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양·수상 스포츠 진흥을 위한 경정 수익금 환원에 관한 연구

        박영수,이상일,Park, Young-Soo,Lee, Sang-Il 해양환경안전학회 2013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9 No.1

        해양 수상 스포츠를 즐기는 국민은 1인당 국민소득 증대, 주 5일제 근무 등의 여가시간의 증대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에 대한 안전 의식 및 장비의 발전 등은 걸음마 단계이다. 우리나라 해양 수상스포츠가 발전하고 선진스포츠로서 자리 매김하기 위해서는 정착화된 시스템으로 재원을 마련해야 한다. 이 재원을 이용하여 해양 수상스포츠의 안전을 확보하고, 국내 장비의 기술 개발에 투자한다면, 해양 수상스포츠는 보다 안전하고 즐거운 스포츠로서 국민들에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재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해양 수상 스포츠 중 유일한 수익금이 발생하는 경정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였으며, 우리보다 60년 앞선 일본의 경정 수익금 환원방안 및 법적 구조를 비교 분석하여, 선박 등 진흥을 위한 전문기관 설립 및 재원확보를 위한 경륜경정법 분리 등과 같은 법적 개선 방안에 대하여 정책 제안을 하고자 한다. It is expected to continue to increase the number of people who enjoy marine and water sports due to the increase of leisure time because of income increase, the five-day workweek, etc. However, in the safety awareness, the development of equipment is just in the early stage. Established system for fundraising is required for Korean marine and water sports to be developed first. Should the fund be spent on the safety and development of domestic equipment for marine and water sports, it would make for a safer and more enjoyable sports for the people. The profit return measures of motor boat race, among marine and water sports, are surveyed and analyzed to suggest the measures stated above. Japanese legal structure and the profit return measures on motor boat race, which are about 60 years ahead than Korean systems, were analyzed and led to suggest the establishment of professional institutions which promote motor boat, etc. and the legal improvement for funding.

      • KCI등재

        선박운항자 의식 기반 충돌 위험도 예측 모듈 개발에 관한 연구

        박영수,박상원,조익순,Young-Soo Park,Sang-Won Park,Ik-Soon Cho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9 No.3

        우리나라 항구 주변에는 입․출항하는 선박으로 인하여 해상교통흐름이 복잡하다. 이러한 선박통항의 안전과 효율성을 증진하기 위 해 우리나라에서는 해상교통관제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24시간 쉴 틈이 없는 해상교통 관제사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관제구역 내에서의 충돌사고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위험 상황이 약 20분에 1회씩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그 위험성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고는 선박운항 및 해상교통관제 정보 제공 시 충돌 위험에 대한 안전 기준을 적시에 제공함으로써 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되었 다. 이에 본 연구는 선박의 충돌위험도를 선박운항자의 관점에서 평가할 수 있는 모델을 이용하여 그 위험을 선박의 속도, 침로 등을 조정하여 각 교통 상황별 충돌 위험도를 사전에 예측 할 수 있는 위험도 예측 모듈을 개발하였다. 이 모듈을 이용하여 선박운항자 및 관제사는 복잡한 교통 상황에서 위험요소를 쉽게 식별 할 수 있어, 가까운 장래의 위험 정도의 변화를 선박침로 및 속력변경 등을 제시할 수 있는 등의 적절한 피항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 모듈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부산항 해역을 대상으로 조우 상황별 위험도를 예측 후 구체적인 침로 및 속력 변경에 따른 위험도 변화를 식별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In ports of Korea, the marine traffic flow is congested due to a large number of vessels coming in and going out. In order to improve the safety and efficiency of these vessels, South Korea is operating with a Vessel Traffic Service System, which is monitoring its waters for 24 hours. However despite these efforts of the VTS (Vessel Traffic Service) officers, collisions are occurring continuously, the risk situation is analyzed that occurs once in about 20 minutes, the risk may be greater. It investigated to reduce these accidents by providing a safety standard for collision danger in a timely manner. Thus, this study has developed a risk prediction module to predict risk in advance. This module can avoid collision risk to adjust the speed and course of ship using a risk evaluation model based on ship operator's risk perspective. Using this module, the ship operators and VTS officers can easily be identified risks in complex traffic situations, so they can take an appropriate action against danger in near future including course and speed change.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module, this paper predicted the risk of each encounter situation and confirmed to be capable of identifying a risk changes in specific course and speed changes at Busan coastal water.

      • KCI등재

        선박운항자 안전 의식에 기초한 선박통항 최소 이격거리에 관한 연구

        박영수,정재용,김종성,Park, Young-Soo,Jeong, Jae-Yong,Kim, Jong-Sung 해양환경안전학회 2010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6 No.4

        해상에서의 선박운항자는 선박을 운항 중 장애물 혹은 타선에 대하여 적정한 이격거리를 두고 항행하고 있다. 다시 말해 시정 상태, 풍속, 조류 등에 따라 선박 전 후 거리, 좌 우현 정횡거리를 주관적인 안전 의식에 근거하여 이격하여 통항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통항 선박 간 최소 안전이격거리 개념을 1980년대 초 외국에서 조사된 자료로 사용하고 있고, 항계 내(제한수로)와 항계 밖의 통항 선박의 안전거리가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구분 없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선박 조종학적 안전거리는 선박 전후 거리보다는 선박 측면거리가 중심이며, 선박 종류에 따라 최소 안전이격거리가 상이하지만 고려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상황에 따른 선박운항자의 안전 의식을 고려한 적정 이격거리를 정량화하여 해상교통안전성 평가모델의 충돌 판정 영역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고, 우리나라에 적합한 해상교통 혼잡도 모델 개발 및 상황 선박별 해상교통관제에 필요한 가이드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시정이 양호한 주간의 경우 선수전방 4.4 L, 선미후방 3.1 L, 정횡 2.6L로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최소 안전이격거리와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시정 및 주야간 등과 같은 파라미터를 다양하게 고려하였다. Vessel Operator has been navigating with subjective sate distance in accordance with night & daytime, fore & aft, port & stbd abeam and visibility situation. This sate distances may different depending on inside & outside harbor limit, current, wind and visibility situation. By now, the concept of proper sate distance between navigating vessels has been adopted in Korea, using the early 1980's foreign data. And the safe distance is being used with the same value without any consideration of inside & outside harbor and the kind of vessel. So it is necessary to evaluate or search proper distance concept based on different sate consciousness of Korean manners. This paper aims to develop the basic model for marine traffic evaluation and the new model of marine traffic congestion. Also this paper proposes the basic control guideline of vessel traffic service center.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minimum sate distance should be 4.4L forward, 3.1L aft and 26L abeam in case of good visibility in daytime, considering various parameters such as visibility, day and night. Some differences Here found between the existing minimum sate distance and the new minimum sate distance derived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 KCI등재

        Developing a Program to Pre-process AIS Data and applying to Vung Tau Waterway in Vietnam - Based on the IWRAP Mk2 program -

        박영수,박진수,정재용,Nguyen, Xuan Thanh,Park, Young-Soo,Park, Jin-Soo,Jeong, Jae-Yong 해양환경안전학회 2013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9 No.4

        IWRAP 프로그램은 수로에서의 위험성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프로그램이다. 그러나 이 프로그램의 기본 버전의 경우 AIS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능이 포함되지 않아서, 더구나 베트남과 같은 개발도상국에서는 해상교통량 통계 데이터가 없는 실정이다. 사용자들은 수동으로 준비하여 입력하여야 한다. 이 연구는 IWRAP Mk2 프로그램 기본 버전을 사용하는데 있어 AIS 데이터를 전처리(pre-process)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선박 형태, 선박 크기, 통과 시간 등으로 분류한 통항로에서의 선박 통항 척수 및 항로 배치와 같이 해역 내 해상교통에 관한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고안되었다. 이렇게 개발된 통합 AIS 프로그램(Total AIS, TOAIS)은 베트남 Vung Tau 해역의 AIS 수집 데이터를 전처리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 통합 AIS 프로그램에서 전처리한 데이터를 이용한 IWRAP 프로그램은 베트남 해역의 위험성을 효율적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The IWRAP program (Inland Waterway Risk Assessment Program) is a useful program for risk assessment of a waterway. However, in the basic version, the function which is used to import AIS data is not included. So users have to prepare the data and input to the program manually. And not all waterways have enough statistical data about passing vessels especially in developing countries as Vietnam. This paper studies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to pre-process AIS data for using the IWRAP Mk2 program basic version. In addition, it provides users basic information about marine traffic in a waterway such as routes layout, number of passages at a gate classified by type, size and time. The developed program, named TOAIS (Total AIS), was successfully used to pre-process AIS data collected in the Vung Tau waterway-Vietnam. As a result, the IWRAP Mk2 program basic version using data pre-processed from TOAIS could effectively assess the risk of collision in this waterway.

      • KCI등재

        실습선을 이용한 선박 조우형태별 위험도 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실습 교육자료 개발

        박영수,이윤석,Park, Young-Soo,Lee, Yun-Sok 한국항해항만학회 2008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2 No.1

        해양계열 대학에서는 STCW협약에 의거하여 항해계열 실습생은 1년 동안 승선실습을 대학 실습선 및 해운선사를 통한 위탁실습을 수행하고 있다. 한국해양대학교 및 목포해양대학교는 실습 교육프로그램에 의거하여 학기별 약 4${\sim}$5회의 연안 항해 실습과 1회 정도의 원양항해 실습을 진행하고 있다. 실습교육 프로그램에는 초급항해사에게 필요한 위치결정능력, 해도작업능력, 국제해상충돌방지규칙을 포함한 선박운항능력, 화물관리능력 등과 같이 많은 내용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초급항해사에게 항해 중 가장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충돌 회피를 위한 선박조종 실습은 안전운항에 대한 법적 책임 및 타선박과의 불규칙한 조우로 인해 직접적인 충돌회피 조종 실습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타 선박과의 조우하는 상황 자체가 극히 제한되어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한국해양대학교 실습선 한나라호의 원양항해 중 타선박과의 조우형태를 조사하여 해양계열 대학 실습생 및 초급 항해사에게 실제 해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조우상황별 위험도를 분석하여, 이를 기초로 충돌 회피를 위한 효율적인 판단 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 실습교육 자료를 개발하고자 한다. 그리고 추후에는 이러한 자료를 선박조종시뮬레이터 적용하여 임의의 조우 상황 하에서 안전한 선박조종이 가능하도록 교육 훈련함으로서 보다 효율적인 실습 교육에 이바지 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e maritime universities, cadets of deck part should practice on board training using training ships of university or merchant vessels of company for 1 year according to STCW Convention. For training period, trainees are educated many education items as to positioning ability, chart work ability, vessel operation ability and cargo operation ability etc. Among many abilities, vessel avoiding ability which is demanded as a basic ability for deck officer can't be gained easily, because avoiding maneuver of ship controlled by cadets is not allowable regally and encounter situations occur randomly. This paper investigated CPA to the various encounter types with other vessels during the ocean going navigation of T.S Hannara. We analysis danger degree per each encounter type, and proposed a basic material of efficient training education about proper look-out and avoiding maneuver.

      • KCI등재

        알루미늄 에칭액으로부터 베마이트 분말 합성

        박영수,위인희,조우석,김진호,황광택,Park, Young-Soo,Wui, In-Hee,Cho, Woo-Seok,Kim, Jin-Ho,Hwang, Kwang-Taek 한국결정성장학회 2012 한국결정성장학회지 Vol.22 No.6

        알루미늄 에칭 폐액으로부터 boehmite(AlOOH) 분말을 합성하였다. 폐액에서 침전되어 있는 결정상은 gibbsite ($Al(OH)_3$)였으며, 산을 이용하여 pH를 조절한 결과 pH가 7~8 영역에서 boehmite 결정상이 얻어졌다. 침전 분말에 남아 있는 Na 이온을 제거하고자 세척공정을 진행하여 boehmite 분말을 얻었다. 합성한 분말의 평균입경은 약 40 nm이었다. 또한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boehmite는 ${\gamma}-Al_2O_3$와 ${\delta}-Al_2O_3$, ${\Theta}-Al_2O_3$를 거쳐 ${\alpha}-Al_2O_3$ 결정상으로 상전이가 일어났다. Boehmite (AlOOH) powder was synthesized using waste aluminium etching solution. In waste solution, precipitated phase was gibbsite ($Al(OH)_3$), and boehmite (AlOOH) phase was obtained at pH of 7 and 8 controlled by addition of acid. Boehmite powder was obtained by washing process to remove the Na ion in precipitated solution. Mean particle size of obtained powder was 40 nm. Boehmite phase transformed to ${\alpha}-Al_2O_3$ phase via ${\gamma}-Al_2O_3$, ${\delta}-Al_2O_3$, and ${\Theta}-Al_2O_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