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왼팔 보강 트레이닝이 중년여성 골퍼의 비거리 및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박영민,김의수 한국운동과학회 2003 운동과학 Vol.12 No.3

        박영민, 김의수. 왼팔 보강 트레이닝이 중년여성 골퍼의 비거리 및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12권 계3호, 541-550, 2003. 본 연구는 골프를 즐기는 대다수 계층 중 생활의 활력을 찾으려는 중년여성골퍼의 수가 증폭하고 있고, 골프 대중화는 앞당겨지고 있는 데 반해 그들의 골프운동에 대한 인식이나 방법적인 면에서는 몸(신체)의 상태는 고려하지 않고 그릇된 많은 연습량과 볼을 맞추는 데만 급급한 사정을 조금이나마 해소하는 것과 몸의 좌ㆍ우 균형을 맞춘다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왼쪽 근육보다 오른쪽 근육이 발달한 데서 기인한 문제점들이 몸의 좌ㆍ우 균형을 틀어지게 했고 골프운동에서도 잘못된 운동습관을 만들고 있다. 특히, 전체 스윙 과정 중 백스윙시에 발생되는 오른팔과 어깨 들림, 오른손의 당김 현상이 가장 큰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 왼팔 백스윙 보강 트레이닝을 중년여성들로 하여금 수행하게 함으로써 골프 드라이버 샷 비거리와 정확성(그린 적중률)에는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실험절차는 만 40세 이상인 중년여성 16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8명씩 무작위 선정하여 실험집단은 8주 동안 왼팔 백스윙 보강 트레이닝을 수행하게 하였고 통제집단은 기존의 기술적인 연습방법만을 수행하게끔 했다. 실험집단의 전ㆍ후 비거리와 정확성의 차이, 통제집단의 전ㆍ후 비거리와 정확성의 차이를 반복적 측정 t-검증으로 유의한 차이를 알아보았다. 1. 실험집단의 백스윙 보강 트레이닝 수행 전ㆍ후의 비거리 및 정확성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통제집단의 기존 연습 방법 수행 전ㆍ후의 비거리 및 정확성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들로 볼 때, 왼팔 백스윙 보강 트레이닝의 수행으로 볼의 비거리 및 정확성(그린 적중률)에 미치는 유의한 영향에 있어서는, 중년여성골퍼뿐만이 아니고 나이가 들어서 왼쪽 근력에 비해 오른쪽이 강해 골프의 잘못된 운동수행을 하는 경우에도 왼쪽 백스윙 보강 트레이닝은 경기력에 좋은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앞으로 후속 연구에서는 골프 스윙의 구성 중 상체의 왼팔 백스윙 구간의 보강 트레이닝뿐만 아니라 왼쪽 하체의팔로스루(Follow through)와 피니시(finish) 구간의 보강 트레이닝을 더한다면 좀더 심도있는 연구가 될 것이고, 트레이닝을 통제할 수 있는 보다 많은 피험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좀더 신뢰성 높은 실험연구가 될 것이라 사료된다. Park, Y.M., Kim, E.S. The Influence of Left Back Swing Reinforcement Training on the Distance and Accuracy of Middle-aged Women. Exercise Science, 12(3): 541-550, 2003. There is the increasing number of middle-aged women golfer, which result from new life style and the recent popularity of golf. In spite of the recent trend, there are little changes regarding the recognition of a golf and the method of golf training. This research has two main focuses. First, the research concentrates on the wrong method of training. For example. most of middle-aged women tend to practice without consideration the balance of a body and only simply hitting balls. Secondly, it's to correct the balance of a body. we mostly use right-hand muscle in many activities such as daily life, labour, playing tennis, playing badminton and so on. Right-hand muscle has been, therefore, developed much more. It results in the unbalance of a body and bad habits on playing golf. Especially, the phenomenon of lifting right arm, shoulder and the phenomenon of drawing right-hand, happening in backswing, are serious problems. When middle-aged women train the left back swing training, the training analyse effect on the distance of drive shot and accuracy. We divided middle-aged women golfers into two groups; a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ast group. Each group has 8 people whose ages are more than 40. The experimental group did a training for left-hand back swing for 8 weeks. The contrast group did training as they usually did. We could see some difference of the flying distance and accuracy of the experimental group or the contrast group by a counterpart specimen t-verification. 1. There is some difference in the result of the flying distance and accuracy after the training for left-hand back swing of the experiment group. 2. There is little difference in the result of the flying distance and accuracy after the training as they usually did. We can see that the training for left-hand back swing has an effect on the flying distance and the accuracy. According to these results, People(not only middle-aged women but old people lacking of physical strength who do exercise in wrong way) would have a good result at a match. If we add the training for the left lower part of the body(Follow Through to Finish) to a next research, it will be a deeper research. It will be also a more reliable research on condition that we experiment with more specimens.

      • KCI등재

        예비국어교사의 쓰기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박영민 한국국어교육학회 2007 새국어교육 Vol.0 No.75

        The Factors Involved in Writing Motivation of Korean Language Prospective Teachers 국어교사의 심리적 요인은 학생의 교수-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임에도 불구하고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쓰기와 같이 학생들의 학습 의욕이 낮은 영역은 교사 요인의 영향이 더 크므로 이에 대한 연구와 교육적 조치가 강구되어야 한다. 이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예비국어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쓰기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H대학과 K대학의 국어교육과 2~3학년 학생 94명을 표집하여 연구 대상으로 삼았고, 이의 특성을 부각하기 위하여 다른 교과의 예비교사 61명 및 초등학교의 예비교사 67명을 비교하였다.예비국어교사의 쓰기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쓰기 효능감, 쓰기 흥미, 노력, 다른 사람의 인정, 의무감, 상호작용, 쓰기 습관으로 분석되었다. 이 요인은 전체 설명 변량이 71.82%이며, 제1요인인 쓰기 효능감은 전체 설명 변량이 35.562%로 나타났다. 쓰기 동기 영향 요인 중 의무감은 다른 요인과 상관도가 낮거나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관련 요인의 특성을 부각하기 위하여 남녀 차이와, 다른 교과의 예비교사 및 초등학교 예비교사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전자에서는 쓰기 습관에서만, 후자에서는 노력 요인에서만 차이가 발견되었다. 노력 요인에서 예비국어교사가 초등학교 예비교사보다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예비국어교사와 다른 교과의 예비교사 사이에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 KCI등재

        일측성 청력 감소를 동반한 반복된 어지럼 환자의 청력도에 따른 임상양상의 차이

        박영민,김동현,김봉직,이정구,정재윤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15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두경부외과학 Vol.58 No.3

        Background and Objectives Low frequency hearing loss is known to be the most common hearing loss form in Meniere’s disease (MD) and episodic dizziness with low frequency sensorineural hearing loss is considered a very crucial symptom for the diagnosis of MD. However, flat or high frequency hearing loss is also commonly encountered in the Ear, Nose and Throat clinic.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clinical manifestation between episodic dizzy patients with low frequency hearing loss (LFHL) group and non-low frequency hearing loss (non-LFHL) group. Subjects and Method We reviewed medical records of 78 patients (36 of LFHL group and 42 of non-LFHL group) who had episodic dizziness with unilateral hearing loss and analyzed clin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hearing loss pattern. Results The clinical features of LFHL include a predominance of female sufferers, high incidence of tinnitus and short duration of dizzines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requency, nature of dizziness, and results of vestibular function test. Although the proportion of patients diagnosed with definite MD was higher in LFHL group at initial and final diagnosi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Therefore, when episodic dizziness is accompanied with unilateral hearing loss, not only low frequency but flat or high frequency hearing loss could be considered as a critical sign for possible progression to Meniere’s disease and careful observation should be taken.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노동조합 가입 의향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노조 도구성 및 필요성 인식을 중심으로

        박영민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024 한국사회복지행정학 Vol.26 No.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perceived union instrumentality on their intention to join a union, alongsid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erceived need for a social welfare union among social welfare institution workers, including social workers. This study also examined whether these effects could differ by the size of institutions by analyzing the 2023 Social Worker Survey data collected from 475 non-union members. The data were administered by the Social Welfare Local of the Korean Public Service and Transport Workers’ Union(KPTU). Drawing on theories on the intention to join a union, the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micro-level factors.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perception of union instrumentality based on the expected utility theory, and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intention to join a union. In addition, this study controlled for variables such a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presence of a union.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indicated that perceived union instrumentality had no direct effect on the intention to join a union. However, the perceived need for a social work un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union instrumentality and the intention to join a union. SEM multigroup analysis also showed that large institutions with 30 or more workers had stronger path coefficients than smaller institutions. Contrary to previous studies, the effect of social workers' perceptions of union instrumentality was not straightforward and influenced by the distinct contexts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In addition, the demand and supply variables related to unionization were not significant factors of the intention to join a union.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for facilitating the unionization of social workers in ambiguous subordinate labor relationships.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를 비롯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노조 도구성 인식이 노동조합 가입 의향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복지노조 필요성 인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며, 시설 규모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전국공공운수사회서비스노조 사회복지지부가 실시한 2023년 사회복지노동자 실태 및 인식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비조합원 475명의 응답을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노조 가입 의향에 관한 이론을 고찰하였으며, 미시 차원의 이론을 중심으로 연구를 설계하였다. 독립변수는 기대효용이론에 근거한 노조 도구성으로, 종속변수는 노조 가입 의향으로 설정했다. 또 사회복지노조 필요성 인식을 매개변수로 두고, 인구사회학적 속성 및 시설 특성, 노조 공급 차원의 변수를 통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기반으로 분석한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조 도구성 인식은 노조 가입 의향에 직접효과는 없었으나, 사회복지노조 필요성 인식을 거쳐 노조 가입 의향에 간접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다집단 분석 결과, 소규모 시설에 비해 30인 이상 시설 종사자들에게서 더욱 강한 경로계수가 발견되었다. 선행연구와 달리 사회복지사의 노조 도구성 인식은 직관적으로 설명되기 어려우며 사회복지시설의 특수한 제도적 환경이 반영되어 있다. 또 노조 가입에 관한 수요, 공급 차원의 변수들은 노조 가입 의향을 예측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모호한 사용종속 관계에 있는 사회복지사들의 노동조합 활동과 관련하여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Surgical Technique for the Functional Preservation of the Inferior Parathyroid Glands

        박영민,이석환,이병주 대한갑상선학회 2016 International Journal of Thyroidology Vol.9 No.1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inferior parathyroid glands receive their blood supply from the inferior thyroid artery. The anatomic relationship of this artery and the recurrent laryngeal nerve can assume three different patterns. To maintain the vascular supply of the inferior parathyroid glands during central neck dissection, we considered the anatomic relationship of these structures in our surgical approach. Materials and Methods: Fibrofatty tissue in the central neck compartment was removed by dissection proceeding along the recurrent laryngeal nerve. During the dissection, care was taken not to injure the vascular supply of the inferior parathyroid gland. Results: For an inferior parathyroid gland that receives its blood supply from the posterolateral vascular pedicle, preservation is achieved by performing the dissection along the recurrence laryngeal nerve on the gland’s medial side. In patients in whom the inferior thyroid artery travels deep to the right recurrent laryngeal nerve, such that the right parathyroid gland receives its blood supply from the posteromedial vascular pedicle, central neck dissection should be performed carefully along the lateral side of the gland to preserve the pedicle. Conclusion: Preservation of inferior parathyroid gland function requires a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anatomic relationship between the inferior thyroid artery and recurrent laryngeal nerve. The direction of the dissection along the nerve should be adjusted according to its anatomic relationship to the inferior thyroid artery.

      • KCI등재

        사설시조 연구의 현황과 전망

        박영민 한국시가학회 2024 韓國 詩歌硏究 Vol.60 No.-

        본고는 2000년 이후 사설시조 연구의 성과를 종합함으로써 2000년 전후로 제기된 성찰과 전망이 사설시조 연구를 어떻게 바꾸어 놓았는지 고찰하고 앞으로 유념해야 할 사설시조 연구의 과제를 도출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시학과 미의식 분석에 기반하여 장르적 성격을 도출한 연구는 사설시조가 조선 후기의 일상과 경험, 감각과 인식, 감정과 욕망 등을 어떻게 언어화했는지 묻는다. 이 논의는 결과적으로 리얼리즘 개념을 환기하므로 리얼리즘 이론을 확대 적용할 가능성을 모색할 필요가 있었다. 그 결과, 인식의 방법으로서 총체성 개념에 기반하여 은폐된 상태에 놓인 무언가를 재현하려 하는, 이러한 문학적 재현을 토대로 당면한 현실을 부단히 갱신하려 하는 리얼리즘의 지향이 드러났다. 여기에 비추어 사설시조가 자기 시대를 어떻게 언어화했는지, 어떻게 새로운 세계를 열어 보였는지 끊임없이 재해석해야 한다는 결론에 다다랐다. 조선 후기 문학에 대한 리얼리즘적 탐색이 요청되는 것이다. 여성적 형상과 목소리에 비추어 여성의 삶과 욕망을 고찰하려 한 논의에서는 사설시조에 나타난 애욕과 성 담론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하는 점이 문제가 되었다. 그런데 이 논점은 사설시조가 지닌 익명성을 간과한 채 남성 아니면 여성, 상층 아니면 하층 등의 구도로 그 담당층의 성격을 재단한 데서 비롯한 듯하다. 따라서 텍스트 내에서 언어가 짜이는 방식, 즉 담론을 분석하여 담론 형성에 관여한 주체의 성격과 주체가 대상과 맺는 관계를 도출할 것을 제안했다. 사설시조를 열린 텍스트로 간주하여 애욕과 성이 언어화되는 과정을 고찰할 때 조선 후기 여성의 삶과 욕망이 남긴 흔적을 찾아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설시조를 둘러싼 주체성의 문제를 더욱 풍부하게 논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한다. 가집이나 악곡 이해에 기반을 둔 문화사적 접근은 사설시조가 무엇을 어떻게 노래한 장르인가 하는 물음에 미시적으로 답한다. 특히 「만횡청류」를 기존의 가곡과 전혀 다른 양식의 노래로 보아 도시 상공업자와 하급 예능인을 중심으로 향유되던 노래가 『 청김 』이 편찬된 이후 가곡 문화 안으로 편입되었다고 하는 주장과 「만횡청류」가 다양한 성격을 지닌 노래의 집합인 것은 인정할 수밖에 없으나 그렇다 하여 그것이 가곡이 아니라는 증거를 찾기는 어렵다는 반론이 팽팽하게 맞섰다. 「만횡청류」의 유래와 가치를 어디에서 찾을 것인가 하는 논점이 새롭게 마련되었으며 악곡 및 사설의 분화 과정과 둘 사이의 연관을 파악하기 위한 단초가 서서히 그 모습을 드러내는 중임을 염두에 두면서 사설시조의 사적 추이를 재서술하기 위한 미시사적 탐색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 2000년 이후의 사설시조 연구는 문학적 실질을 분석하는 다양한 방법을 보여 주면서도 조선 후기 문학에 대한 리얼리즘적 탐색과 담론 분석에 기반한 주체성의 도출, 사적 추이 고찰을 위한 미시적 접근을 요구했다. 미시적 관찰과 거시적 통찰을 아울러 그 언어와 담론을 파악함으로써 사설시조의 장르적 성격은 물론 이행기의 사회상을 더욱 입체적으로 고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reviews the achievements of Saseolsijo(辭說時調) studies since the year 2000. It aims to derive future research tasks for Saseolsijo studies by examining how reflections and prospects raised around the year 2000 have transformed the field. Discussions that considered the genre’s nature based on poetics and aesthetics question how Saseolsijo articulated everyday life, experiences, sensations, perceptions, emotions, and desires of the late Joseon period. This discourse ultimately suggests the ne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broadening the concept of realism, as there are points where it intersects with realism. As a result, it derived a realism-oriented approach that constantly renews the present reality by representing something concealed, based on the concept of totality as a method of perception. Based on this, it proposes that the way Saseolsijo articulated its era and opened up new worlds should be continuously reinterpreted. In discussions that attempted to examine women’s lives and desires based on feminine shapes and voices, the question became how to evaluate the discourse on love and sex shown in Saseolsijo. However, this issue seems to stem from judg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sible layer by overlooking the anonymity of Saseolsijo and framing it within binaries such as male or female, upper or lower class. Therefore, it suggested deriving the nature of the subject involved in forming discourse and the relationship the subject has with the object by analyzing how language is structured within the text, i.e., the discourse. It anticipates that considering Saseolsijo as an open text and examining how women’s lives and desires are articulated can enrich the discussion on subjectivity. The discussion that approached cultural history based on the analysis of collections or music answers the question of what and how Saseolsijo sang on a micro level. Particularly, the claim that Manhoengcheong-ryu(蔓橫淸類) was seen as a song of a completely different style from existing Gagok(歌曲, traditional songs) and was enjoyed by urban merchants and low-ranking entertainers before being integrated into the Gagok culture after the compilation of Cheongguyongeon(靑丘永言) has sparked controversy. While it’s clear that it was a collection of songs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the counterargument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evidence that it is not Gagok is also significant. This discussion leads to the issue of re-describing the historical transition of Saseolsijo, suggesting that micro-historical exploration to specify this should continue. Research on Saseolsijo after 2000 has demanded reflections on subjectivity and modernity based on the analysis of realism and discourse, while showing various methods of analyzing the literary substance. This differs from the research trends of previous periods in that it is based on literariness without being swayed by macro-discourses. By examining its language and discourse, combining micro approaches and macro insights, it hopes to more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genre’s nature of Saseolsijo and the societal context of the transitional period.

      • KCI등재

        포신 내경 측정시스템 개선을 통한 공정품질 향상

        박영민,배인화,김상부 한국품질경영학회 2023 품질경영학회지 Vol.51 No.4

        Purpose: The variation of the internal diameters of gun barrel incurs a lot of reworks in gun barrel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 significant quality problem of gun barrel. And it is likely to stem from the current measurement system for the internal diameter of gun barrel and the related manufacturing process as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gun barrel manufacturing process through improving measurement system. Methods: The improved measurement system using laser can measure the internal diameters of gun barrel more accurately, and the properly adjusted honing process reduces the variation of internal diameters of gun barrel. Results: Comparing the mean square error of internal diameters for 6 gun barrels measured before and after process improvement shows that the variation of gun barrel internal diameters was significantly reduced after the process improvement. Conclusion: The introduction of improved measurement system for the internal diameters of gun barrel and the adjustment of related honing process results in the reduction of reworks of gun barrels and their internal diameter variations.

      • KCI등재

        유근의 문예활동과 시세계 연구

        박영민 (사)한국인물사연구회 2011 한국인물사연구 Vol.15 No.-

        The period from the late 16th century to the early 17th century is a time in which excellent literary people performed mu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emplate on the literacy activities and the poetry world of Guen Yoo who was in charge of the literacy spirit (文風) as a Daejaehak and Wonjeopsa. After walking into the path of a government official at the age of 24, Guen Yoo is a government official and literary person who had experienced the political and social turbulent era for almost 50 years until he passed away at 79. In the 1590s during which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in 1592 and 1597 occurred, he searched for ways to overcome the suffers from the wars as a Doseungji. After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in 1592 and 1597, in 1600s, Guen Yoo was in charge of being responsible for the literacy spirit and diplomatic documents of Joseon usually as an envoy, Wonjeopsa, and Munhyeong. Although it is important for an envoy or Wonjeopsa to Jeondae at the diplomatic sites, it is also crucial to treat the other envoys and possess an ability as a literary person to send and receive poetry and prose. As an ambassador, Guen Yoo treated the Chinese envoys smoothly. He also sent and received the poetry and prose properly. Consequently, he became more renowned as a literacy person. In particular, it is notable that the poetry of the Wonjeopsa Guen Yoo's party was published as 『Dongbanghwaeum』 in China in 1606. Guen Yoo, who had represented the diplomatic documents and literacy spirit of Joseon in the early 17th century as a Wonjeopsa, was evaluated as the one who formalized accompanying a Jesulgwan when greeting the Chinese envoys. When he was in the position of a Daejaehak, Guen Yoo was in charge of selecting poems of Joseon poets and completed publishing the poets into a 『Donginsibu』. Guen Yoo played a crucial role in writing official documents of diplomacy, advocacy, and the government not only in the 1600s but also in the 161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