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범부 김정설의 풍류도적 음악관

        박정련(Jeong-ryeon Park) 민족미학회 2014 민족미학 Vol.13 No.2

        이 글은 『삼국사기 』(三國史記) 「열전」(列傳) 중, 신라(新羅)의 음악문화를 파악할 수 있는 물계자(勿稽子)와 백결선생(百結先生)에 대한 몇 줄의 사료를 단서로 하여 범부(凡父) 김정설(金鼎卨 1897~1966)이 『화랑외사 』(花郞外史)에서 재현한 내용을 검토한 것이다. 다시 말해 신라 물계자와 백결선생의 풍류도, 좁게는 그들의 음악에 대한 사유를 범부 김정설이 당시 통속적 언어를 통해 이를 해석하고 밝힌 것이다. 김범부가 『화랑외사』의 서술방법으로 택한 윤색(潤色)과 연의(演義)의 목적은 ‘활광경’(活光景)과 ‘활현’(活現)을 위한 것인데, 이는 화랑과 풍류도가 우리의 혈맥에 살아 움직이고 환히 보일 수 있는 활물(活物)로서의 기능을 기대한 그의 선택적 서술방식이었다. 그러나 ‘외사’(外事)라 하여 황당무계한 내용이 아니라, 오히려 정사(正史) 이상으로 역사적 사실을 생생하고 뚜렷하게 전달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물계자와 백결선생은 비록 화랑(花郞)은 아니었지만, 화랑을 이해함에 있어 그들이 숭봉한 화랑도(花郞道)의 정신을 먼저 이해하고, 이러한 화랑도의 정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풍류적 인물의 이해가 필요하였기 때문에 김범부는 그들을 등장시킨 것이다. 『화랑외사 』에서 물계자와 백결선생의 풍류도를 생생하게 재현한 김범부는 나름의 표현방법을 ‘제 빛깔’, ‘제 길수’, ‘제 멋’ ‘사우 맞음’, ‘제 작’이라는 통속적 용어를 빌어 전반적인 풍류도 및 풍류도적 음악을 표현하였고, 마침내 물계자와 백결선생의 그것이 ‘제 작’의 단계에서 절로 터져 나오는 음악적 상황을 생생히 재현하였다. This paper studied about the revival of musical contents which was studied by Beom-bu(凡父) Kim Jeong-seol(金鼎卨 1897~1966) describing some of historical paragraphs for the musical element of the culture in 『Hwa-rang-oi-sa(Extra history out of Hwarang)』 (花郞外史), which examined Mul-gae-ja(勿稽子) and Sir Baekg-yeol (百結先生) during Silla dynasty in the book 『Samkuk-saki(History of Three Kingdom)』(三國史記) part of ?Yeoljeon(various records)?(列傳). To say, Beom-bu Kim Jeong-seol explained and interpreted the Pungryu(refined beauty of art) and thought of Mul-gae-ja and Sir Baek-gyeol during Silla kingdom by common language of the age. The purpose of Yun-sek(潤色: coloring) and Yeon-ui(演義: exposition) selected as a method to describe ?Hwa-rang-oi-sa(history out of Hwarang)? by Kim Beom-bu was ‘Hwal-hwang-gyong’(vitalize scenery: 活光景) and ‘Hwal-hyeon’(vitalize reality: 活現), which was a selective method of description for the expectation of the function as a living material seen and living in the context of our history in the spirit of Hwarang, and Pung-ryu-do. However, ‘Extra history(外事)’ is not unrealistic but it aims to transfer live historical fact and make it realistic than authentic history(正史). Though Mul-gae-ja and Sir Baek-gyeol were not a member of Hwarang(花郞) group but they understood the spirit of Hwarang-do they honored and Kim Beom-bu commented them to understand the spirit. Kim Beom-bu who revitalized the Pungryu-do(refined beauty in art way) in ?Hwa-rang-oi-sa(history out of Hwarang)? by Mul-gae-ja and Sir Baek-gyeol, using characteristic way of expression by the term ‘Jae-bit-gal(own color)’, ‘Jae-gil-su(own way)’, ‘Jae-meot(own taste)’, and ‘Sau-ma-zeum(harmony)’, or ‘Jae-jak(own works)’ in general Pungryu-do and the style of music, which finally revitalized the musical situation in the stage of ‘won works’ by Mul-gae-ja and Sir Bae-kgyeol.

      • KCI등재

        『純祖戊子進爵儀軌』에서 「鄕唐交奏」 雅名의 문헌적 연구 : 자경전 내진작의 「향당교주」 아명과 동일한 중국의 악곡명을 중심으로

        박정련(Park Jeong-Ryeon)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1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26

        This study started from the idea which 「Hyangdang-gyoju」(鄕唐交奏) was known as late Choseon dynasty accompaniment music title of Jeongjae(呈才) as well as music note played in various court ceremony, and the composition of instrument was mixed national music instrument(鄕樂器) with Chinese Tang music instrument(唐樂器) of exterior aspect, also to examine the another meaning of 「Hyangdang-gyoju」 through various ways of the study. I examined the origin, the usage, and the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 of thesame title music between Korea and China among 10 titles of the music note which have same title name with Chinese in 「Hyangdang-gyoju」 and explosively increased the number of the sort in Feb. 1828 in Jagyeongjeon Naejinjak. The title names as same with Chinese music in Jagyeongjeon Naejinjak of 「Hyangdanggyoju」 were 「Cheonhyang-bongsojigok」(天香鳳韶之曲) · yeong-pungnyeonji-gok」(慶豊年之曲) · onnyeong-jigok」(坤寧之曲) · yeongmanyeon-jigok」(慶萬年之曲) · amhwangeun-jigok」(感皇恩之曲) · hangunsong-jigok」(昌運頌之曲) · aseongjo-jigok」(賀聖朝之曲) · eongnamsan-jigok」(永南山之曲) · huitaepyeong-jigok」(醉太平之曲) · unghwa-jigok」(凝和之曲) etc. These 10 music title was played in every court ceremony at Queen‘s or King's pavilion, or prince's party. In Feb. 1828, 「Hyangdang-gyoju」 of Jagyeongjeon Naejinjak was selected as similar attribution and played as with Chinese court ceremony music, which was confirmed as important characteristics in the examination of the literature of 「Hyangdang-gyoju」.

      • KCI등재

        범부(凡夫) 김정설(金鼎卨)의 한국전통음악의 ‘멋’ 논의

        박정련(Jeong-Ryeon Park)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1 민족문화논총 Vol.78 No.-

        이 글은 범부 김정설이 밝히는 한국전통음악의 멋에 대해 전개하였다. 이를 위해 범부의 저술 속에 나타난 그의 ‘멋’에 대한 관점과 우리나라 역사 속에서 한국전통음악이 어떻게 전승되었고, 그 위치가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통해 한국전통음악의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다. 범부는 『화랑외사』에서 ‘풍류’가 현재 한국인이 사용하는 ‘멋’이라는 말과 동일함을 피력함으로써 ‘풍류’를 현재의 ‘멋’이라는 활어(活語)로 재탄생 시켰다. 멋의 본질이 시간이 지나 현재까지 오면서 왜곡되거나 어긋나 있으므로 현재에 통용되는 ‘설 멋’과 ‘제 멋’, ‘참 멋’을 언급함으로써 원래의 멋인 ‘참 멋’에 대한 강조로 설명하였다. 그는 『화랑외사』에서 ‘참 멋’을 지닌 역사적 인물 중 사다함(斯多含)과 김유신(金庾信)을 통해 유교・불교・도교를 아우르는 고유한 한국적 멋, 풍류도의 정체를 설명하기도 하였다. 범부는 전통을 논함에 있어 현재에도 살아있는 전통으로 계승되어야 하는데, 그 표본을 한국전통음악의 연주형태를 통해 설명했다. 이러한 한국 전통음악 전승의 특징은 연주자가 곧 작곡가의 역할을 했기 때문인데, 여기에는 연주자의 감흥에 따라 새로 작곡해가면서 연주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한국전통음악의 특성은 우리민족의 생리화된 음악전승방법, 일종의 독특한 한국음악인의 성격이면서 특별한 생리를 담지하고 있다. 더불어 범부는 신라 화랑의 정신요소 중 예술적 요소로서 가장 중요하게 여긴 것을 음악으로 보았고, 음악이 화랑에게만 중요했던 것이 아니라, 신라 역사 속에서 음악과 음악인의 중요성은 여러 가지 증거와 현상들로 설명했다. 그러므로 음악의 중요성과 상징성은 국민성 또는 그 시대성, 풍토성(風土性), 그 시대의 사회적 성격에서 연원한 것이며, 신라에서 그 핵심은 바로 풍류도에서 연원했음을 강조한 것이다. 신라역사에서 음악과 음악인들의 사회적 위치와 중요성은 풍류정신, 곧 ‘멋’에서 기인한 것이고, 범부는 『화랑외사』나 『풍류정신』에 이를 자세히 연출하였다. 범부가 밝히는 한국전통음악의 멋은 그가 남긴 자료를 통해 몇 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는데, 여기에는 한국전통음악을 연주하는 물계자와 백결선생을 통해 주로 파악할 수 있다. 범부가 밝히는 한국전통음악의 멋은 ‘제 빛깔’과 ‘제 길수’의 멋이다. ‘제 빛깔’이라는 것은 사람에게 누구나 있지만 ‘제 빛깔’을 잃은 사람은 아무것도 이룰 수 없다. 잘났거나 못났거나 ‘제 빛깔’을 지닌 사람은 ‘제 길수’를 찾게 되며, ‘제 길수’는 자연(自然)의 묘리(妙理), 즉 자연적으로 알게 되는 이치를 말한다. 또 한국전통음악의 또 다른 멋은 해학적, 즉흥적인 멋이다. 범부의 『화랑외사』에서의 물계자와 백결선생의 해학성은 말 그대로 음악을 통해 웃음 짓게 하는 재미와 익살적 표현이 용해되어 있으며, 더불어 곳곳에 나타나는 즉흥연주 연출은 한국전통음악의 대표적 멋으로 잘 표현되어 있다. This article developed the Meot (멋) in Korean traditional music revealed by the Beombu Kim Jeong-seol. To this end, I was able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raditional Korean music through the perspective of the Meot in his writings and how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transmitted and developed the Meot in Korean history. Beombu recreated Pungryu (風流) as the current live style of Meot by demonstrating that Pungryu as the same as the word Meot used by Koreans in 『Hwarang-oesa(花郞外史)』. Since the essence of Meot has been distorted or misaligned as time passes and it has come to the present, it was explained with emphasis on the original style, ‘Seol Meot (설 멋), ‘Jae Meot (제 멋), and ‘Cham Meot’(참 멋). He also explained the identity of Pungryudo(風流道) as a unique Meot that encompasse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hrough Sada-hham (斯多含) and Kim Yu-shin (金庾信) among historical figures with ‘tCham Meot’ in 『Hwarang-oesa』. In discussing traditions, the general public should be inherited as a living tradition even today, and the sample was explained through the performance form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is characteristic of traditional Korean music transmission is because the performer played the role of a composer, and this is because there is a characteristic of playing while composing a new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inspiration of the performer.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clude the physiologically transmitted method of music of our people, a kind of unique character of Korean musicians, and a special physiology. In addition, the general public viewed music as the most important artistic element among the spiritual elements of the Shilla dynasty Hwarang group, and the importance of music and musicians in the history of Silla was explained by various evidences and phenomena. Therefore, the importance and symbolism of music derives from the national character 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the climate, and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time, and it is emphasized that the core of the music is from Pungryudo in Silla. The social position and importance of music and musicians in the history of Silla stemmed from the spirit of Pungryu, that is, ‘Meot’, and the general public produced this in detail in 『Hwarang-oiseo』 and 『Pungryu Jeong-shin(Spirit)』. The styl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revealed by the Beombu could be summarized in several ways through the materials he left behind, and this can be mainly understood through Mulgyeja(Name of musician) and Baek-Gyeol, who play traditional Korean music. The Meot of traditional Korean music revealed by ordinary people is the Meot of ‘my color’ and ‘my way’. “My color” is something everyone has, but a person who has lost “my color” cannot achieve anything. A person who is good or bad, or who has ‘one’s own color’, will find ‘one’s way’, and ‘one’s way’ refers to the secret of nature, that is, the way to know naturally. Another Meo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s humorous and improvised. The humor of teacher Mulgyeja and Baek-Gyeol in 『Hwarang-oesa』 of the Beombu literally melts the fun and humorous expressions that make people laugh through the music. is well expre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