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실시간 다중 기준국 GNSS/GPS 반송파 미지정수 결정 기술 연구

        박재익,이은성,허문범,Park, Jae-Ik,Lee, Eun-Seong,Heo, Mun-Beom 한국천문학회 2012 天文學會報 Vol.37 No.2

        1990년대 제안된 RTK(Real-Time Kinematics)는 GNSS/GPS 반송파 위상(carrier phase) 관측값을 이용한 방식으로 cm 수준의 정확도를 실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어 측지 측량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한 가지 중요한 단점은 이 방식을 사용하는 기준국과 사용자는 10~20km 이내에 존재해야만 빠르고 신뢰할 수 있는 해를 산출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궤도오차, 대류층 및 전리층 오차에 공간 상관성(spatially correlated) 있기 때문인데, 사용자 주변을 둘러싼 다중 기준국들의 측정치를 조합하여 보상하거나 모델링하여 줄이는 방식인 다중 기준국 네트워크 기반의 RTK 알고리즘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다중 기준국 네트워크 기반의 RTK 프로세스에서 기준국간 미지정수 결정은 전 과정의 핵심 프로세스라고 할 수 있으며, 관련되어 많은 기술들이 제안되고 연구되어 왔다. 특히, 1980년대 말부터 현재까지 후처리 기반으로 꾸준하게 연구되고 있는 Blewitt에 의해 전리층 제거 조합과 Wide-lane 반송파 위상 조합을 활용한 미지정수 검색 방법이 대표적이며 이후에도 Gao, Colombo등 다양한 연구자에 의해 활용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실시간으로 다중 기준국 반송파 미지정수를 결정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L1, L2 관측값 조합으로 인한 관측값의 잡음 수준이 증가하는 영향을 피하기 위해 L1, L2 반송파 위상 및 의사거리를 그대로 관측값으로 사용하여 사용자 위치 및 속도, 기준국간 이중 차분된 전리층 지연 수직성분, 대류층 wet 지연 수직 성분, 이중 차분된 미지정수를 미지의 상태변수로 확장 칼만필터를 통해 직접적으로 추정하는 방식으로 미지정수의 실수해를 결정하였고, 정수해는 실시간에 적합한 MLAMBDA 기법과 비율테스트를 통한 정수해 검정기법을 통해 결정하였다.

      • KCI등재

        Teaching intonation of four English interrogative sentence types using audio-visual pitchtracks

        박재익 한국음운론학회 2010 음성·음운·형태론 연구 Vol.16 No.1

        This study provides the result of an experiment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English intonation patterns to Korean college students. The experiment was done with four different types of interrogative sentences: structures ending with a grammatical word, questions with an imbedded sentence, either-or questions, and questions with an intermediate rise or fall. The subjects were explicitly taught using the tape recorder, visually overridden intonation marks, and computer-generated intonation contours. Eight subjects were selected from three different general English levels: high intermediate, low intermediate, and low, and they practiced 164 sentences in four different test lists. After the ten weeks of practice and teaching, the subjects showed a noticeable development in performance. The analysis is based on 36 sentences in the four different question types. The pretest from the subjects and previous general survey showed a very low performance (15-59%), but the post-test of the subjects showed a significantly improved production (63-96%). In the pretest, there were different production abilities among the subjects of different levels of English ability, but in the post-test, no such notable differences were found. The levels of difficulty or easiness were found among the four different interrogative structures. Close-choice (Either-Or) questions are the easiest to learn, questions with final grammatical words are the next, questions with an embedded sentence come next, and questions with a non-final rise or fall intonation are the most difficult.

      • KCI등재
      • KCI등재

        문학이라는 소꿉놀이: 김동인 초기 문예론 재독

        박재익 한국문학연구학회 2019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67

        This article examines Kim Dong-In’s earlier novels and the magazine Chang-Jo in the awareness that the literary discourse has been reorganized around 1920. The key changes are related to the procedure and purpose of reading and interpreting literary texts. In connection with this, Kim Dong-In asked the reader to find the word that are not presented in the text, the word that the author did not say. However, if this request is to be applied to all texts, eventually it is close to being generated through reading rather than finding. In this respect, the literary movement developed in the literary discourse in Kim Dong-in's writing was a kind of discipline. However, this discipline also promotes endless rewriting of text. Because the legitimacy of interpretation comes from the rules that precede the text, rather the interpretation may not be tied to what is written on the textual side of the text. The circulation of closed and self-complete literary discourse becomes possible through the discipline of this writing-reading. 이 글은 1920년을 전후해 일어난 문예담론의 변화 양상을 보다 미시적 차원에서 검토하기 위해 김동인의 초기 단편과 문예지 『창조』를 살펴보았다. 이 시기 문예담론 재편 과정에서의 특징적인 양상은 문학이 현실을 재현해야 한다는 강박에서 의식적으로 벗어나려 했다는 점이다. 문학이 현실을 재현해야 한다는 강박에서 벗어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문학 텍스트에 공통적인 자질인 언어의 구성 양상 자체로부터 ‘문학성’, 즉 ‘미’를 찾아내는 작업이었다. ‘미’라는 추상적 이념을 언어를 통해 구현하는 작업은 소설이나 시를 쓰는 층위에서만 진행되는 것이 아니었다. 오히려 이는 개별 텍스트들로부터 ‘미’를 찾아내는, 특정한 독서의 산물이었다. 김동인은 이와 관련해 ‘텍스트에 제시되지 않은 말, 저자가 채 하지 못한 말을 찾아달라’고 독자에게 요청한 바 있다. 그런데 이 요구가 모든 텍스트에 대해 적용될 수 있다면, 결국 ‘저자가 하지 못한 말’은 텍스트에서 찾는 것이라기보다는 독서와 해석을 통해 생성되는 것이다. 독서와 해석을 통해 생산되는 ‘저자가 하지 못한 말’은 텍스트의 문학적 의미, 나아가 텍스트에 함축된 ‘미’와 동일시된다. 독자는 이를 찾기 위해 시학적 지식을, 작법에 대한 지식을 고려해야 한다. 이 점에서, 김동인의 글쓰기와 『창조』에서의 문예담론에서 전개된 문학운동은 일종의 규율화이다. 그러나 이 규율화는 또한 텍스트에 대한 끝없는 다시 쓰기를 추동했던 것이기도 하다. 해석의 정당성이 텍스트에 선행하는 규칙에서 나오기 때문에, 오히려 해석은 텍스트의 문면에 적힌 내용에, 그리고 저자의 의도에 얽매이지 않을 수 있었다. 이로써 폐쇄적이고 자기완결적인 문예담론의 순환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의미에서 1920년대 문예담론은 본질적으로 저자와 독자 사이의 대화적 관계의 구축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 시기 김동인을 비롯한 문예동인지 필자들이 반복해서 독자를 호명했던 것 역시 이와 관련된다. 이들이 요구했던 것은 그저 문학에 종사하는 것, 문학적인 글을 쓰는 것이었다기보다는, 누군가 자신의 글을, 문학에 고유한 방식으로 읽어주는 것에 가까웠던 셈이다.

      • KCI등재
      • KCI등재

        「虎叱」 서두의 창귀의 등급과 기능

        박재익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5 石堂論叢 Vol.0 No.63

        This study seek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four different sections of Park Jiwon’s 「Hojil[虎叱]」--the introduction on the triangular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characters (mysterious animals, tigers and people), the hunting skills of the three types of ghosts, the menu recommendation by the ghosts, and the story of the scholar--as a whole narrative. It then deals with the structure of the discourse in the three-tiered menu recommendations made by the ghosts based on the hierarchy of the ghosts. This research seeks to answer such questions like: what is the use of the introduction of the mysterious animals, how are the three ghosts leveled differently, how is the dinner menu quality graded, and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iscourse of the three ghosts and that of the tiger? The answers to these questions will show the integrity of the plot in the stories of the mysterious animals, the hunting skills of the three ghosts, the dinner menu argument by three ghosts and the tiger, and the story of Scholar Bukgwak. First, the triangular rivalries of the mysterious animals vs. tigers, tigers vs. people, and people vs. mysterious animals tell us that people fear tigers. Second, each of the three ghosts incarnated in tigers, Gulgwak, Iol and Yukhon, has meaningful names, use one-level upgraded sentence structures and discourse length as well as one-level upgraded intelligence, skills and menus. The lowest-level ghost uses the stereotypical four-syllable phrases and the length of its speech is very short, while mid- to upper-level ghosts use slightly more uncommon phrases and longer discourse. Their menus are also leveled up by one grade each according to the number of ghosts incarnated: from common people to doctors and shamans, and from doctors and shamans to yangban scholars. Third, the attitude, knowledge and critical appraisals reflected in the discourse of the tiger are superior to all. This is why Scholar Bukgwak, however many books he read or wrote, cannot raise his head in front of the tiger. Tigers are feared, not only by average citizens, but by yangban scholars as well, as shown in the triangular relationship in the onset of the story. The reason that Park Jiwon strategically allocated the tiger story to occupy more than one third of the whole of 「Hojil」 is because of its importance for the next anecdote in the same story. In previous studies we were not able to find any detailed and analytical research on the rhetorical devices used in「Hojil」. The importance of this research is that it shows how tightly the seemingly loose sections are actually intertwined to form a unified narrative. 이 연구는 박지원의 한문소설 「호질」의 앞부분에 있는 여러 가지 신비한 짐승과 범과 사람과의 관계를 언급한 대목과 세 가지 창귀들이 저녁거리를 추천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대한 연구이다. 범에 대한 찬미와 범을 이기는 여러 가지 짐승들에 대한 소개가 왜 여기 있으며, 창귀 붙은 범들의 기술 수준이 어떻게 차이나며, 저녁거리 수준이 어떠하며, 창귀의 범의 대화의 길이와 문체와 수준이 어떻게 차이 나게 구현되어 있는지 분석한다. 첫째로, 탁월한 성품을 가진 범과 신비스런 짐승과 사람과의 삼각관계에서의 승패 소개는, 사람이 무서워하는 짐승은 신비스럽고 이상한 짐승이 아니라 범이라는 것이다. 이에 대한 증거는 이야기의 후반부에 있는 북곽선생 이야기이다. 둘째로, 사람을 한 명씩 더 잡아먹을수록 창귀가 하나씩 더 붙는데 그 붙은 위치에 따라 굴각, 이올, 육혼이라는 이름을 가지며, 그들의 사냥술, 말솜씨까지 수준이 달라서 3등급, 2등급, 1등급으로 차이나며, 이들이 추천하는 저녁 식단도 등급이 높아진다. 이들의 문장은 굴각은 초보적인 4언1구체로 된 문장만 쓰지만 이올, 육혼으로 높아질수록 그런 제약이 줄어드는 문장을 쓰며, 추천한 식단도 동자, 의원과 무당, 양반으로 등급이 높아지는 구조를 가진다. 셋째로, 범의 유자에 대한 평가에서 범의 자태나 식견이나 문장이 그 누구보다 탁월하다. 범의 눈에 속속들이 드러난 유자(인간)의 치부 때문에 감히 범 앞에 얼굴을 들지 못하게 됨을 설명한다. 양반이거나 아니거나 모든 인간에게는 범이 제일 무서운 존재인 것은 인간이 감히 범의 성품을 닮아가지 못할 뿐만 아니라 갖가지 악독으로 생태까지 파괴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박지원의 치밀한 글쓰기를 두고 볼 때, 느슨하게 보이던 「호질」의 서두부분의 범의 성품, 신비스런 짐승에게 사람이 이기는 이유, 창귀들의 이름과 등급, 저녁거리에 대한 범의 평가가 얼마나 체계적인지와 또 얼마나 밀접하게 뒤따라오는 북곽선생 이야기와 연결되어 있는지를 보여주는 연구라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있다.

      • 농사용 어휘의 소통의 문제

        박재익 한국언어과학회 2012 한국언어과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02

        이 연구는 농사와 관련된 언어 사용의 소통에 관련된 연구로서, 특히 농약병이나 농약 포 장에 쓰인 낱말을 관찰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정확한 뜻을 소통시킬 수 있을지에 대한 의 문점을 제기하고 개선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1세기 세종계획을 참조하고 피조 사자의 이해 정도를 고찰하고 더 나은 소통을 위한 개선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