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도시종합정보에 관한 연구

        박인규,In-Kyoo Park 배재대학교 공학연구소 2004 공학논문집 Vol.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high-tech information-oriented city which will have a good public welfare system and will have safe city life through realization of environment-friendly society and harmonizing culture with information which makes it possible for anyone to get information easily at anytime and anywhere. This study deals with conceptualizing for and constituents of urban information system. It deals also with gathering contents and suggesting the contents program : The indication of building the plural information contents offering efficient and visual information by means of all kinds of method such as mobile, kiosk, screen, and car navigation are examined. 도시종합정보시스템구축의 목적은 언제, 어디서나, 누구라도, 원하는 정보를 쉽게 입수 가능한 정보환경을 구축하여 도시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문화와 정보가 어우러지는 친환경사회의 구현과 도시 안전성을 제고하는 미래지향적인 최첨단의 정보화도시를 창출하는데 있다. 주된 연구내용으로는 도시종합정보시스템의 개념정립과 구성요소, 그리고 도시종합정보시스템의 구축계획에 대해서 현재의 콘텐츠를 살펴보고 매체별 특징에 맞는 시스템구축계획을 논의 하였다.

      • SCOPUSKCI등재

        두경부종양 환자에서 경부 방사선조사가 갑상선기능에 미치는 영향 -75예의 전향적 분석-

        박인규,김상보,윤상모,박준식,전수한,김보완,Park In Kyu,Kim Sang Bo,Yun Sang Mo,Park Jun Sik,Jun Su Han,Kim Bo Wan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4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2 No.1

        1986년 9월부터 1992년 10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방사선치료 단독요법이나 수술 흑은 화학요법과의 병합요법으로 치료받은 두경부종양 환자 75명을 대상으로 경부 방사선조사가 갑상선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전향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모든 환자는 방사선치료전 및 방사선치료후에 정기적으로 임상검사 및 갑상선 기능검사를 시행하였다. 갑상선조사선량은 35Gy에서 60Gy였고 그 중앙값은 50Gy였으며 추적관찰기간은 11개월에서 85개월로 중앙추적기간은 30개월 이었다. 결과를 보면 갑상선 기능이상의 빈도는 40$ \% $(30명)이었다. 45명(60$ \% $)은 갑상선 기능이 정상이었으며 2명(3$ \% $)은 임상적 갑상선 기능저하증 이었고 27명(36$ \% $)은 준임상적 갑상선 기능저하증 이었다. 갑상선 기능항진증이 1명(1$ \% $)에서 발견되었으며 갑상선 결절이나 악성종양은 발견되지 알았다. 수술 및 방사선치료군에서 갑상선 기능이상이 다른 치료군에서보다 일찍 발생하였다(p=0.0013). 다변량분석에 따르면 방사선치료후 갑상선 기능이상의 발생빈도에 영향을 주는 위험인자는 여성(p=0.0293) 및 전후두절제술과 방사선치료의 병합요법(p=0.0045)였다. 결론적으로 방사선치료후 정확한 시기에 갑상선 기능이상을 발견하기 위하여 방사선 치료전 및 방사선 치료후에 정기적인 갑상선 기능검사가 필요하며 갑상선 기능이상이 발견되면 즉시 갑상선 호르몬제재 치료를 하여야 하겠다. Seventy-five patients with tumors of the head and neck treated with either radiation therapy alone or combined with surgery or chemotherapy were studied prospectively to evaluate the effects of radiation therapy to the neck on thyroid gland between September 1986 and October 1992. All patients were serially monitored for thyroid function tests before and after radiation therapy. Radiation dose to the thyroid gland ranged from 35 to 60 Gy with a median dose of 50 Gy. Median follow-up time was 30 months with a range of 11 to 85 months. The incidence of thyroid dysfunction was 40$ \% $: forty-five patients(60$ \% $) euthyroid, 2 patients(3$ \% $) clinical hypothyroidism, 27 patients(36$ \% $) subclinical hypothyroidism and 1 patient(1$ \% $) hyperthyroidism. No thyroid nodules or thyroid cancer were detected in any patients. Thyroid dysfunction appeared earlier in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than in those patients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alone or combination of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P=0.0013). By multivariate analysis, risk factor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a higher incidence of thyroid dysfunction were female sex(p=0.0293) and combination of total laryngectomy and radiation therapy(p : 0.0045). In conclusion, evaluation of thyroid function before and after radiation therapy with periodic thyroid function tests are recommended to detect thyroid dysfunction in time and thyroid hormone replacement therapy is recommended whenever thyroid dysfunction develops.

      • SCOPUSKCI등재

        두경부암 환자에서 수술 및 방사선치료 후 갑상선 기능 저하

        박인규,김재철,Park, In-Kyu,Kim, Jae-Cheol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7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5 No.3

        목적 : 두경부암 환자에서 수술 및 수술 후 방사선치료가 갑상선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6년 9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두경부암 환자 중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7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연령분포는 32세부터 73세였고, 중간값은 58세였으며, 여자 12예, 남자 59예였다. 원발 병소부위는 후두가 34예로 가장 많았고, 구강 12예, 구인두 1예, 하인두 13예, 상악동 2예, 타액선 3예, 근원 불명 전이성 경부암 6예였다. 전후두절 제술 및 경부곽청수술을 시행한 환자는 45예였고, 경부곽청수술만 시행한 환자는 26예였다. 모든 환자에 대하여 방사선치료 전 및 방사선치료 후에 정기적으로 임상검사 및 갑상선 기능검사 (T3, T4, free T4, TSH, antithyroglovulin antibody, antimicrosomal antibody)를 시행하였다. 방사선량은 40.6Gy에서 60Gy였고 중간값은 50Gy였으며 추적관찰 기간은 3개월에서 80개월이었다. 결과 : 갑상선 기능 이상의 빈도는 $56.3\%(40/71)$였다. 31예 $(43.7\%)$는 갑상선 기능이 정상이었고 7예 $(9.9\%)$는 임상적 갑상선 기능저하증이었으며 33예 $(46.5\%)$는 준임상적 갑상선 기능저하증이었다. 갑상선 기능항진증, 갑상선 결절, 악성종양은 발견되지 않았다. 경부곽청수술군보다 전후두절제술 및 경부곽청수술군에서 갑상선 기능 이상이 일찍 발생하였다(p<0.05). 방사선치료 후 갑상선 기능 이상의 발생 빈도에 영향을 준 위험인자는 전후두절제술 및 경부곽청수술과 방사선치료의 병용요법 (P=0.0000)이었다. 전후두절제술 및 경부곽청수술군 45예 중 36예 $(80\%)$에서 갑상선 기능 이상이 발생하였으며 경부곽청수술군 26예 중 4예 $(15.4\%)$에서만이 갑상선 기능이상이 발생하였다. 결론 : 두경부암 환자에서 수술 및 방사선치료 후 갑상선 기능 이상은 비교적 흔한 합병증이며, 갑상선 기능 이상의 발생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전후두절제술 및 경부곽청수술과 방사선치료의 병용요법이었다. 갑상선 기능 이상을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기 위하여 방사선치료 전 및 방사선치료 후에 정기적인 갑상선 기능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Radiation therapy in combination with surgery has an important role in the therapy of the head and neck cancer We conducted a prospective study for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 treated with surgery and radiation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rapies on the thyroid gland,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might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hypothyroidism. Materials and Methods : From September 1986 through December 1994, 71 patients with head and cancer treated with surgery and radiation were included in this prospective study. Patients' age ranged from 32 to 73 years with a median age of 58 years. There were 12 women and 59 men. The primary tumor sites were larynx in 34 patients, hypopharynx in 13 patients, oral cavity in 12 patients, unknown primary of the neck in 6 patients, salivary gland in 3 patients, maxillary sinus in 2 patients, and oropharynx in 1 patient. Total laryngectomy with neck dissection was carried out in 45 patients and neck dissection alone in 26 patients. All patients were serially monitored for thyroid function (T3, T4, free T4, TSH, antithyroglobulin antibody and antimicrosomal antibody) before and after radiation therapy. Radiation dose to the thyroid gland ranged from 40.6Gy to 60Gy with a median dose of 50Gy The follow-up duration was 3 to 80 months. Results :The overall incidence of hypothyroidism was 56.3\%$);7 out of 71 patients $(9.9\%)$ developed clinical hypothyroidism and 33 patients $(46.4\%)$ developed subclinical hypothyroidism. No thyroid nodules, thyroid cancers, or hyperthyroidism was detected. Hypothyroidism developed earlier in patients who underwent total laryngectomy with neck dissection than in patients with neck dissection alone (P<0.05). The risk factor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incidence of hypothyroidism was a combination of surgery (total laryngectomy with neck dissection) and radiation therapy (P=0.0000), Four of 26 patients $(15.4\%)$ with neck dissection alone developed hypothyroidism while 36 of 45 patients $(80\%)$ with laryngectomy and neck dissection developed hypothyroidism. Conclusion : The hypothyroidism following surgery and radiation therapy was a relatively common complication. The factor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theincidence of hypothyroidism was combination of surgery and radiation therapy. Evaluation of thyroid function before and after radiation therapy with periodic thyroid function tests is recommended for an early detection of hypothyroidism and thyroid hormone replacement therapy is recommended whenever hypothyroidism develops.

      • SCOPUSKCI등재

        Sequential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for Advanced Nasopharyngeal Carcinoma

        박인규,김상보,윤상모,김재철,박준식,Park, In-Kyu,Kim, Song-Bo,Yun, Sang-Mo,Kim, Jae-Cheol,Park, Jun-Sik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3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1 No.2

        1985년 1월부터 1992년 7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화학요법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국소진행된 비인강암 환자 52명을 대상으로 화학요법의 효과를 판정하기 위하여 후향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남녀성비는 3.3:1이었고 중앙연령은 41세였다. 병리조직학소견은 40예에서 편평세포암이었고, 나머지 12예에서는 미분화세포암이었다. AJC병기에 따른 분류는 III기가 7예였고, 나머지 45예는 IV기였다. 모든환자는 2회의 화학요법후 방사선치료를 받았으며 사용된 화학요법 제재는 CVB (cyclo-phosphamide+vincristine+ bleomycin)이나 CF (cicplantin+5-FU)였다. 방사선조사량은 원발병소에 6000~7500 cGy, 임파절은 병의 정도에 따라 최대 7000 cGy까지 조사하였다. 국소관해율, 생존율 및 무병생존율을 분석하였다. 화학요법에 대한 완전관해율은 $15\%,$ 부분관해율은 $46\%$였으며 방사선치료후 완전관해율은 $87\%$였다. 중앙추적기간은 51개월 이었으며 3년 생존율 및 무병생존율은 각각 $54\%$와 $49\%$였다. 중앙재발기간은 15개월이었으며 완전관해 후 재발의 양상은 국소재발단독이 12예, 원격전이단독이 11예, 국소재발 및 원격 전이가 2예였다. Cox's multivariate regression model에 따르면 임파절전이 유무가 무병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예후인자이었다(p=0.001). 다른 보고에서의 방사선 단독치료의 결과와 비교하여 볼 때 화학요법에 대한 종양의 반응율은 높으나 화학요법 및 방사선치료가 국소관해율 및 생존율의 향상으로는 연결되지는 않았다. 결론적으로 진행된 비인강암에서의 화학요법은 좀더많은 비교대조군 연구(controlled clinical trial)를 통해서만 역 할을 이야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etween January 1985 and July 1992, 52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nasopharyngeal carcinoma were studied retrospectively for the effectiveness of sequential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3.3:1 with a median age of 41 years. Forty patients had squamous cell carcinoma and the remaining 12 had undifferentiated carcinoma. Seven patients had stage III disease and the remainder had stage IV disease at time of presentation. All patients were treated two courses of chemotherapy followed by radiation therapy. Chemotherapy consisted of either CVB (cisplatin, vincristine and bleomycin) or CF (cisplatin and 5-FU). Total radiation dose to the primary site ranged from 6000 cGy to 7500 cGy. Neck nodes were given booster treatment to maximum of 7000 cGy, depending on the extent of disease. Local control, overall survival and disease-free survival rates were analyzed. The complete response (CR) rate to chemotherapy was $15\%$ and the partial response (PR) rate was $46\%,$ for overall major response rate of $61\%.$ The CR rate was $87\%$ after radiation therapy. Median follow-up time was 51 months. The overall survival and disease-free survival rates at 36 months were $54\%\;and\;49\%,$ respectively. Median time to relapse was 15 months. The patterns of initial relapse in CR patients was as follows: locoregional failure only, 12 patients; distant metastasis only,11: both,2. Cox's multivariate regression model revealed that nodal status was the single most important independant prognostic factor influencing disease-free survival (p=0.001). Comparision of these results with other published reports with radiation therapy alone showed that a high rate of initial response to chemotherapy did not translate into local control or survival. At present time radiation therapy alone remains the standard treatment for locoregional cancer of the nasopharyngeal cancer. More controlled clinical trials must be completed before acceptance of chemotherapy as a part of treatment of advanced nasopharyngeal carcinoma.

      • 플래쉬 메모리 관리 알고리즘 개발

        박인규,Park, In-Gyu 대한전자공학회 2001 電子工學會論文誌-CI (Computer and Information) Vol.38 No.1

        The Flash memory market: is an exciting market that has quickly over the last 10 years. Recently Flash memory provides a high-density. truly non-volatile, high performance read write memory solutions, also is characterized by low power consumption, extreme ruggedness and high reliability. Flash memory is an optimum solution for large nonvolitilc storage operations such as solid file storage, digital video recorder, digital still camera, The MP3 player and other portable multimedia communication applications requiring non-volatility. Regardless of the type of Flash memory, Flash media management software is always required to manage the larger Flash memory block partitions. This is true, since Flash memory cannot be erased on the byte level common to memory, but must be erased on a block granularity. The management of a Flash memory manager requires a keen understanding of a Flash technology and data management methods. Though Flash memory's write performance is relatively slow, the suggested algorithm offers a higher maximum write performance. Algorithms so far developed is not suitable for applications which is requiring more fast and frequent accesses. But, the proposed algorithm is focused on the justifiable operation even in the circumstance of fast and frequent accesses. 플래쉬 메모리는 데이터의 저장과 변경이 가능하고 전원이 차단되어도 저장된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는 RAM과 ROM의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는 메모리로서, 고성능의 전기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이동 환경에서의 저장매체로 매우 접합하다. 향후 많은 정보단말기에 사용하게 될 플래쉬 메모리 및 스마트미디어 카드에 파일을 저장, 삭제, 재생하는 효과적인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플래쉬 메모리를 일정한 크기의 세그먼트로 할당하고, 파일을 여러 개의 세그먼트로 분산시켜 관리한다. 본 논문에서는 특정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위치를 저장하는 테이블 및 보조 테이블을 이용하여 효과적인 파일 관리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기존의 알고리즘은 비교적 작은 용량의 플래쉬 메모리를 관리하고 비교적 파일을 빈번한 횟수의 고속 저장, 삭제 등의 작동이 요구되는 응용에는 적합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알고리즘은 몇 개의 플래쉬 메모리 칩 및 스마트미디어 카드로 구성된 비교적 큰 용량의 메모리 관리에 적합하다.

      • 건강상담실

        박인규,Park, In-Gyu 한국건강관리협회 1974 건강소식 Vol.2 No.8

        독자 여러분의 많은 이용을 바랍니다. 기생충질환 예방 및 치료에 관한 문의 이외에도 일반질환에 대한 문의도 환영합니다. 의료계 권위자와 상담하여 지도해 드리겠습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