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의 사회적 약자 불안정화 과정 : 불안계급 이론의 비판과 확장

        박인권 한국공간환경학회 2017 공간과 사회 Vol.27 No.4

        이 논문은 불안계급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확장하여 도시에서 사회적 약자들의 삶이 불안정하게 되는 과정을 이론화하고, 한국 도시의 분석에 이 개념틀을 적용하여 타당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필자는 이론적으로 ‘배제’ 개념이 불안계급 이론에서 공백으로 남아 있는 소비와 재생산관계에서의 불안정화를 설명할 수 있는 핵심임을 주장한다. 사회적 약자를 대변하는 시민단체의 활동가들을 상대로 한 면접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실제로 사회적 배제와 공간적 배제가 이들의 불안정성을 증대시킴을 확인시켜준다. 사회적 차원에서는 참여의 부족과 상호의존적 사회관계의 결핍으로 인해 사회적 약자들의 삶이 더욱 불안정해지고, 공간적 차원에서는 공간의 상품화를 내용으로 하는 도시개발 및 재개발 과정이 지대의 상승, 주거지 분리, 공공 공간의 축소 등을 초래하여 사회적약자들의 삶을 불안정화 시키는 계기로 작용한다. 이처럼 배제는 사회적 약자들의 삶을 불안정하게 하여 불안계급 형성의 객관적 조건을 만들어낸다. 그러나 배제는 사회적 약자들의 참여 의지와 공동체 활동 및 연대의식을 약화시켜 계급의식의 형성을 방해하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사실은 배제의 극복이 사회적 약자의불안정성 극복과 이 집단의 연대와 협력을 위한 선결조건임을 시사한다.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review the Precariat theory and theorize the precarization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in the city, and to confirm its validity by applying this conceptual framework to an analysis of Korean cities. I theoretically argue that the concept of ‘exclusion’ is at the heart of explaining the precarization in the relations of consumption and reproduction, which remains blank in the theory of Precariat. An analysis of interview data from activists of NGOs representing the socially weak corroborates that social exclusion and spatial exclusion indeed increase their precarity. In the social dimension, the lives of the weak are becoming more precarious due to the lack of participation and the lack of interdependent social relations. In the spatial dimension, urban development and redevelopment process involving the commodification of space leads to the rise of land rent, residential segregation, and reduction of public space, thereby precarizing the lives of the weak. In a nutshell, exclusion leads to the precarization of the socially weak, thereby creating the objective condition of the Precariat. However, exclusion also has the role of hindering the formation of class consciousness by weakening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community activities and solidarity of the socially weak. This suggests that the overcoming of exclusion is a prerequisite for overcoming the precarity of the weak and for promoting the solidarity and cooperation of this group.

      • 서울의 저항과 대안의 공간 및 운동 변화 분석

        박인권,이선영 한국공간환경학회 2012 한국공간환경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2 No.3

        근래 발생한 용산참사와 마을공동체 만들기 사업은 서울의 시민사회를 둘러싼 권력관계의 양면성을 보여준다. 한편에서는 국가-시민사회의 관계가 억압-저항의 관계로, 다른 한편에서는 협력-참여의 관계의 관계로 완전히 상반되게 나타난다. 이 연구는 이러한 양면성의 근원을 찾기 위해 지난 20 여 년간 변화해 온 시민사회의 저항과 대안의 공간 및 운동의 변화를 국가-시장-시민사회 삼각관계라는 틀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특히 우리는 민주주의 및 지방자치의 확대와 신자유주의의 확산이라는 모순적 계기가 한국의 국가-시장-시민사회의 관계의 변화를 규정해왔음을 규명하고, 이러한 모순적 계기가 시민사회를 둘러싼 권력관계의 양면성이 나타나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밝혀낸다. 첫째, 한국의 국가는 지난 20 여 년간 시장과 시민사회 사이에서 매우 기회주의적인 행태를 보여 왔다. 한편으로는 경제성장과 민주화 운동을 통해 성장한 시민사회와 협력적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신자유주의의 확산에 따른 시장의 요구에 직면하여 자유시장 질서의 확산을 위해 노력하는 이중적 모습을 보이게 된다. 둘째, 시민사회의 다양한 운동들은 국가와 시장으로부터 얻어낸 확장된 자신들의 활동공간을 활용하여 체제 내적인 활동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신자유주의와 함께 끈임 없이 영역을 확대하는 시장과 이에 포섭된 국가에 대한 저항운동 역시 지속해왔다. 셋째, 국가-시장-시민사회 관계의 불안정한 균형 상태 속에서 지방정치체제는 시장과 시민사회를 왔다갔다 해왔고, 주민운동의 지배적 활동방식 역시 구체적 지방정치체제의 변화에 따라 동요해왔다. 이러한 발견들로부터 우리는 서울시민의 운동에 대한 실천적 의미를 도출한다. 즉, 민주주의와 신자유주의라는 모순적 두 계기가 끊임없이 충돌하고 상호 균열을 일으키며 동적 균형을 이루고 있는 현실에서, 서울시민의 저항과 대안 운동은 바로 이 동적 균형의 중심점을 민주주의의 쪽으로 이동시키는 데 영향을 줄 수 있다.

      • KCI등재

        Determinants of vacant lot conversion into community gardens: evidence from Philadelphia

        박인권,Patricia Ciorici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연구원 2013 도시과학국제저널 Vol.17 No.3

        Community gardens (CGs) are gaining popularity as an alternative use for vacant lots in communities that struggle to address the negative effects of property abandonment. A pressing issue for these communities is to determine which vacant lots are most appropriate for community gardening.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vacant lot conversion into CGs. We looked at existing CGs and vacant lots in the City of Philadelphia and identified CGs converted from vacant lots.A logit model was employed to determine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conversion. The data for lot attributes were collected from the Philadelphia Neighbourhood Information System and a city-wide survey conducted by the Pennsylvania Horticultural Society. The results show that neighbourhood characteristics such as poverty level, educational attainment,zoning, and owner occupancy level mainly determine the conversion. In addition, parcel characteristics including ownership and topography have significant impacts on the conversion. These findings will help communities to identify the most appropriate vacant lots for community gardening.

      • KCI등재
      • KCI등재

        Agglomeration economies in knowledge production over the industry life cycle: evidence from the ICT industry in the Seoul Capital Area, South Korea

        박인권,Gyu Hwan Kim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연구원 2015 도시과학국제저널 Vol.19 No.3

        It is well acknowledged that agglomeration economies contribute to knowledge production, which is crucial in the current knowledge-based economy. The literature on evolutionary agglomeration stresses that the effects of agglomeration economie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dustry life cycle. But much is not known about what sources of agglomeration economies play an important role in knowledge production at each stage of the life cycle: industrial localization versus diversification, and leadership by large firms versus competition among small firms. This study investigates knowledge production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ndustry in the capital area around Seoul, South Korea, to answer this question. A panel data set for the patent applications during the period of 2006–2011 is used to model knowledge production in terms of different sources of agglomeration economies. The results show that distinct patterns can be found depending on the industry life cycle. Leadership by large firms has positive effects on knowledge production during the growth stage (2006–2009), while its effects become insignificant during the maturity stage (2009–2011). This is in line with the expectations of evolutionary agglomeration theory. The effects of industrial diversity change from negative to insignificant as the ICT industry enters the maturity stage. In the meantime, competition always has positive effects, while localization always has no significant eff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