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각장애 노인의 장애등급에 따른 일상생활 연구

        문종훈(Moon, Jong-Hoon),박인혜(Bak, In-Hye)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19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1 No.2

        목적 : 본 연구는 시각장애가 있는 노인의 장애수준과 일상생활의 사이의 연관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7년 장애인 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장애인 실태조사에 참여한 총 6,549명 중 시각장애가 있는 노인 344명이 현재 분석에 포함되었다. 일반적 특성은 나이, 성별, 가구소득, 최종 학력, 장애등급, 시력인지 여부, 점자해독 여부, 장애발생시기였고 일상생활 능력은 기본적 일상생활 12개 영역과 수단적 일상생활 8개 영역으로 평가되었다. 통계분석은 피어슨 상관분석,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 다중회귀분석 결과, 시각장애가 있는 노인의 장애등급이 높을수록 여성이며, 나이가 많았고 기본적 일상생활에서는 식사하기, 이동, 수단적 일상생활에서는 식사준비에 대한 도움이 필요하였다(R2=.507, p<.01). 결론 : 시각장애가 있는 노인의 장애등급이 높아짐에 따라 특정 일상생활 영역의 향상을 위한 지역사회 작업치료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level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in elderly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Methods : Present study used raw data of 2017 National Survey of the Disabled Persons. Among the total of 6,549 subjects, 344 elderly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set as age, gender, family income, educational level, and disability grade, awareness of vision, braille understanding, time point of presence of disability. The ADL was evaluated as 12 areas of basic activities of daily living(B-ADL) and 10 areas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In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higher disability grade of the elderly with visual impairment was female, and the age was increased. In the B-ADL and I-ADL required help for feeding, transfer and preparing meals(R2=.507, p<.01). Conclusion : As the disability grade of the elderly with visual impairment increases, development of commun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programs for improvements are needed in specific ADL areas.

      •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CoTras)이 뇌손상환자의 인지, 시지각,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박소원 ( So Won Park ),박인혜 ( In Hye Bak ),유수전 ( Su Jeun You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13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7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뇌손상환자에게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CoTras)을 적용한 후 인지, 시지각,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30명의 뇌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CoTras)과 전통적 인지 작업치료를 8주간 실시하고 변화를 비교하였다. 치료 중재 후 인지 변화량은 MMSE-K와 LOTCA로 측정하였고, 시지각은 MVPT, 일상생활활동은 FIM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CoTras)을 실시한 그룹(실험군)은 전통적 인지 작업치료 중재 그룹(대조군)보다 인지(MMSE-K, LOTCA)에서 유의미한 개선을 보였으며, 시지각(MVPT)과 ADL(FIM)의 점수에서도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좀 더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CoTras) 그룹은 시각구별, 시각 폐쇄, 공간관계에서 긍정적인 향상을 나타내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인지, 시지각, 일상생활활동의 향상을 위한 치료방법으로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CoTras)이 작업치료 임상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것이며 앞으로 좀 더 다양한 환자에게 다양한 프로그램이 적용될 것이 필요하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a Korean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called CoTras) for recovering the cognitive and visual perception and ADL ability in acquired brain injury. Method : 30 Acquired Brain Injury were randomly assigned to CoTras program (intervention group) or general rehabilitation therapy program(control group). Parameter for cognition, visual perception and ADL were measured before and 8 week after intervention and the change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 MMSE-K, LOTCA were used to measure cognition, MVPT for visual perception, and FIM for ADL. Result : CoTras Group improved significantly compared to Control Group Cognition(MMSE-K, LOTCA), Visual perception and ADL scores after CoTras interventions were higher than it`s interventions. Specially, CoTras Group showed positive effects on visual discrimination, visual closure and spatial relation. Conclusion :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verify the effect on various group and lots of participants.

      • KCI등재

        뇌졸중 환자를 돌보는 중·고령층 여성 간병인의 신체통증 영향 요인

        문종훈(Moon Jong-Hoon),박인혜(Bak In-Hye)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19 재활치료과학 Vol.8 No.1

        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돌보는 중·고령층 여성 간병인의 신체통증 영향 요인을 탐색하고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대구 및 경북 지역에 위치한 병원 5곳에서 뇌졸중 환자 75명과 이들을 간병하는 중·고령층 여성 간병인 75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측정은 뇌졸중환자의 일반적 특성, 인지기능, 상지기능, 일상생활능력을 평가하였고, 간병인은 일반적 특성과 신체통증이 평가되었다. 신체통증 영향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였고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피어슨 상관분석(Pearson correlation analysis)을 이용하였다. 결과: 중·고령층 여성 간병인의 신체통증 영향 요인은 현재 자신이 돌보고 있는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능력(β=-.489, p<.001)과 간병경력(β=-.309, p=.003)으로 나타났다(R2=.276). 상관분석결과,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능력, 상지기능, 인지기능은 유의한 연관성을 나타냈다(r=.434~.751, p<.001).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중·고령층 여성 간병인의 신체통증 감소를 위해 현재 자신이 돌보는 뇌졸중 환자의 기능수준과 간병경력이 중요한 변수임을 증명한다.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bodily pain in women in their middle to older age who are caregivers of stroke patients. Methods: This study selected 75 stroke inpatients and 75 female caregivers in their middle to older age from five hospitals in Daegu and Gyeongbuk. Measurements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cognitive function, upper limb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stroke patient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and bodily pain for the care givers. We use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bodily pain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o confirmthe correlation. Results: The factors affecting bodily pain in women in their middle to older age caregivers were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β=-.489, p<.001) and caregiver duration(β=-.309, p=.003)(R2=0.276).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upper limb function, and cognitive function of stroke patient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r=.434~.751, p<.001).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the functional level of stroke patients being cared for and the caregiver duration are important variables for reducing bodily pain in women in their middle to older age.

      • KCI등재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자가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일상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문종훈(Jong-Hoon Moon),박인혜(In-Hye Bak) 한국전자통신학회 2017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2 No.3

        본 연구는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자가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일상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고자 하였다. 본 실험을 위해 뇌졸중 환자 30명이 참여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15명씩 무작위로 할당되었다. 두 군은 모두 하루 30분, 주 5회, 4주간 보편적인 재활치료를 동일하게 받았다. 실험군은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자가운동을 사용한 자가운동을 30분 추가로 수행하였다. 대조군은 애플리케이션 없이 자가운동을 수행하였다. 결과측정은 중재 전과 후에 젭슨 손기능 검사, Fugl-Meyer 평가, 수정바델지수를 평가하였으며, 중재 후 시각만족도척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두 군은 중재 전과 후에 모든측정평가에서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p<.05). 두 군 간 변화량 비교에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젭슨 손기능 검사에서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p<.05). 중재 후, 시각만족척도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p<.05). 본 연구의 결과는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자가운동은 기존의 자가운동보다 뇌졸중 환자의 손기능과 만족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시사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effect of self-exercise based on health care application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daily living, satisfaction in patients with stroke. This experiments were participated in thirty patients with stroke. All subjects allocated that randomized each fifteen patients i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ubjects of both group received the conventional rehabilitation therapy during 30 min/day, 5 for week, for 4 weeks. Additionally,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that self-exercise based on health care application, supervised under caregivers, during 30 min/day. Additionally, control group conducted only self-exercise supervised under caregivers, during 30 min/day. The outcome measures were the JHFT(: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FMA(: Fugl-Meyer Assessment), K-MBI(: Korean Modified Barthel Index), VASS(: Visual Analog Satisfaction Scale). In results of study. Two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after intervention in all tests(p<.05). In comparison of change score between both group, experimental group showed greater significant improvements than control group in JHFT(p<.05).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 higher than control group in VASS(p<.05). We suggested that self-exercise based on health care application can have a positive effects of the improvements of hand function and satisfaction than usual self-exercise in patients with stroke.

      • KCI등재후보

        미술치료 기반의 목적있는 활동이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손 기능, 일상생활, 우울, 재활동기에 미치는 효과: 예비연구

        문종훈(Jong-Hoon Moon),박주영(Joo-Young Park),김영실(Young-Sil Kim),박인혜(In-Hye Bak)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2018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Vol.10 No.1

        목적: 본 연구는 미술치료 기반의 목적있는 활동이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손 기능, 일상생활, 우울, 그리고 재활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6명의 급성기 뇌졸중 환자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모든 환자는 실험군 8명과 대조군 8명으로 무작위 할당되었다. 실험군은 미술치료 기반의 목적있는 활동을 받았으며, 대조군은 보통의 케어를 받았다. 모든 환자는 8주 동안, 주 3회, 하루 30분의 중재를 받았다. 측정은 손 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Jebsen-Tylor 손 기능 검사, 일상생활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정된 바델 지수, 우울을 측정하기 위하여 우울척도 검사, 재활동기를 측정하기 위하여 의지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결과: 실험군은 중재 후 모든 평가에서 유의한 향상을 나타냈다. 대조군은 의지 설문지를 제외한 Jebsen-Tylor 손 기능 검사, 수정된 바델 지수, 우울척도 검사에서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우울척도검사와 의지 설문지에서 유의하게 더 높은 향상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미술치료 기반의 목적있는 활동이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우울과 재활동기의 개선에 긍정적인 중재방법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pilo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 therapy-based purposeful activities on hand function, daily living, depression levels, and volition level of patients with acute stroke. Methods: Sixteen acute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patients were assigned randomly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n=8) or control group (n=8).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purposeful activities based on art therapy, and the control group received the normal care. All patients received the care 30 minutes a day, 3 times a week, for a total of 8 weeks. The hand function, daily living and depression level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hand function was measured using Jebsen-Tylor Hand Function Test (JTHFT), the daily living through the Modified Barthel Index (MBI), the depression levels through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the volition levels through the Volitional Questionnaire (VQ).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ll measurements after the intervention. The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JTHFT, BDI and VQ.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s in the BDI and VQ after intervention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art therapy-based purposeful activities may have a positive influence in the improvement of depression levels and volition for rehabilitation in acute stroke patients.

      • KCI등재

        뇌졸중 환자의 구강 입체인지지각 능력 연구

        문종훈(Jong Hoon Moon),박주영(Joo Young Park),김영실(Young Sil Kim),박인혜(In Hye Bak),허성진(Sung Jin Heo)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2017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Vol.9 No.1

        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 입체인지지각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 구강 입체인지지각 능력과 인지기능 사이에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 84명의 뇌졸중 환자가 참여하였다. 구강 입체인지지각 검사(Oral Stereognostic Test; OST)는 입 안에 각기 다른 도형 20개를 넣고 구분하였다. 구강 입체인지지각 검사는 구강 입체인지지각 총점과 검사 동안 응답에 대한 반응속도(Respone Time; RT)를 확인하였다. 간이 정신상태 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로 인지기능을 확인하였다. 모든 측정은 임상경력 3년 이상의 작업치료사가 수행하였다. 결과: 실험 후, 흡인과 같은 부작용은 발생하지 않았다. 뇌졸중 환자의 성별, 마비측, 뇌졸중 유형에 따른 구강 입체인지지각 총점, 반응시간, 인지기능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손상위치에 따른 인지기능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천막상 뇌졸중 환자는 천막하 뇌졸중 환자보다 인지기능에서 유의하게 더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구강 입체인지지각 총점과 인지기능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구강 입체인지지각과 인지기능이 상관이 있으므로 임상에서 이를 고려한 훈련을 실시해야 함을 의미한다. 또한 뇌졸중 환자의 구강 입체인지지각에 대한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oral stereognosi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roke patients and the correlation relationship between oral stereognosis and cognitive function. Eighty four stroke patients hav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Oral Stereognostic Test (OST) was to tell between 20 different pieces placed in the mouth. OST test was measured in two ways: One is OST total score and the other is the response time (RT) of the test. MMSE was used to identify the cognitive function. Occupational therapists who had over three years of clinical career conducted all measurements. After the experiment, there was no adverse event such as aspiration. No difference was found in OST, RT, and MMSE by sex, hemiplegia side, and stroke type in stroke patients (p>.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MSE according to the lesion site; the patients with supratentorial strokes show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on MMSE than those with infratentorial strokes (p<.05). OST and MMS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p<.05).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one should consider this when conducting clinical training because oral stereognosis and cognitive function are each correlated. It may also be useful as a neuroanatomical basis for oral stereognosis in stroke patients.

      • KCI등재후보

        자석 블럭을 이용한 시지각 및 눈-손 협응 훈련 개발: 표준화 및 만족도 예비연구

        문종훈(Jong-Hoon Moon),강소라(So-La Kang),김영실(Young-Sil Kim),최지용(Ji-Yong Choi),박인혜(In-Hye Bak)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2019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Vol.11 No.1

        This pilot study seeks to standardize the visual perception and eye-hand coordination training using magnet blocks and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of brain injury patients and occupational therapists. Sixty-one healthy adul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o standardize the visual perception and eye-hand coordination training using magnet blocks. To measure the satisfaction for both the magnet block training and pencil-paper training, ten occupational therapists and fifteen brain injury patients participated. The study used a numerical rating measurement to measure satisfaction. For the standardization, the study divided participants into two groups: adult aged 20~39 and aged 40~64. The study then measured the time for using both hands, dominant hand, and non-dominant hand. The result of comparing the rate satisfaction felt by occupational therapists and brain injury patients from two types of training using pencil-paper and magnet block respectively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p>.05). The visual perception and eye-hand coordination training using the magnet block showed the same result with the training using pencil and paper in terms of satisfaction.

      • 뇌졸중 노인 환자의 치료 접근법에 관한 문헌고찰

        박인혜,김환,권혁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2 再活科學硏究 Vol.30 No.1

        인간의 수명연장과 고령화 사회로 진입에 따라 노인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다양한 노인성 질환이 발생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 중 뇌졸중은 운동기능장애, 인지 및 지각장애, 감각장애, 언어장애를 동반하게 되고 기본적인 일상생활활동을 타인에게 의존해야함에 따라 자존감 상실과 우울증으로 환자의 삶의 질이 저하시킬 수 있다. 그로인해 뇌졸중환자들은 좁게는 환자 자신이나 그 가족에게는 재정적 부담과 가족 기능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넓게는 국민 보건이라는 측면에서 생각해 볼 때 뇌졸중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실로 막대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애를 가지고 살아가야 하는 뇌졸중 노인환자는 효율적인 치료와 관리가 매우 중요하지만 현재 국내에는 뇌졸중 노인에 대한 전반적 치료접근법 고찰은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문헌연구를 통하여 뇌졸중 노인 환자의 다양한 치료 접근법과 그에 따른 치료 프로그램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Life extention and entering into aging society is causing increase in elderly population and various senile diseases. Stroke, among these diseases, is accompanied by motor disorder, cognition and perception disorder, sensory deficits and speech disorder. In addition, a patient needs to depend on other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which is why patient’s quality of life can decline as one experiences loss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Therefore, patients with stroke give financial burden and influence family function for themselves and family members in a narrow sense while they have a huge impact on national health in a broad sense. Although it is important for elderly stroke patients to receive proper medical treatment and management as they have to carry these disabilities, there is insufficient consideration on treatment approach in general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looks into various treatment approaches and treatment programs for elderly stroke patients through document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