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전항로에서의 적정 최대속력에 대한 검토.연구

        박영수,정재용,박진수,Park Young-Soo,Jong Jae-Yong,Park Jin-Soo 해양환경안전학회 2006 海洋環境安全學會誌 Vol.12 No.2

        Recently, ships' average navigation speed become faster than before because of the increasing of high-speeds vessel including container ships and passenger-ferries. So, it is considered that the speed limit in the navigation channel in Korea isn't proper for vessel management in these days. Also, there is rare paper studies about the speed limit quantitatively and numerically, especially the speed limit is discussing continuously, as abrogation of Incheon Port's speed limit and alleviation of Gwang-yang Port's speed limit according to the requests by the navigating mariners. Consequently this paper deals with the effectiveness of speed limits using the Environmental Stress Model, after replay of the navigation traffic flow in the straight waterway using marine traffic flow simulation technique. 컨테이너 선박 및 고속선 등과 같은 고속선박의 등장으로 해상에서의 선박 속력은 이전보다 더욱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특정해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현행 교통 밀집해역에서의 속력규제는 수십년전의 규정으로 현재의 교통상황에 잘 부합되지 않는 제도라고 사료된다. 특히 그 해역을 항행하고 있는 선박운항자의 주장으로 인천항의 속력규제 폐지, 광양항의 속력규제 완화 등 속력규제에 관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지만 이러한 협수로에서의 속력규제에 대하여 수치화되거나 정량화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직선항로에서의 통항선박의 흐름을 재현한 후, 선박운항자의 선박운항 부담감을 정량화한 환경스트레스 모델(ES Model)을 이용하여 속력규제에 대하여 분석하여 최대속력규제의 효과 여부를 알아보고자 한다.

      • KCI등재

        Developing a Program to Pre-process AIS Data and applying to Vung Tau Waterway in Vietnam - Based on the IWRAP Mk2 program -

        박영수,박진수,정재용,Nguyen, Xuan Thanh,Park, Young-Soo,Park, Jin-Soo,Jeong, Jae-Yong 해양환경안전학회 2013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9 No.4

        IWRAP 프로그램은 수로에서의 위험성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프로그램이다. 그러나 이 프로그램의 기본 버전의 경우 AIS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능이 포함되지 않아서, 더구나 베트남과 같은 개발도상국에서는 해상교통량 통계 데이터가 없는 실정이다. 사용자들은 수동으로 준비하여 입력하여야 한다. 이 연구는 IWRAP Mk2 프로그램 기본 버전을 사용하는데 있어 AIS 데이터를 전처리(pre-process)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선박 형태, 선박 크기, 통과 시간 등으로 분류한 통항로에서의 선박 통항 척수 및 항로 배치와 같이 해역 내 해상교통에 관한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고안되었다. 이렇게 개발된 통합 AIS 프로그램(Total AIS, TOAIS)은 베트남 Vung Tau 해역의 AIS 수집 데이터를 전처리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 통합 AIS 프로그램에서 전처리한 데이터를 이용한 IWRAP 프로그램은 베트남 해역의 위험성을 효율적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The IWRAP program (Inland Waterway Risk Assessment Program) is a useful program for risk assessment of a waterway. However, in the basic version, the function which is used to import AIS data is not included. So users have to prepare the data and input to the program manually. And not all waterways have enough statistical data about passing vessels especially in developing countries as Vietnam. This paper studies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to pre-process AIS data for using the IWRAP Mk2 program basic version. In addition, it provides users basic information about marine traffic in a waterway such as routes layout, number of passages at a gate classified by type, size and time. The developed program, named TOAIS (Total AIS), was successfully used to pre-process AIS data collected in the Vung Tau waterway-Vietnam. As a result, the IWRAP Mk2 program basic version using data pre-processed from TOAIS could effectively assess the risk of collision in this waterway.

      • KCI등재

        선박운항자 안전 의식에 기초한 선박통항 최소 이격거리에 관한 연구

        박영수,정재용,김종성,Park, Young-Soo,Jeong, Jae-Yong,Kim, Jong-Sung 해양환경안전학회 2010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6 No.4

        해상에서의 선박운항자는 선박을 운항 중 장애물 혹은 타선에 대하여 적정한 이격거리를 두고 항행하고 있다. 다시 말해 시정 상태, 풍속, 조류 등에 따라 선박 전 후 거리, 좌 우현 정횡거리를 주관적인 안전 의식에 근거하여 이격하여 통항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통항 선박 간 최소 안전이격거리 개념을 1980년대 초 외국에서 조사된 자료로 사용하고 있고, 항계 내(제한수로)와 항계 밖의 통항 선박의 안전거리가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구분 없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선박 조종학적 안전거리는 선박 전후 거리보다는 선박 측면거리가 중심이며, 선박 종류에 따라 최소 안전이격거리가 상이하지만 고려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상황에 따른 선박운항자의 안전 의식을 고려한 적정 이격거리를 정량화하여 해상교통안전성 평가모델의 충돌 판정 영역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고, 우리나라에 적합한 해상교통 혼잡도 모델 개발 및 상황 선박별 해상교통관제에 필요한 가이드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시정이 양호한 주간의 경우 선수전방 4.4 L, 선미후방 3.1 L, 정횡 2.6L로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최소 안전이격거리와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시정 및 주야간 등과 같은 파라미터를 다양하게 고려하였다. Vessel Operator has been navigating with subjective sate distance in accordance with night & daytime, fore & aft, port & stbd abeam and visibility situation. This sate distances may different depending on inside & outside harbor limit, current, wind and visibility situation. By now, the concept of proper sate distance between navigating vessels has been adopted in Korea, using the early 1980's foreign data. And the safe distance is being used with the same value without any consideration of inside & outside harbor and the kind of vessel. So it is necessary to evaluate or search proper distance concept based on different sate consciousness of Korean manners. This paper aims to develop the basic model for marine traffic evaluation and the new model of marine traffic congestion. Also this paper proposes the basic control guideline of vessel traffic service center.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minimum sate distance should be 4.4L forward, 3.1L aft and 26L abeam in case of good visibility in daytime, considering various parameters such as visibility, day and night. Some differences Here found between the existing minimum sate distance and the new minimum sate distance derived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 KCI등재

        선박조종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해상교통 위험도 평가에 관한 연구

        박영수,김종성,김철승,정재용,이형기,정은석,Park, Young-Soo,Kim, Jong-Sung,Kim, Chol-Seong,Yong, Jeong-Jae,Lee, Hyong-Ki,Jeong, Eun-Seok 해양환경안전학회 2013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9 No.2

        해상에서는 선박 운항과 관련하여 크고 작은 해양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해양사고는 소중한 인명의 사상과 재산상의 손실뿐만 아니라 심각한 해양환경 오염 피해를 유발하고 있다. 그리고 해상물동량 증가 및 교통 환경의 복잡화에 따른 해양사고 발생 개연성 및 사고로 인하여 해양오염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해상에서의 해상교통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대상해역에서의 해상교통환경과 관련된 일반적인 정보 및 위험도 정보를 제공하고, 해상교통환경 평가를 통한 해역 위험도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표 개발이 진행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운항자의 위험의식을 바탕으로 하여 다양한 운항 조건에서 선박운항을 재현할 수 있는 선박조종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해상교통 평가의 유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뮬레이션 결과에 대한 주관적 위험도의 측정이 통항선박의 해상교통 평가의 유효성을 대표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분산분석법을 이용하여 선박운항자의 특성과 선박간 거리, 속력, 조우형태와 같은 각 요소들 간에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각 요소들 간의 위험도 차이 정도를 다중비교를 통하여 분석하여 위험도 차이를 통계적 측면에서 수치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Large and small marine accidents which are related to vessel's navigation are happening continuously and these maritime accidents have caused loss of lives and properties, and serious maritime environmental pollution damage. It is also true that maritime pollution damage is increasing due to these accidents, probability of growth of seaborne volume and complicated maritime traffic environment. Korea, recently, is developing an evaluation index which can assess sea risk through the evaluation of maritime traffic environment and provide danger and general information with relation to maritime traffic environment on target sea area to evaluate maritime traffic safety. In this paper, we intend to confirm the validity of maritime traffic safety on the basis of vessel navigator's risk consciousness and various sailing conditions by using the ship handling simulator. To confirm the validity of sailing vessel's maritime traffic safety, we use analysis of variance. By using analysis of variance, we analyze vessel navigator's characteristics, distance, speed and encounter type between vessels. Through multiple comparison of each factor's risk difference, we can confirm the change of numerical value of risk difference in statistical aspect.

      • KCI등재

        선박 점용영역 분석을 통한 해상교통혼잡도 고찰

        박영수,정재용,Park, Young-Soo,Jeong, Jae-Yong 해양환경안전학회 2014 海洋環境安全學會誌 Vol.20 No.5

        본 연구에서는 해상교통혼잡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선박점용영역크기, 선박의 속력, 항로폭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가장 민감한 요소로 선박점용영역을 도출하였다. 선박점용영역에 대해 일본, 덴마크 해협, 중국 상하이항에서의 점용영역에 대한 기존 연구사례를 조사하고, 우리나라 진해만 피항시의 해상교통관측조사를 통한 선박점용영역을 도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민감도 분석결과, 선박속력 1노트 변화시 10 %, 항로폭 100미터 변화시 18 %, 점용영역 장직경 1L 변화시 34 %~43 %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결과, 현행 진단제도에서 사용하는 $8L{\times}3.2L$, $6L{\times}1.6L$은 일본의 $3.5L{\times}1.5L$, 중국 상하이항 $5.9L{\times}2.2L$, 덴마크 해협 $4L{\times}5B$ 및 진해만 피항시의 선박점용영역 $3L{\times}2L$과 큰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research concluded that the area is most sensitively affected by the maritime traffic congestion rather than other factors including the ship's speed and fairway width. We performed a literature review for the area used in Japan, Denmark, and Shanghai ports, and analyzed by comparing with the area in Jinhae, Korea through the observation survey of marine traffic. The result of sensitivity analysis concluded that the congestion is affected by amount of 10% by changing 1 knot of the ship's speed, 18% of 100m of the fairway width, and 34%~43% of 1L of ship's length. By applying the result into the current audit system using $8L{\times}3.2L$, $6L{\times}1.6L$, we found that there is big difference with $3.5L{\times}1.5L$ in Japan, $5.9L{\times}2.2L$ in Shanghai, $4L{\times}5B$ in Denmark, and $3L{\times}2L$ in Jinhae, Korea. For this reason, further studies should be carried out in near future to the area mostly affected by congestion.

      • KCI등재

        부산항내 제트포일 여객선의 항해 속력에 대한 연구

        박영수,전태영,박성용,김득봉,Park, Young-Soo,Jeon, Tae-Young,Park, Sung-Yong,Kim, Deug-Bong 해양환경안전학회 2013 海洋環境安全學會誌 Vol.19 No.4

        부산항내는 시간당 10척 이상의 선박이 통항하고 있고, 일본 왕복 제트포일 여객선이 30 kts~40 kts의 고속으로 항행하고 있어 우리나라에서도 고밀도 교통해역으로 간주된다. 더불어 이 항로 내에서는 제트포일 선박의 약 18 %가 고속으로 추월을 하거나 항로 밖으로 이탈하여 운항하고 있어 타 선박과 빈번히 조우하거나 항로 밖 항행 등과 같은 현행 법령을 미준수하고 있는 것으로 10일간의 해상교통조사를 통하여 분석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부산항의 교통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한 해상교통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부산항내의 제트포일 여객선의 운항자 허용 가능 속력이 약32노트 이하로 계산되었으며, 제트포일 선박이 항로 내 및 항로 밖으로 통항하는 경우의 조선부담감 발생비율 차이가 미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시간당 통항척수가 감소함으로써 조선부담감이 다수 감소하기 때문에 피크타임 시간대 운항을 피하여 통항안전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There are more than 10 ships and jetfoil passenger ships with speeds of 30~40 kts navigating between Japan and Busan ports per hour. Busan port has the highest density of traffic among the Korean ports and waterways. Jetfoil ships are the most frequently encountered amongst other vessels and about 18 % of passing jetfoil vessels violated port regulations. Based on the analysis of traffic survey carried out for 10 days, jetfoil vessels often overtook other vessels in route and deviated with high speed. This paper verified a proper speed and how to navigate in or out route of jetfoil ships by marine traffic flow simulation. A acceptable navigation speed for jetfoil vessel's mariner was calculated at less than about 32kts in Busan Port. It is a little different that shiphandling difficulty of jetfoil was almost the same whether passing in and out route in Busan Port. This paper proposes that the passing time of jetfoil ships should avoid the peak time to improve the traffic safety in Busan Port.

      • KCI등재

        해상교량 건설을 위한 선박통항 안전성 검토요소에 관한 연구-Ⅰ

        박영수(Young-Soo Park),박진수(Jin-Soo Park),고재용(Jae-Yong Ko),정재용(Jae-Yong Jong),이은(Eun Lee) 한국항해항만학회 2005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29 No.1

        주교각폭이 넓은 교량을 설치하면 선박의 통항 안전성 측면에서는 유리하겠지만, 지형적인 특성이나 경제성 측면 때문에 충분한 항로폭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선박통항 안전성과 경제성 간에 트레이드 오프(trade off) 관계가 있는 해상교량을 설치하기 위해서, 선박통항 안전성 면에서 고려되어야 할 요소를 해상교통공학적인 측면에서 조사ㆍ검토하고, 그 요소들을 평가하여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해역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상교통공학적인 측면에서 해상교량 아래로 통항하는 선박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교통요소 중 첫 번째 단계로 통항교통량과 선박 크기를 검토 요소로 하여 주교각폭을 변수로 해상교통류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하여 조선 곤란성 측면에서 선박의 크기별로 평가하였다. From the viewpoint of navigation safety, it would be best if it’s possible to build a bridge whose mains span is wide enough, however, sometimes it may not be possible due to geographical or economic reason. To construct the bridge on the shipping route, consideration factors for marine traffic safety must be investigated and examined from the viewpoint of marine traffic engineering. This study aims to secure marine traffic safety and maintain smoothly traffic flow through assessment of these factors. As the first step, examination factors such as traffic volume, ship size and bridge width were assessed quantitatively using marine traffic flow simulation technique.

      • KCI등재

        응용 및 융합 기술 : 사물 인터넷 기반 텔레케어 시스템을 활용한 실버 세대의 활동량 분석

        박영수 ( Young Soo Park ),박경용 ( Kyoung Yong Park ),김민선 ( Min Sun Kim ),이승엽 ( Seung Youp Lee ),서정욱 ( Jeong Wook Seo ) 한국항행학회 2015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19 No.1

        본 논문은 실버 세대에게 양질의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텔레케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활동량 감지기를 포함한 각종 센서와 사용자 휴대용 응급호출기,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는 응급전화기와 텔레케어 서비스 플랫폼인 서버로 구성된다. 특히 활동량 분석을 위해 활동량 인덱스라는 계량화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수집된 일간/주간/월간활동량 정보를 통해, 실버세대 마다 활동 패턴을 도출하고 변화 감지를 통해 이상 상황을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In this paper, a novel Internet-of-things (IoT) based telecare system is proposed to provide high-quality care services to silver generations. It consists of various sensor nodes including activity sensors, wearable emergency pagers, emergency telephone as a home gateway, and a server as a telecare service platform. Especially, an activity index as a qualification method is presented to analyze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By using the activity index, the daily/weekly/monthly activity information can be obtained, from which we infer the activity pattern, notice the abrupt change of the activity, and take appropriate actions in abnormal situations.

      • KCI등재

        블루투스 비콘 센서 노드를 활용한 스마트 안전 계측 시스템 설계

        박영수 ( Young-soo Park ),박창진 ( Chang-jin Park ),조선희 ( Sun-hee Cho ),박경용 ( Kyoung-yong Park ),김민선 ( Min-sun Kim ),서정욱 ( Jeongwook Seo ) 한국항행학회 2017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21 No.1

        본 논문은 오래된 옹벽과 같은 건축물이나 잠재적 위험을 내재한 건설 및 토목 구조물 등에 부착 가능한 블루투스 비콘 센서 노드를 활용하여 위험감지 및 대피/대처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는 스마트 안전 계측 시스템을 설계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블루투스 비콘을 활용하여 비콘이 설치된 지점의 가속도, 자이로, 지자계, 압력/고도, 온도/습도 등의 다양한 센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위험 감지, 예측, 경고 등의 다양한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다. 제안한 시스템의 실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필드 테스트를 수행하였으며 옹벽의 변위값이 허용변위 38.5 mm 내에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designs a smart safety measurement system with Bluetooth beacon sensor nodes that can provide risk detection and evacuation/countermeasure services. The Bluetooth beacon sensor nodes is easily able to be attached to old building wall or construction or civil structure with potential danger. The proposed smart safety measurement system transmits various sensor data such as acceleration, gyroscope, geomagnetic, pressure, altitude, temperature, humidity at the spot where Bluetooth beacon sensor nodes are installed, and we can use them for risk perception, prediction, and warning service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system, we performed filed tests which showed that measured displacement values of precast retaining walls were within the permitted displacement value of 38.5 mm.

      • 신뢰성 기반 초 내열 내식 합금의 용접과 기계적 특성 평가

        박영수(Yong Soo Park),유정수(Jung Soo Ryu),함효식(Hyo Sik Ham),조상명(Sang Myung Cho),배동호(Dong Ho Bae) 대한기계학회 2010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0 No.5

        In this paper, electrochemical corrosion and corrosion fatigue crack growth characteristics of a multi-pass welded A106 Gr B steel pipe were assessed in a 5.0 wt% NaCl solution that was saturated with H₂S gas at room temperature. Two crack measurement techniques, the DCPD method and strain gage method were applied and compared their usefulness. From the results, corrosion rate increased with applied current increase, and corrosion fatigue crack growth rate in corrosion environment was larger than that of in air. Comparing two crack measurements, the strain gage method was more effective than the DCPD method because the DCPD method was variable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applied curr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