-called picture theory in the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What is, then, the point of the picture theory? What are the philosophical problems which the picture theory tries to solve? In this paper, I will endeavor to show that the object of a picture is different from the sense of a picture, that the representing relation is different from the projective relation, that picture theory is applied to composite propositions as well as elementary propositions and that on the one hand the basic problems that picture theory tries to solve are problem of theory of meaning and that of theory of truth, but on the other hand the more important problem is what Wittgenstein calls “the mystery of negation.” From these discussions, we can see that it is not correct at all to interpret that the picture theory in the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is nothing but an analogy which does not have a significant cont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