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 : 정서조절, 질투와 시샘의 순차적 매개효과

        박우람,홍상황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5 초등상담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과 질투와 시샘이 매개 하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소재 초등학교 4, 5, 6학년 아동 575 명에게 거부민감성, 정서조절, 질투, 시샘 그리고 관계적 공격성 척도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 집하였고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거부민감성은 관계적 공격성, 질투와 시 샘과는 정적 상관, 정서조절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고 연구의 매개변인인 정서조절 및 질투와 시샘도 관계적 공격성과 각각 부적,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매개변인인 정서조절과 질투와 시샘이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관계적 공격성과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냈다. 그리 고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의 선행모형(거부민감성→ 정서 조절→ 질투와 시샘→ 관계적 공격성)의 순차적 경로는 유의한 반면, 질투와 시샘의 선행모 형(거부민감성→ 질투와 시샘→ 정서조절→ 관계적 공격성)의 순차적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 다. 이는 학교장면에서 아동의 거부민감성에 기인한 관계적 공격성 수준이 높은 학생을 상담 할 때 아동의 정서조절을 먼저 다루고 그 다음 질투와 시샘과 같은 부적 정서의 순서로 개 입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교 하고 연구의 의미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among emotion regulation, jealousy, and env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and relational aggression. For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575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fourth, fifth, and sixth grades in Gyeongsangnam-do by measuring the scales of rejection sensitivity, emotion regulation, jealousy, envy and relational aggression. The result from the research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expresses th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relational aggression, jealousy, and envy, but the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shows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 regulation. The emotion regulation as a mediator variable in this study presents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relational aggression while jealousy and envy express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relational aggression. Second, emotion regulation, jealousy and envy as mediator variables fully mediate in relationships in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and relational aggression. The consecutive order in the preceding model of the emotion regulation (rejection sensitivity → emotion regulation → jealousy and envy → relational aggression) is significant to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and relational aggression. On the other hand, the consecutive order in the preceding model of jealousy and envy (rejection sensitivity → jealousy and envy → emotion regulation → relational aggression) is not significa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ceed with a negative emotion order from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to jealousy and envy when counselling a student who has high relational aggression from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in school. Lastly, the result is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and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a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판 벡 아동청소년검사 2판(K-BYI-2)의 초등학생용 단축형 검사의 구성과 타당화

        박우람,홍상황 한국청소년학회 2023 청소년학연구 Vol.30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short for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Korean Beck Youth Inventories-2(K-BYI-2), and to find out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In this study, data from 2,504 3rd to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across the country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irst, the item discrimination, the amount of item information, an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item and the total score in each area of five sub-tests was reviewed using a two-parameter grade response model. Finally, a total of 51 items were selected as short for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internal consistency(range from .80 to .94, median .86) and test-retest reliability (range from .83 to .92, median .90) were favorable. Third, the inter correlation between the five sub-tests constituting K-BYI-2 was goo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hort form and the original scale(K-BYI-2) was also good in the range of .94 to .99. Fourth, The K-BYI-2 short form for 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monstrated successful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Lastl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compared with the previous studies and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Higher Education, Productivity Revelation and Performance-pay Jobs

        박우람,백지선 한국개발연구원 2018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KDI JEP) Vol.40 No.4

        This paper examin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ubsequent careers of high school and college graduate workers based on a direct role of college graduation with regard to the revelation of workers’ individual abilities. Using NLSY79, we document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off-the-job training/performance-pay jobs and ability for high school graduates at the early stages of their careers. However, this relationship is less prominent for college graduates. Moreover, we show that high ability is associated with more jobs, which reflects higher job mobility, only for high school graduates. We argue that these patterns are the result of productivity-revealing behavior of high school graduates, whose individual abilities, unlike college graduates, is not observed precisely at the beginning of their careers.

      • KCI등재

        한국판 바인랜드 적응행동검사 3판(K-Vineland-3) 교사평정형 주영역판의 신뢰도와 타당도

        박우람,홍상황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3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2 No.3

        이 연구는 한국판 바인랜드 적응행동척도 3판(K-Vineland-3) 교사평정형 주영역판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만 3세부터 12세 총 1,383명을 대상으로교사평정형 주영역판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평정형 주영역판의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내적 합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가 모두 양호하였으며, 평정 일치도를 검증한 결과 4가지 주영역에서 보호자평정형 및 면담형과의 상관이 양호하였으며, 부적응행동 영역에서는 검사 유형 간의 차이가 적응행동 영역에서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평정형의 주영역판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검사내용과 구조에 기초한 근거를 살펴보았다. 먼저, 주영역별 점수가 연령의 증가에 따라 대부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영역 간 상호상관도 양호하였다. 더불어 특수집단에 기초한 근거로서 특수교육대상자 집단과 일반 아동 집단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적응행동을 측정하는 3가지 영역에서의 차이가 모두 유의미하였으며, 부적응행동 영역에서의 차이는 진단장애별로 상이하였다. 셋째, 다른 검사와의 관계에 기초한 근거를 토대로 타당도를 살펴본 결과, 주영역판과 종합판 간의 상관과 주영역판과 K-WPPSI-Ⅳ, K-WISC-Ⅴ와의 상관이 양호하였으며, K-CDI-2판 교사용과의 상관도 양호하였다. 이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교사용 적응행동 평가도구의 단축형 성격인K-Vineland-3 교사평정형 주영역판을 타당화하여 개인의 적응행동을 과학적으로 측정하는도구를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Vineland Adaptation Behavior Scale 3rd edition(K-Vineland-3) domain level of teacher form. Data were collected by 1,383 students aged 3 to 12,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liability of the K-Vineland-3 domain level of teacher form, both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were goo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caregiver form and interview form were good in the domain levels. Second, domain level score increased along with the increase in age, and intercorrelation between domain levels were good. In addi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pecial education group and the general group, the differences in all three areas of measuring adaptive behavior were significant, and the differences in maladaptive behavior were different for each diagnostic disorder. Third, the validity of K-Vineland-3 based on the relationship with other tests(Comprehensive Form of K-Vineland-3, K-WPPSI- Ⅳ, K-WISC-Ⅴ, K-CDI-2) was good. This study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has developed scale to scientifically measure individual adaptive behavior by validating the K-Vineland-3 domain level of teacher form, the short form that can be used in the various educational field.

      • KCI등재

        How Large are Local Human Capital Spillovers?: Evidence from Korea

        박우람 한국개발연구원 2016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KDI JEP) Vol.38 No.4

        This paper examines the empirical magnitude of local human capital spillovers in Korea during the 1980s and mid-1990s. Local human capital spillovers exists if plants in regions with a higher level of human capital can produce more given their own amount of input (Moretti 2004c). In particular, this paper explores an educational reform in South Korea which exogenously induced a large amount of variation in regional human capital levels. Using annually collected plant level data, I explore the effect of changes in the regional human capital levels induced by this reform on plant productivity in Korea. My results suggest that this effect is limited. I fi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 regional level of human capital and plant productivity. However, after further addressing endogeneity using an instrumental variable, the effect of the overall regional human capital level on productivity decreases and become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 KCI등재

        아동의 학업 스트레스, 자기자비 및 주의전환 반응양식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잠재프로파일 분석

        박우람,홍상황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23 초등상담연구 Vol.22 No.1

        이 연구는 아동이 지각하는 학업 스트레스와 자기자비, 주의전환 반응양식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잠재프로파일 분석으로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6학년 아동 607명에게 아동용 학업 스트레스, 자기자비, 반응양식, 주관적 안녕감 척도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 후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 스트레스는 자기자비, 주관적 안녕감과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고, 주의전환 반응양식과는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리고 자기자비와 주의전환 반응양식은 정적 상관을, 주관적 안녕감과도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주의전환 반응양식은 주관적 안녕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예언변인으로 설정한 3가지 변인 중 주관적 안녕감을 가장 잘 설명하는 변인을 회귀분석으로 알아보았다. 그 결과 자기자비가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였으며 다음으로는 학업 스트레스, 주의전환 반응양식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3가지 예측변인들의 수준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유형을 나눈 결과 모두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심리적 적응면에서 긍정적인 기능형과 그 반대인 고위험형, 그리고 자기자비와 주의전환은 평균 수준이지만 스트레스만 상대적으로 높은 스트레스형, 그리고 스트레스가 비교적 낮고, 자기자비도 평균 수준이나 주의전환이 낮은 주의전환 곤란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잠재프로파일 유형별로 주관적 안녕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기능형 집단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주의전환 곤란형, 스트레스형, 고위험형 순이었다. 그리고 기능형은 주의전환 곤란형과 스트레스형에 비해 주관적 안녕감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고, 주의전환 곤란형과 스트레스형은 고위험형에 비해 주관적 안녕감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하지만 주관적 안녕감이 중간 수준인 주의전환 곤란형과 스트레스형은 서로 역시 유의미한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결과를 기존의 연구들과 비교하고 그 의미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 : 자기개념 명확성과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박우람,홍상황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20 초등상담연구 Vol.19 No.2

        이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과 정서조절이 매 개하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6학년 아동 398명에게 부모의 심리적 통제, 자기개념 명확성, 정서조절, 삶의 만족도 척도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분 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삶의 만족도, 자기개념 명확 성, 정서조절과 모두 부적 상관, 매개변인인 자기개념 명확성, 정서조절은 삶의 만족도와 정 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정서조절에 영향을 주어 삶의 만족도로 가는 경로의 단순매개효과가 유의미하였고,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자기개념 명확성 에 영향을 주고 순차적으로 정서조절에 영향을 주어 결국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이중 매개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분매개모형 보다 완전매개모형의 적합도가 더 양호하였다. 이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삶의 만족도에 직접 영향을 주기 보다는 자기개념 명확성과 정서조절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결과를 기존의 연구들과 비교하고 그 의미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mediating role of the clarity of children’s self-concept and of their emotional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hildren’s life satisfaction. Fourth-, fifth-, and sixth-grade 398 Kore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Gyeongssangnam-do rated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their parents as well as the clarity of their own self-concept, emotional regulation, and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was negatively related with the children’s life satisfaction, clarity of self-concept, and emotional regulation. Furthermore, the children’s clarity of self-concept and emotional regulation as mediating value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ir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study found a valid single mediating effect in that p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ffected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which in turn influenced their life satisfaction. Moreover, the study found a significant dual mediating effect in tha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ffected the clarity of the children’s self-concept, which in turn influenced emotional regulation, which eventually influenced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especially showed that the partial mediating model was a better model fit than the full mediating model. The result implies tha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indirectly influences children’s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ir self-concept and emotional regulation instead of directly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emphasizing parental over proactive attitudes, such as psychological control, negatively influence the children/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in contrast with previous studies where the parental rejective attitude and the lack of affection are only considered as parenting values that most impede children/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Furthermore, this study can give insights into the need for client-centered therapy while providing information about children’s self-concept based on psychological evaluations or related basic investigations, before providing the emotional regulation intervention program to children with a low level of life satisfaction. Lastly,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were compared with the previous studies and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판 웩슬러 기초학습기능검사(K-WFA)의 타당도: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박우람,홍상황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3 한국초등교육 Vol.34 No.4

        이 연구는 한국판 웩슬러 기초학습기능검사(Korean Wechsler Fundamentals: Academic Skills; K-WFA)의 타당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초중고생의 3,147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검사 내용과 구조에 기초한 근거, 특수집단 연구에 기초한 근거, 다른 검사에 기초한 근거에 따른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K-WFA와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들의 관련성이 매우 높았고, 구성하는 4가지 소검사와읽기 조합 점수의 상호상관은 양호하였다. 둘째, 학습종합클리닉센터에 의뢰된 학습지원대상학생 및경계선 지적 기능 집단과 일반집단과의 K-WFA 점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두 가지 집단이 일반규준에 비해 소검사별 점수가 유의미하게 낮았다. 셋째, 4가지 타당도 검사와의 상관을 검토한 결과K-WFA와 4가지 타당도 검사와의 상관이 모두 양호하였다. K-WFA의 타당도가 양호하였기 때문에K-WFA의 초등학교 및 중고등학교 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과 다양한 학습장애 학생들의 진단에K-WFA가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Korean Wechsler Fundamentals: Academic Skills (K-WFA). Data from 3,147 elementary-, middle-,and high-school students across the country were collected to confirm the validity based on the following: test content and structure, special group research, and other tests. First, the contents of the K-WFA and Korea’s 2022 revised curriculum were found to be relevant, and the correlation of the K-WFA between four subtests and reading composite scores was good. Second, poor learners (as defined by the Learning Clinic Center) and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al groups had significantlyl ower K-WFA scores for each subtest than general groups. Third, strong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four new validity tests and K-WFA.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This study confirmed the validity of the K-WFA and showed that it can be used in education and in the diagnosis of various learning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