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미세먼지 위험 예방행동 영향요인 : 건강신념모델 적용

        최순옥(Choi Soon Ook),박언아(Park Eu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본 연구는 비실험연구로, 대학생의 미세먼지 위험에 대한 예방행동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후향적 서술적 단면조사연구이다. 방법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1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1-4학년 학생으로 보건계열 120명, 비보건계열 120명을 포함한 총 240명에게 설문지 배분하였고 이중 응답이 미비한 6명 자료를 제외하고 총 234명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수집은 2021년 5월 27일부터 6월 11일까지 총 16일간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χ2검정,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선형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학생들의 미세먼지에 대한 관심정도, 미세먼지 주의 정보 매체, 미세먼지 예방교육 횟수, 미세먼지 예방행동 교육의 도움 인식에서는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 대학생들의 미세먼지 위험에 대한 지식과 지각된 민감성과 유익성, 자기 효능감, 미세먼지 예방행동 수행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미세먼지에 대한 지각된 심각성과 장애성, 행동계기는 계열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미세먼지 예방행동 수행의 영향 요인으로 계열 관계없이 미세먼지 위험관련 지식과 행동계기가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고 교정된 설명력(adjusted R2)은 전체 46.8%, 보건계열 36.9%, 비보건계열 50.2%이었다. 결론 대학생의 전공계열과 상관없이 다양한 매체를 통해 기본적인 미세먼지 교육을 제공하고 일부 계열별 차이를 나타내는 건강신념의 하부영역인 지각된 심각성과 지각된 장애성, 행동계기에 있어 보건계열의 지각된 장애성을 낮추고 비보건계열 학생들의 지각된 심각성과 행동계기를 높이는 실효성 있는 교육 전략이 제공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대학생의 미세먼지 예방행동에 대한 실효성 있는 교육 프로그램 제공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is a non-experimental, retospective descriptive, cross-sectional study. The purpose of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preventive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on the risk of fine dust.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college students in the 1st and 4th grade at one college in Gyeonggi-do, 120 in health major, 120 in non-health major. 234 responses were used as final analysis data, except for six responses with unfinished questions. The survey period was conducted by online self-enrollment for a total of 16 days from May 27 to June 11 2021.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χ2. test, Pears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WIN 22.0 program.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ealth and non-health majors in the recognition of college students interest in fine dust, fine dust-causing information media, number of fine dust prevention education, and help education on fine dust prevention behavio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sensitivity, benefits, self-efficacy, and the degree of fine dust prevention behavior of health and non-health college students, and perceived severity of fine dust and barriers, cues to a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addition, fine dust risk-related knowledge and cues to action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fluencing in the performance of fine dust prevention actions. The explanatory power of multi-linear regression model(adjusted R2) was overall 46.8%, health 36.9%, and non-health 50.2%. Conclusions Regardless of college students major, it is meaningful to confirm that basic fine dust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hrough various media, and effective education strategies should be provided to reduce perceived barriers of health major students and increase perceived severity and cues to actions of students in non-health major. I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to provide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fine dust prevention actions.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빈곤 여성노인의 연령군별 요실금 중증도 및 관련요인

        최경원(Choi, Kyungwon),박언아(Park, EunA) 한국노년학회 2013 한국노년학 Vol.33 No.2

        본 연구는 빈곤 여성노인의 요실금 중증도를 전ㆍ후기 연령군으로 구분하여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분석자료는 2009년 전국 253개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에 등록되어 낙상예방운동, 영양, 요실금, 약물복용, 우울, 인지기능저하 완화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재가 노인 중 여성노인 4,036명의 기초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은 빈곤 여성노인을 전기와 후기 연령군으로 구분하여 요실금 중증도의 관련요인을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기노인은 허약상태, 만성질환의 수, 왼손 악력, 시각 장애 등 신체기능적 상태를 나타내는 여러 요인들이 관련성을 보인 반면, 후기노인은 허약상태만이 관련성을 보여 전기와 후기노인의 요실금 모두 허약상태와 매우 긴밀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이 신체적, 정서적 기능이 감소되었거나 기능의 쇠퇴가 진행 중인 허약상태일 경우 연령과 관계없이 일반 노인에 비해 요실금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으며 요실금이 있는 노인은 허약상태가 유발되거나 심화될 가능성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노인의 요실금 예방과 관리에 있어 허약상태에 대한 사정과 중재가 필수적이며 허약노인에게 적합한 요실금 관리도 반드시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everity of urinary incontinence and relevant factors according to age in low-income elderly women. The participants were female elders over 65 years of age registered in public health centers.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ing the elders participating in educational programs for fall prevention, nutrition, urinary incontinence, medication compliance, depression and recognition function enhancement.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frail status,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grip strength(left hand), and visual impairmen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severity of urinary incontinence in the young-old(65 to 74 years of age), while only frail status was associated in the old-old(75years of age or older).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frail status is common and crucial factor related to the severity of urinary incontinence of female elders regardless of age. Therefore, the intervention for preventing and getting over urinary incontinence for female elders should be focused on the prevention of progress to frail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