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원도 인제군 원대리 자연습지의 식물상

        박완근,유석인,박광서 강원대학교 삼림과학연구소 2000 Journal of Forest Science Vol.16 No.-

        강원도 인제군 남면 원대리 자연습지를 대상으로 1999년 4월부터 동년 10월까지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71과 175속 228종 1아종 33변종 3품종, 총 265종류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가운데 갈대, 달뿌리풀, 삿갓사초, 골풀, 구릿대, 버드나무 등의 수생 및 관속식물은 19과 24속 31종 5변종 1품종, 총 37종류가 분포하고 있었다. 본 조사지역내 식생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식물사회학적조사를 실시한 결과 갈대군락, 갯버들-횐물봉선아군락, 조팝나무-사철쑥아군락으로 분류되었다. This study was to estabilish the composition and vegetation of vascular plants on natural mashes in Wondae-ri(710m; 37˚ 58' 30" N, 128˚ 12' 15" E). This work was conducted from April to October, 1999. Vascular plants were composed of 71 families, 175 genera, 228 species, 1 subspecies, 33 varieties and 3 formae, totaling 265 taxa. Among the investigated vascular plants, 19 families, 24 genera, 31 species, 5 varieties 1 formae, totaling 37 taxa(13.9%) were hydrophytes and hygrophytes.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1 community and 2 subcommunities ; A.Phragmites japonica community A-1.Salix gracilistyla-Impatiens noli-tangere subcommunity A-2.Spiraea prunifolia var. simpliciflora-Artemisia capillaries subcommunity Key words : natural mashes, hydrophytes and hygrophytes

      • 반도체 폐가스로부터 SF<sub>6</sub> 분리 농축시스템

        박완근,이민우,가명진,장원철 한국공업화학회 2015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5 No.1

        SF6 기체는 etching 또는 cleaning 가스로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 가스는 물리 화학적으로 안정하여 높은 지구온난화지수 (CO<sub>2</sub>의 23,900배)로 알려져 있으며, 6대 온실기체로 지정되어 있다. SF<sub>6</sub>의 분리에 다양한 기술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타 기술에 비해 분리막을 이용한 기체분리 공정이 경쟁력이 우수하다. 선행연구로 Polysulfone 재질의 중공사 고분자 분리막을 통한 SF6 분리 공정의 공정변수(Stage cut, 공급기체 조성) 변화에 따른 최적화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의 연장선으로 본 연구에서 대용량 중공사 분리막 시스템을 구축하였고, 이의 성능평가 연구를 수행하였다.

      • 폴리설폰 분리막을 이용한 NF3, N2, O2 분리 특성 연구

        박완근,이민우,가명진,장원철 한국막학회 2015 한국막학회 총회 및 학술발표회 Vol.2015 No.05

        NF3 기체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cleaning 또는 etching 가스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6대 온실가스에 속하지는 않으나 차기 온실가스로 지구온난화지 수도 이산화 탄소에 비해 17200배 높다. 최근 NF3를 분리 농축 회수에 있어서 고분자 분리막, 복합막등의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실제 공정설계, 공정 최적화를 이루기 위한 분리특성의 연구가 미비한 상태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NF3와 N2, O2의 온도와 압력에 따른 투과특성을 확인하고, 혼합기체에서의 주입농도와 Stage-cut에 따른 농축농도와 회수율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KCI등재

        강원대학교 연습림내 연엽산(蓮葉山)과 구절산지역(九節山地域)의 식물상(植物相)에 관한 연구(硏究)

        박완근,염규진,박선정,Park, Wan-Geun,Yeom, Kyu-Jin,Park, Sun-Jung 강원대학교 산림과학연구소 1997 Journal of Forest Science Vol.13 No.-

        강원대학교 연습림의 연엽산과 구절산 지역을 대상으로 식물상(植物相)을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자원(管束植物資源)은 98과(科) 345속(屬) 551종(種) 2아종(亞種) 88변종(變種) 10품종(品種) 2잡종(雜種)으로 총 653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소산식물(所産植物)중 한국특산식물(韓國特産植物)은 20종류, 그리고 희귀(稀貴) 및 멸종위기식물(滅種危機植物)은 18종류가 분포하였으며, 자연생태계(自然生態系)에 예측할 수 없는 영향을 초래하는 귀화식물(歸化植物)은 27종류가 출현하였다. 귀화식물 종류수에 의한 자연파괴도(自然破壞度)(UI)는 약 12.4%로 나타났다. 또한 소산식물(所産植物)들의 유용도(有用度)는 식용자원(食用資源)(42.1%), 약용자원(藥用資源)(33.8%), 목초용(牧草用)(28.8%), 관상자원(觀賞資源)(11.8%), 목재자원(木材資源)(5.2%), 섬유자원(纖維資源)(1.4%), 공업용(工業用)(1.1%)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아직 용도가 밝혀지지 않은 식물자원도 140종류(21.4%)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flora of resources vascular plants in the Experiment Forests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Resources vascular plants were composed of 98 families, 345 genera, 551 species, 2 subspecies, 88 varieties, 10 formae, and 2 hybrid, totaling 653 taxa. Among the investigated resources plants, Korean endemic plants and rare or endangered plants were distributed 20 taxa and 18 taxa, respectively. There were 27 taxa of Naturalized plants in this study area, which would have unpredictable influence on the natural ecosystem. The urbanized index(UI) of all over the investigated areas was about 12.4%. Useful resources plants were composed edible source(42.1%), medicinal source(33.8%), pasture source(28.8%), ornamental source(11.8%), timber source(5.2%), fiber source(1.4%), industrial source(1.1%). Vascular plants of unknown use were 140 taxa(21.4%).

      • KCI등재

        향로봉지역(香爐峰地域)의 식물상(植物相) 연구(硏究)

        박완근,유석인,박광서,Park, Wan-Geun,Yoo, Seok-In,Park, Kwang-Seo 강원대학교 산림과학연구소 1999 Journal of Forest Science Vol.15 No.-

        향로봉(香爐峰)지역을 대상으로 식물상(植物相)을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管束植物)은 86과(科) 254속(屬) 393종(種) 2아종(亞種) 48변종(變種) 4품종(品種)으로 총 450종류(種類)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한국특산식물(韓國特塵植物)은 지리대사초, 키버들, 누른종덩굴, 진범, 금강제비꽃, 산오이풀, 노랑갈퀴, 금마타리, 금강초롱꽃, 흰금강초롱꽃, 각시서덜취 등 23종류(種類), 희귀(稀貴) 및 멸종위기식물(滅種危機植物)은 진부애기나리, 말나리, 연령초, 천마, 누른종덩굴, 도깨비부채, 붉은인가목, 금강제비꽃, 꽃개회나무, 금강초롱꽃 등 17종류(種類)가 분포하고 있었으며, 조사지역내의 귀화식물(歸化植物)로는 오리새, 왕포아풀, 애기수영, 대나물, 다닥냉이, 달맞이꽃, 미국쑥부쟁이, 지느러미엉겅퀴, 개망초, 서양민들레 등 14종류(種類)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vestigated in Mt. Hyangro-Bong was 450 taxa belonging to 86 families, 254 genera, 393 species, 2 subspecies, 51 varieties, 4 formae. Among the investigated vascular plants, Korean endemic plants (Carex okamotoi, Salix koriyanagi, Clematis chisanensis, Aconitum pseudo-laeve var. erectum, Viola diamantiaca, Sanguisorba hakusanensis, Vicia venosissima, Patrinia saniculaefolia, Hanabusaya asiatica, H. asiatica for. alba etc.) were 23 taxa; rare and endangered plants(Disporum ovale, Lilium distichum, Trillium kamtschaticum, Gastrodia elata. Clematis chisanensis, Rodgersia podophylla, Rosa marretii, Viola diamantiaca, Syringa wolfii, Hanabusaya asiatica etc.) were 17 taxa; naturalized plants(Dactylis glomerata. Poa pratensis, Rumex acetosella, Gypsophila oldhamiana, Lepidium apetalum, Oenothera odorata, Aster pilosus, Carduus crispus, Erigeron annuus, Taraxacum officinale etc.) were 14 taxa.

      • SCOPUSKCI등재

        주목 잎의 후라보노이드 배당체

        박완근,한상섭,배영수,함연호 한국목재공학회 1997 목재공학 Vol.25 No.2

        주목 잎을 채취하여 건조하고 아세톤-물(7 : 3, v/v)의 혼합액으로 추출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및 수용성 부분으로 분리하고 Sephadex-LH20으로 충진한 칼럼을 이용하여 2개의 flavan 단량체와 2개의 후라보노이드 배당체를 단리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용성 추출물은 대부분 (+)-catechin과 (-)-epicatechin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수용성 부분에서는 quercetin-3-0-arabinopyranosyl-(1"→6")-β-D-glucoside와 quercetin-3-O-rutinoside인 두 개의 탄수화물로 구성된 배당체를 분리하였으며 주목에서는 이들 화합물은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이들의 구조결정을 위하여 박층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고 ¹H-NMR과 ^(13)C-NMR 스펙트럼을 기존의 스펙트럼과 비교, 분석하여 정확한 구조를 규명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