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키워드 검색광고의 상표권 침해 여부

        박인회,신미리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東亞法學 Vol.- No.80

        Keyword search advertising is a kind of online advertising, which is an advertisement technique that allows an advertiser who has contracted with a search service provider to be exposed on a screen where search results are displayed when a search word is entered in a search engine of a search site. These keyword search ads are targeted advertisements, so they are only exposed to those who are interested in them. Also, for this reason, when the advertiser uses a specific trademark as a keyword, the keyword searcher is in conflict with the trademark owner and infringes the trademark right. By comparison, the United States states in the US federal trademark law article 45 that what is included in the “commercial use” of a trademark is important, so it is important whether this is a “commercial use” under Article 45 when discussing trademark infringement. In accordance with Article 32(1)(a) of the US Federal Trade Act, the provisions of Article 43(a) and (C) of the Act provide for the misrepresentation of origin And the unfair competition and dilution caused by the infringement of the establishment is recognized. The theory of whether these keyword search ads infringe the trademark is that the confusion can be caused when the provider attracts the consumer due to the special environment of the Internet. When discussing the initial interest confusion doctrine and trademark infringement Trademark use theory, which claims that there must be ‘use of trademarks’ consistent with the definition of ‘trade use’ as laid down in the federal trademark law, as a precondition for trademark infringement before judging the existence of confusion or dilution. As a result, both sides have in common that the notion of ‘trademark use’ in the current trademark law is not appropriate to cover the meaning of ‘trademark use’ in the current market situation of the internet market. If the behavior of keyword search ad is affirmed against trademark infringement, the problem of responsibility of search service provider and advertiser that can be considered as the subject of the action corresponds to the problem to be solv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make clear definition rules and the responsibilities of service providers to reflect the fact that online advertising such as keyword search ads related to trademarks are easily confused with consumers and that search service providers have a great influence. It would be desirable to establish regulations on exemption. 키워드 검색광고(keyword search advertising)란 온라인 광고의 한 종류로서 검색 사이트의 검색엔진에서 검색어를 입력하면 검색 결과가 나오는 화면에 검색서비스 제공자와 계약한 광고주의 광고가 노출되도록 하는 광고 기법을 말한다. 이러한 키워드 검색광고는 타겟형 광고이기 때문에 이에 관심있는 사람들에게만 노출된다는 장점을 가지면서 또한 이러한 이유로 그 광고주가 특정한 상표를 키워드로 사용하는 경우 상표권자와의 갈등을 겪으며 상표권 침해 여부가 문제된다. 키워드 검색광고가 상표법에 의하여 규율되기 위해서는 우선 이러한 키워드 검색광고가 상표법에서 규정하는 ‘상표의 사용’에 해당하여야 하며, 또한 이러한 사용이 ‘혼동가능성’을 야기하여야 한다. 전통적인 관점에서 상표의 사용이라는 것은 상품에 해당 상표가 부착되는 것을 의미함에 반하여, 키워드 검색광고의 경우에는 상표라는 전자적 표시가 해당 상품과 무관하게 나타나게 된다는 특이성을 갖게 된다. 비교법적으로 미국은 미국연방상표법 제45조에서는 상표를 ‘상업적으로 사용’하는 것에 어떤 행위가 포함되는지를 규정하고 있어서 상표권 침해를 논할 때 이 제45조상 ‘상업적 사용’인지 여부가 중요해진다. 상표권 침해와 관련한 조항으로 미국연방상표법 제32조(1)(a)에서 등록상표권에 대한 침해요건 규정하고, 동법 제43조 (a)항과 (C)항에서는 미등록표지에 대한 출처오인․혼동으로 인한 부정경쟁행위 및 희석화하는 행위 등 침해성립을 인정하고 있다. 이러한 키워드 검색광고가 상표권을 침해하는지에 대한 학설로는 인터넷의 특수한 환경으로 인하여 그러한 혼동이 제공자가 수요자를 유인하는 때에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최초관심혼동 이론(Initial interest confusion doctrine)과 상표권 침해를 논할 때는 혼동이나 희석화 유무를 판단하기 이전에 상표침해의 전제조건이자 연방상표법에서 규정하는 ‘거래상 사용’의 정의와 부합하는 ‘상표의 사용’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상표사용론(Trademark use theory) 등이 대립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두 입장 모두 현행 상표법상 ‘상표적 사용’이라는 개념이 현재의 인터넷 시장이 발달하고 있는 시장상황에서 나타나는 ‘상표적 사용’의 의미를 포괄하기에 적절하지 않다고 보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는다. 키워드 검색광고의 행위가 상표권 침해에 대하여 긍정되는 경우, 그 행위의 주체로 볼 수 있는 검색서비스 제공자와 광고주의 책임 문제도 해결해야 할 과제에 해당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환경에서, 상표와 관련된 키워드 검색 광고 등 온라인광고가 소비자에게 혼동을 주기 쉽다는 점과 검색 서비스 제공자가 영향력이 상당하다는 점을 반영하여 보다 명확한 정의규정과 서비스 제공자의 책임 면제에 관한 규정을 신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 WARF 사건과 줄기세포 특허

        박인회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07 생명윤리정책연구 Vol.1 No.1

        It has been discussed for many years whether inventions in the fields of biotechnology are patentable or not, because human cannot create a life. Since human embryonic stem cell researches are involved with the parts of human body, there are much more issues of patentability.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has three major patents in the field of human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Recently, the patents have been challenged in the USA and Europe. The basis of challenge, however, are not same. In the United States, thess patents are at issue because their royalties are too expensive and these patents are obvious from prior arts. On the other hand, these inventions are not patentable because they are threatening “ordre public” or “morality”. The decisions and the logic of decision may cause another great controversy in both continents, that’s the reason why we should wait for the decisions.

      • KCI등재

        동일성 유지권의 비판적 고찰

        박인회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2018 法學論文集 Vol.42 No.2

        Formally under article 13 of the Copyright Act, the author has the right to maintain the identity of the content, form and title of his work, in other words, the author is entitled to prohibit damages caused by unauthorized alteration, deletion or modification by a third party, this right is called as the right to maintain the identity or the right of integrity. In regard to the identity to be maintained, it is generally considered that there is no damage to the identity of the existing work in the form of correction of the wrong part of the grammar. The scope of the right is defined by the identity of the title, and the changes within the scope considered to be inevitable in light of the nature of the work and the purpose and form of its use is allowed as general reason for the limitation of the right to maintain the identity. The problem that is mainly discussed with respect to the right to maintain identity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ight to maintain the identity and the right to make derivative works, the use of only a part of the work, the change or destruction of the tangible media of work. According to the Berne Convention or other countries' legislation, it is the integrity of the work, not the identity of the work, that is protected by the moral rights system. Only Japan and our country use the concept of sameness. If we amend Article 13, Paragraph 1 of our Copyright Act as "the author has the right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his work", these could be advantages that it can be judged as a normative element, and it is mor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moral rights, the possibility of inclusive of ‘the right of revisions and additions’, and the flexibility to cope with the requirements of 'Honor and Deity'. In addition to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integrity, it is necessary to amend Article 13 (1). In this revis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riteria for the private use exception should be presented, the justification of the parody and the linkage with the restriction of author's property rights. In order to maintain the original purpose of maintaining identity,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provisions on inalienability and duration of moral rights, as well. 형식적으로 이야기할 때 저작권법 제13조에 의하여 저작자가 자신의 저작물의 내용·형식 및 제호의 동일성을 유지할 권리를 가지게 되고, 이 권리를 동일성유지권이라 하면서, 실질적으로는 저작물을 원래 작품 그대로의 모습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저작자에게는 제3자에 의하여 무단으로 변경·삭제·개변이 되는 등으로 인하여 손상되는 것을 금지할 권리가 보장되고 이 권리가 동일성유지권이다. 유지의 대상이 되는 동일성에 대해서 일반적으로 기존 저작물을 원형 그대로 재제하는 것은 물론, 단순한 오자나 탈자를 정정한다거나 문법상 틀린 부분을 고치는 정도로는 동일성에 손상이 있다고 할 수 없다고 보면서, 저작물의 내용·형식·제호의 동일성으로 그 권리범위를 규정하고, 동일성유지권이 제한되는 일반적인 사유로 ‘저작물의 성질이나 그 이용의 목적 및 형태 등에 비추어 부득이하다고 인정되는 범위 안에서의 변경’을 들고 있다. 동일성유지권과 관련하여 주로 논의되는 문제는 동일성유지권과 2차적저작물작성권과의 관계, 저작물의 일부만을 이용하는 경우나 저작물이 화체된 유형물을 변경·파괴하는 경우 및 패러디의 경우에 동일성유지권을 침해하는지 문제 등이 있다. 베른협약이나 다른 국가들의 입법례를 보면 저작인격권 제도를 통하여 보호하고자 하는 것은 해당 저작물의 동일성이 아니라 작품의 완전성이고, 이를 동일성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은 우리나라와 일본만이다. 우리 저작권법 제13조 제1항의 조문을 “저작자는 그의 저작물의 내용·형식 및 제호의 동일성을 유지할 권리를 가진다.”에서 “저작자는 자신의 저작물의 완전성을 유지할 권리를 가진다.”라고 간명하게 개정하면 규범적 요소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는 점, 저작인격권 보호 취지에 더 적합하다는 점, 수정증감권까지 포섭할 수 있다는 점, ‘명예와 성망’ 요건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는 점 등 여러 가지 장점이 예상된다. 완전성 개념의 도입 이외에 동일성유지권 제한 규정에서 일반조항으로 사용되는 제13조 제1항 5호 규정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개정에 있어서 사적인 행위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여야 한다는 점, 패러디의 정당화 근거 제시와 저작재산권 제한 규정과의 연계 등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동일성유지권이 본래 취지를 유지하게 하기 위하여는 일신전속성에 대한 규정을 검토하여 일률적으로 규정할 것이 아니라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일부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존속기간 역시 다시 검토해볼 필요가 존재한다.

      • KCI등재후보

        스마트폰의 법적 문제에 관한 시론

        박인회 명지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명지법학 Vol.10 No.-

        Recently, more and more people buy a smartphone rather than a feature phone. Basically, a smartphone is a mobile phone with ability of processing data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oth features of phone-based communic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which a smartphone provides, make a confusion in the area of legal study. That’s why more study should be made. First, In the case of iPhone, unlocking and jailbreaking could be problems. Unlocking is making iPhone possible of using another wireless communication provider. Jailbreaking is making iPhone possible of using uncertified application by producer. These problems means not only that these could be out of warranty, but also that these could infringe copyrights of producer. but these are exempted of copyright infringement in general. A smartphone is distinguished clearly by its mobility from other kinds of data processing devices.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mobility of smartphone can be used most efficiently. In general,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person is accepted as a personal information. Without consent of the party, however, the coll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s illegal. Actually, many cases have arisen in the many countries. With a smartphone, many works can be made in any time and anywhere. but when cloud computing is made via smartphone, many problem could be arisen. If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ata process result and display information are transferred, it could be the infringement of copyright. This is a matter of interpretation of contract basically, but when the proper interpretation cannot be made, the interpretation should be made adequate for the purpose of copyright act. 국내 휴대전화 시장에서 스마트폰의 점유율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폰은 기본적으로 전화기능 이외에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여러 가지 편의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정보처리능력을 가진 단말기라고 할 수 있다. 기존의 휴대전화와 관련된 법제 에서는 정보처리능력이 고려되지 않고, 전기통신망과 관련된 법제에서는 휴대전화가 고려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이들이 융합되는 과정에서 이전에 예상하지 못한 문제 들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서 선제적으로 법학 분야에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우선 스마트폰 열풍을 주도한 아이폰의 경우, 제조사가 행한 잠금을 해제하는 과정, 그리고 제조사가 인증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탈옥 등이 문제될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은 단순히 제조사로부터 수리를 받을 수 없게 된다는 문제를 넘어, 저작권 침해의 문제가 제기될 수 있으나 실무적으로는 저작권을 침해 하지 않는 기술적 보호조치의 우회로 처리되고 있다. 스마트폰이 다른 정보처리장치에 비하여 크게 장점을 가지는 것이 그 휴대성이다. 어디든 쉽게 휴대할 수 있고, 이러한 휴대성은 위치정보와 결합되어 그 효과가 극 대화된다. 그러나 어느 개인이 어디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위치정보의 경우에 개인 정보로 인정되어, 당사자의 동의 없이 이를 수집하는 것은 불법이고, 이러한 동의 없는 위치정보 수집과 관련하여 각국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사무실이나 집에서만 일정 업무를 처리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스마트폰을 통하여 언제 어디에서든 원하는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의 전산처리능력 이 한정된 만큼 스마트폰을 통하여 컴퓨터와 같이 다른 정보처리장치에 접속하여 업무를 처리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접속된 컴퓨터의 정 보처리결과나 그 처리화면 등이 전산망을 통하여 스마트폰으로 전송되기 때문에 공 중송신과 관련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원칙적으로 계약의 해석으 로 해결할 문제이나, 해석만으로 처리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저작권법의 목적을 고려 하여 목적론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스마트폰의 급속한 보급과 비교할 때 이에 대한 법학적 연구는 그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자신의 영역에서 근본적인 개념 및 원칙을 되짚어 보는 것부터 시작 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디지털 시대에 있어서 저작권법상 복제개념의 재고찰

        박인회 전북대학교 부설법학연구소 2018 法學硏究 Vol.55 No.-

        복제권은 앤 여왕법 이래 저작권의 중심이 되는 권리로 존재하다. 그러나 복제권에는 저 작권의 다른 권리들과는 달리 사소한 침해 등에 있어서 적용할 수 있는 다른 고려요소가 존재 하지 않아 복제행위가 이루어지면 정당화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한 바로 복제권의 침해가 인정 되게 된다. 저작권자의 지나친 보호를 막기 위하여 또는 다양화된 저작물 이용형태에 적용하기 위하여 복제 개념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복제권은 다양한 국가의 입법례나 국제조약에 저작권자의 배타적인 권리로 규정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1986년 개정에서 복제에 대한 정의규정이 처음 입법되어 이후 개정에서 ‘유형물에 고정’이라는 요소와 ‘일시적 또는 구적으로’라는 요소가 추가되었다. 일시적 저장의 경우 복제의 정의규정에 ‘구적 또는 일시적으로’이라는 문구를 삽입하여 모든 논쟁을 해결한 것으로 보지만, 기존 논의가 집중된 RAM에 이루어지는 일시적 저장 외 에도 다양한 형태의 일시적 저장이 존재하고, 기존의 논의가 이런 다양한 일시적 저장을 모두 포섭할 수 있는지는 불분명하다. 기존에는 모든 일시적 저장을 복제가 아니라고 하고, 개정 이후에는 모든 일시적 저장을 복제라고 이해하고 있지만, 이렇게 일시적 저장에 관하여 일의적 으로 논의를 진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아 보인다. 미국이나 일본에서 보는 것처럼 지나치게 짧은 시간 존재하는 경우에는 일시적 저장이 복제가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는 근거규정을 신설 하여 복제 자체의 성립을 부정한다거나 하는 등 일시적 저장에 관한 전반적인 논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복제로 인정되는 일시적 저작의 경우에도 이를 정당한 복제로 정당화할 수 있는 근거규정 및 고려요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현행 저작권법상 복제의 정의규정에는 복제의 개념요소로 ‘유형물에의 고정’과 ‘유형물로 다시 제작’이라는 요소가 존재한다. 이러한 요소만으로 현재의 다양한 형태의 저작물 이용형 태에 있어서 복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지는 않는다. 즉 모든 유형물이 복제에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저작물과 동일하거나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형태로 유형물에 고정하거 나 동일하거나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형태로 유형물로 다시 제작하는 경우에만 복제로 인정할 수 있고, 동일하거나 동일하다고 판단하는 기준으로는 미국 저작권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인 간의 인지’를 새로 개념요소로 부가할 필요가 있다. 이외에도 복제와 이차적 저작물 작성에 있어서 ‘새로운 창작성의 부가’와 창작과의 관계, ‘복사된 창작성 있는 표현의 양’ 등 여러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판단기준을 복제의 정 의규정에 도입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도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더 나아가 다양하게 이루어지 는 현대 예술에서 타인의 창작을 ‘부정사용’하는 경우에 이를 ‘복제권’ 침해로 판단하기 위해 서는 지금까지의 기준 외에도 새로운 판단 기준이 요구될 것이다. The right to reproduce has existed as a main right of copyright since Statute of Anne. However, there are no other considerations that can be applied in the case of minor infringement, unlike other rights of copyright, so that the infringement of the right of reproduction is recognized as long as the act of copying does not fall under the ground of justification. In order to prevent excessive protection of copyright holders or to apply them to diversified forms of copyrighted works,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concept of reproduction. The right to reproduce is defined as the exclusive rights of copyright holders in various countries' legislation or international treaties. In the case of Korea, the definition of copying was first enacted in the 1986 revision, and the elements of “fixed to tangible media” and “temporarily or permanently” were added in the revisions. In the case of temporary copy, it seems to have solved all the controversies by inserting the phrase ‘permanently or temporarily’ in the definition of replication. However, in addition to the temporary copy of RAM in the existing discussion, there are various types of temporary copy, It is unclear whether or not this can accommodate all these various temporary copies. In the past, all temporary copy are not reproduction, and after the revision, it is understood that all temporary storage is reproduction. However, it seems unfavorable to discuss the temporary storage in this way. If there is a short period of time, as in the United States or Japan, there is a need for an overall discussion of temporary copy, such as the creation of a basis for judging that temporary copy is not reproduction, denying the establishment of reproduction itself.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ground rules and consideration factors that can legitimate reproduction of temporary works recognized as copying. In the definition of reproduction under the existing copyright law, there are elements such as ‘fixed to tangible media’ and ‘reproduced as tangible media’ as conceptual elements of reproduction. These factors alone do not appear to solve the problem of reproduction in the present various forms of copyrighted works. In other words, not all tangible objects are copies, but they can be recognized as reproduced only if they are fixed to tangible objects in the form that they are considered to be the same or identical to the works, As a criterion to judge, it is necessary to add ‘human perception’ proposed by US copyright law as a new concept factor.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reproduction and the secondary works, whether to incorporate the judgment criteria which can be useful in various cases such as ‘the addition of new creativity’ and creation, or ‘the amount of creative expressions copied’. Furthermore, in order to judge the infringement of ‘right of reproduction’ in the case of ‘misappropriation’ of the creation of others in various contemporary arts, new criteria will be needed in addition to the previous criteria.

      • 생명윤리기본법의 내용과 효력

        박인회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08 생명윤리정책연구 Vol.2 No.1

        To make legal system more efficient, it should be ruled about bioethics issues by a general act which regulates general principles and control system and specific acts which which regulate specific issues with specific provisions. Bioethics general act has 16 articles which includes general provisions, basic principles, National bioethics committee, bioethics review board and principle provisions. In the part of general provisions, there are provisions about purpose, definitions, scope of application, responsibilities. In the part of basic principles, there are provisions about respect for man's life and dignity, guarantee of autonomy,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consideration of public welfare and safety, special protection of vulnerable persons and groups, consideration of future generation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the part of National bioethics committee and bioehics review board, there are provisions which correct some flaws of existing “Bioethics and Safety Act” and clarify their rolls. In the part of principle provisions, there are provisions about respect for man's life and dignity, protection of human species, informed consent, protection of privacy, security of safety, ELSI(ethics, legal, social implications), public dialogue and education.

      • KCI등재후보

        유전자 정보과 그 정보의 공공적 운용

        박인회 명지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명지법학 Vol.8 No.-

        Open source software is s software distributed with its original source code, anyone can modify it, and redistribute it without the permission of original author. The research of big biotechnology projects with public funds, like Human Genome Project or International Hapmap project, needs to be shared publicly without any limitation. To make sure this purpose, they adopted the open source model. This share of research result, however, make it possible for some people or some commercial entity to acquire so-called "parasitic patent". Because the software is protected by copyright law and most of biotechnology researches are protected by patent law, some mismatches are unavoidable. But, open source model is still useful to some points, people want to adopt it. To avoid the parasitic patent, new approaches of open source model(The Equitable Access License, CAMBIA License, etc.) were made, and are being tested about their effectiveness. We should bear in mind that intellectual property law is not only for authors or inventors, but also for society and community. 인간게놈 프로젝트나 햅맵 프로젝트와 같이 그 규모가 큰 생명공학 연구 프로 젝트는 항상 공공자금이 투입된다. 따라서 항상 그 연구결과를 보다 많은 사람들 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연구결과 그 자체만큼이나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종종 “오픈 소스 모델”을 사용하여 그 결과를 공유하고자 하는데, 이 방식은 소프 트웨어에 대한 저작권적 보호에서 시작된만큼, 생명공학 연구 결과에 대한 특허권 적 보호에 이용하기에는 문제점이 없지 않고, 그 대표적인 예가 일부 회사의 ‘기 생 특허’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폐해를 극복하기 위하여 일부 수정된 모델(Equitable Access License, CAMBIA License)들이 시험 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모델들을 통하여 공공 연구 결과의 공공의 향유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유전자 편집기술인 CRISPR-Cas9의 특허 가능성

        박인회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8 법학논고 Vol.0 No.62

        The CRISPR-Cas9 genetic editing technology, which is considered to be innovative, has been developed in the process of researching the technology of editing the DNA of living organisms at will and applying these techniques to biotechnology research to achieve research results. The economic value of this technology is significant, so it is crucial that this technology be patentable. In order to be protected by a patent, a technology developed once must be an invention. The judgment of whether or not the invention is applicable is different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Korea is judged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invention, whereas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it is judged that it is subject matters of patent law. In the case of CRISPR-Cas9 gene editing technology, there will be no problem to be recognized as an invention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Next, if the CRISPR-Cas9 gene editing technology falls under the medical act itself for human beings, the possibility of industrial use is denied. However, although it may be used as a medical act for human beings, if the claims are limited to medical activities for non-human animals, the possibility of industrial use will be recognized. It is not difficult to judge that the CRISPR-Cas9 gene editing technology has novelty and inventiveness in comparison with the existing gene editing technology in the judgment of novelty and inventive step which is another patent requirement. However, in the course of the development of the CRISPR-Cas9 gene editing technology, a patent dispute is underway over the question of whether the later technology is more advanced than the previous technology, and the result should be closely monitored. Much controversial in patentability is when the CRISPR-Cas9 gene editing technology is used to modify human genes. In this case, it is not desirable to tell uniformly whether or not it violates the public morals, and it is necessary to set the standards globally considering the power of human genes when they are manipulated at will. 생명체의 DNA를 자신의 뜻대로 편집하는 기술을 연구하고, 생명공학 연구에 이러한 기술을 적용하여 연구성과를 이루어내는 과정에서, 혁신적이라 평가받는 CRISPR-Cas9 유전자 편집기술이 개발되었다. 이 기술의 경제적 가치가 상당하기 때문에 이 기술이 특허권으로 보호받을 수 있는지 여부는 상당히 중요하다. 특허로 보호되기 위해서는 일단 크리스퍼-Cas9 기술이 발명에 해당하여야 한다. 발명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은 우리나라와 미국이 다르다. 우리나라는 발명의 정의규정에 따라 판단함에 비해 미국의 경우에는 특허법상 보호 적격성을 기준으로 판단하는데 비하여, 우리나라는 발명의 정의규정에 따른 발명의 성립요건을 만족하는지에 따라서 판단한다. 판결이나 학설에 따를 때, 크리스퍼-Cas9 기술의 경우, 우리나라와 미국에서 발명으로 인정되기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판단에서 크리스퍼-Cas9 기술이 인간에 대한 의료행위로 사용된다면 조약, 학설, 판례 등에 의하여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부정될 것이다. 그러나 크리스퍼-Cas9 기술이 식물의 품종 개량에 사용되거나 또는 인간이 아닌 동물 등에 대한 치료행위로 제한하여 청구범위를 작성한다면 이에 대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인정될 것이다. 또 다른 특허 요건인 신규성, 진보성 판단에 있어서는 기존 유전자 편집기술과 비교할 때 크리스퍼-Cas9 기술이 신규성, 진보성을 갖는다고 판단하기는 어렵지 않다. 다만 크리스퍼-Cas9 기술의 발달과정에서 서로 다른 연구팀들 사이에 이전 기술에 비해 이후 기술이 진보적이냐는 질문을 둘러싸고 현재 특허분쟁이 진행 중이고 이의 결과를 예의 주시할 필요가 있다. 특허가능성 여부에서 논의의 필요성이 많은 부분이 크리스퍼-Cas9 기술이 불특허사유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것이다. 문제가 발생한 염기서열은 해당 개체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후대에 유전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위험이 존재하기 때문에 크리스퍼-Cas9 기술이 ‘공중의 위생을 해칠 우려’가 있는지는 신중하게 판단하여야 한다. 또한 크리스퍼-Cas9 기술이 인간의 유전자 치료에 이용될 때에는 생명윤리법의 적용을 받게 되고, 그 결과 공서양속 위반여부가 문제될 수 있다. 특허권 부여의 기준으로서 공서양속에 반하는지 여부만을 논의할 것이 아니라, 더 나아가 크리스퍼-Cas9 기술이 식물이나 동물의 유전자를 조작하는 것 이외에도 인간 유전자를 조작하는 경우에 그 파급력을 고려하여 세계적으로 산업계나 학계, 그 외의 다양한 영역에 있는 모두가 함께 그 기준들을 마련해가는 것이 필요하다.

      • 소프트웨어 스트리밍 서비스와 관련된 저작권적 문제에 관한 연구

        박인회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07 Law & technology Vol.3 No.6

        소프트웨어 스트리밍 서비스라는 것은, 컴퓨터프로그램을 특정 컴퓨터에 설치한 후에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려고 할 때마다, 이의 실행에 필요한 파일들을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아서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이 프로그램을 종료하면 다운로드받았던 파일들 전부 혹은 대부분을 해당 컴퓨터에서 삭제하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할 때, 전형적으로는 패키지 형태로 판매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경우 해당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컴퓨터마다 하나씩의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여야 하나,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하여 학교 전체에서 구매한 컴퓨터 프로그램 수량을 넘지 않게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의 동시사용을 제한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구매하여야 할 컴퓨터 프로그램의 총 수량이 줄어드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고, 이런 이유로 컴퓨터프로그램 제작사와 소프트웨어 스트리밍 서비스제공업자 간에 분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분쟁의 해결을 위하여 우선 패키지로 판매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라이선스를 해석하여 이러한 라이선스 하에서 소프트웨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아서, 소프트웨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라이선스라면, 이러한 라이선스 하에서는 저작권 침해 여부를 따로 판단할 필요가 없다. 그렇지 않은 경우 소프트웨어 스트리밍 방식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것이 저작권을 침해하는지에 대해서 개별 저작권별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개별 저작권별로 판단할 때, 일정 범위로 제한된 소프트웨어 스트리밍 서비스는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는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경우, 일반 저작물과 달리 그 특성을 고려한 판단을 해야 될 필요가 있고, 컴퓨터 프로그램 라이선스 또한 일반 계약과 달리 판단해야 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그 사용에 있어서 제한적으로 소프트웨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은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으며, 이러한 판단에 있어서 쉬링크랩 라이선스의 특수성 및 컴퓨터 프로그램의 특수성을 고려한 판단을 해야만, 급속하게 발달하는 IT기술에 저작권법이 발맞추어 적용될 수 있다. Software streaming service is the network service from which a user can get certain files streamed from a server and use them without installation, and in which a server transfers only necessary elements of the software leaving some of files unable to be executed by themselves on a user’s personal computer. This service causes some copyright issues especially when it is used without permission of a copyright holder. To begin with, we see that some clauses of shirnkwrap license which are provided by the program copyright holders can be read as they permit users to use the programs through software streaming. This study analyzes whether or not the part where shrinkwrap license does not allow users to do so is within the boundary of the copyright holder’s exclusive rights in which the copyright holder has a right to permit the usage of service, and whether or not it infringes the corresponding copyright. We argue that the right of reproduction is not infringed by the use of the software through software streaming based on the following aspects: users usually maintain the install image files on the server for the purpose of preservation, temporary copy of software on RAM is not different from usual usage, and copy of the cache files is not meant for the substantial copy of software.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the right of communication to the public which requires“ to the public”as a key fact is not infringed in this case either in several aspects: only specified users make use of this service, the number of user are not big, they use this service only in the limited places, and they are connected among themselves. In addition, when software streaming is used simply as a mean in order to transfer computer programs, and receivers own the right to use the programs, it cannot be seen as an infringement of the right of communication to the public. We find that illegal reverse engineering is not committed as well because this service does not attempt to acquire the source code of software at issue, and even if it does, this activity can be taken into account of as a necessary process for interoperability. Software streaming service can be seen neither as an infringement of the right of integrity. It does not alter software at issue substantially, and even if it does, the copyright law allows this change as an exception. Since software has a number of distinctive dissimilarities from other subjects of copyright, we need present different legal standards for the use of software especially in interpreting license and copyright related to it. These standards should be aimed at maximization of social welfare through protecting copyright holders and promoting fair use of 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