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환락과 환멸 ―1930년대 만요와 재즈송에 나타난 도시의 ‘낯선’ 형상―

        박애경 한국구비문학회 2009 口碑文學硏究 Vol.0 No.29

        With the growth of urban culture the western susceptibility and consumption culture really started to emerge in the 1930’s. The popular songs, which reflects the urban trends became the center of the urban culture in the 1930’s as a result of the golden age of popular music industry. The popular songs of 1930’s shows the traces of crossings heterogeneous constituents. Basically the urban culture in colonial Korea rooted in the colonial experience that promoted to break off the relations with the tradition. The twisted identity of urban culture had impact naturally on the popular song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duality of urban culture of the 1930’s through comic songs and jazz songs. The jazz songs were the hymn of the youth at that time, on the other hand, the comic songs belonged to the subcategory of popular songs that showed the pictures of urban life with the induction of a laugh. It can be said to be that the comic songs and jazz songs indicated precisely the strangeness of urban portraits above the routine customs. However the jazz songs depict the strange images though expressing the passion for the exotic things and the pleasure of night while the comic songs portrayed a true sense of the urban life and men. Even though the jazz songs and comic songs shared the experience of newly emerging urban life, the former describes the enjoyment of youth while the latter reflects the sorrows placed on the other side of urban life. 1930년대는 근대적 도시문화가 성숙해가면서 서구적 감성과 소비문화가 본격적으로 나타난 시기로 꼽힌다. 1930년대 들어 본격적인 전성기를 맞이한 한국 대중가요계는 새롭게 대면하는 도시의 문물과 세태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면서 도시 하위문화의 중심으로 부상하게 되었다. 전통문화에 대한 취향이 남아있는 가운데 새로운 양식과 기술이 이입되어 형성된 1930년대 대중가요에는 모던과 전통, 익숙한 것과 낯선 것, 지배와 일탈이 복잡하게 교차한 흔적이 남아있다. 이 글에서는 식민지라는 왜곡된 경험을 통해 전통과 일정 부분 단절한 채, 도시화의 세례를 받아야 했던 1930년대 도시 문화의 명과 암을 만요와 재즈송이라는 대중가요의 하위 장르를 통해 살펴 보았다. 재즈송과 그 음악적 원천인 재즈는 모던보이와 모던걸의 송가였고, 만요는 어지러운 도시생활과 세태, 그 이면을 ‘웃음’ 속에 담아낸 장르인 만큼, 이전 시기까지 대중가요에서 통용되던 관습의 틀을 넘어서는 ‘낯선’ 면모를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낯선 모습이 재즈송에서는 이국문물에 대한 동경과 밤의 향락으로 나타난다면, 만요에서는 도시의 세태와 좌충우돌하는 군상들의 적나라한 묘사를 통해 그려지고 있다. 이처럼 재즈송과 만요는 도시문화라는 동일한 경험을 바탕으로 하였지만 전자가 일탈적 욕망을 도시의 환락과 쾌락으로 표현한다면 후자는 그 이면의 환멸과 비애를 역설적 웃음을 통해 반추해 낸다고 할 수 있다. 재즈송과 만요는 이처럼 일견 역사적 일상에서 분리된 듯 보이는 낯선 형상을 통해, 역설적으로 식민지 하의 우울한 청춘들의 자화상을 반추해내는 기제로 작동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김태준의 유행가론 연구

        박애경 한국시가학회 2020 韓國 詩歌硏究 Vol.49 No.-

        이 연구에서는 김태준의 유행가론을 살피고, 이를 그의 문학관과 가요관 그리고 동 시대유행가 담론과의 관계 속에서 살피려 한다. 김태준이 국문학 연구 초창기부터 전 분야를섭렵했던 만큼, 그의 국문학 연구와 그 의미에 대해서는 연구 성과가 상당히 축적되어 있다. 그러나 그의 유행가 연구에 대해서는 시가 연구에 부수되어 부분적으로 거론되었을뿐, 그 전모가 충분히 해명되지 않고 있다. 김태준은 193년부터 이듬해까지 조선일보 지면을 통해 연재한 “조선가요개설”에 5회에 걸쳐 유행가 편을 연재하여 유행가에 대한관심을 드러내기 시작하였다. 이 지면에서 김태준이 논증한 유행가는 근대 이후 새롭게불린 동요와 아리랑과 같은 민요로, 문화산업에 의해 전승되는 유행가와는 기본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그는 조선가요개설의 연재를 마친 후 바로 ‘조선의 가요는 어데로’라는 기획물을 통해 동 시대 유행가에 대해 깊이 탐구하고, ‘조선민요의 개념’이라는 연재물을 그 후속으로 연재하여, 유행가와 민요의 관계를 재정립하려 하였다. 그의 유행가론은기본적으로 그의 문학 연구를 지배했던 계급주의적 시각, 한글로 된 시가 문학을 ‘가요’라는 전통 안에서 해명했던 그의 시가관과 무관하지 않다. 이로 보아 김태준의 유행가 연구는 그가 꾸준히 해왔던 국문학 연구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그는 유행가가 세대와 계급, 생활양식을 가르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유행가 개량운동을 생활 내에서 실천할 것을 촉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김태준의 유행가론이 1930 년대 ‘유행가의 시대’의 개화와 관련이 있다고 보고, 당시 생성되기 시작한 유행가 담론과 의 관련 속에서 그가 행한 유행가 연구의 의미를 되짚어 보고자 한다. 아울러 동 시대 평단과 언론에서 제기한 유행가론과의 접점과 간극도 살펴보면서, 김태준의 유행가론이 가지는 동 시대성에 대해 규명하려 한다. 이를 통해 문학연구자 김태준이 조선의 유행가 연구에 미친 파장이 총체적으로 재구되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

      • KCI등재

        유전체 연관 연구에서의 검정력 및 연구대상수 계산 고찰

        박애경,김호,Park, Ae-Kyung,Kim, Ho 대한예방의학회 2007 예방의학회지 Vol.40 No.2

        Power and sample size estimation is one of the crucially important steps in planning a genetic association study to achieve the ultimate goal, identifying candidate genes for disease susceptibility, by designing the study in such a way as to maximize the success possibility and minimize the cost. Here we review the optimal two-stage genotyping designs for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recently investigated by Wang et al(2006). We review two mathematical frameworks most commonly used to compute power in genetic association studies prior to the main study: Monte-Carlo and non-central chi-square estimates. Statistical powers are computed by these two approaches for case-control genotypic tests under one-stage direct association study design. Then we discuss how the linkage-disequilibrium strength affects power and sample size, and how to use empirically-derived distributions of important parameters for power calculations. We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publicly available softwares developed to compute power and sample size for various study designs.

      • KCI등재

        日本 紀行歌辭의 계보와 日本觀의 변모양상

        박애경 열상고전연구회 2006 열상고전연구 Vol.23 No.-

        이 글의 목적은 조선 후기부터 일제 강점기에 사이에 씌여진 세 편의 일본 기행가사를 통해 일본관의 변화를 살피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18세기 저작인 <일동장유가>, 한말 저작인 <유일록>, 일제 강점기에 나온 「東遊感興錄」을 대상으로 삼았다. 일본 기행가사에 나타난 일본관의 의미를 당대 문화적 환경과 관련하여 살피기 위해 먼저 공식적 여행의 체험을 그린 사행가사가 나오게 된 배경을 가사 장르 자체의 변화와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사행가사가 유학자이자 관료인 작가의 공적 여행의 기록인 동시에 조선 지식층의 내면의식을 보여주는 통로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3편의 일본 기행가사는 주권 왕조에서 식민지로 급전직하한 국가 운명만큼이나 달라진 대일관을 보여주고 있다. <일동장유가>가 화이관의 지속을 보여준다면, <유일록>은 화이관의 지속과 균열을 보여주는 동시에 일본에 대한 양가적 시선을 드러내고 있다. 일제 강점기 통치정책의 하나로 시행된 내지 시찰의 경험을 담은 「동유감흥록」은 말할 것도 없이, 식민지 담당자의 의도에 포섭된 자의 시선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렇듯 일본 기행가사에는 조선 후기 이후 달라진 대일 관계와 양국의 지위, 한학과 유학을 하던 조선의 전통적 지식층들이 시대의 변화를 바라보는 관점이 유장한 호흡 속에 나타나 있다. 따라서 일본 기행가사는 일본관 형성의 기저, 조선 지식층들의 대외 인식의 일단을 살피는 시대적 기록으로서의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guire the change of an awareness of Japan through 3 works of Ilbon Kihaeng Kasa (Kasa which discribes the experience of a travel in Japan) written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and in the colonial perio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eals 'Ildongjangyuga(日東壯遊歌)' written in the 18C, 'Yuilrok(游日錄)' written in the late of 19C and 'Dongyugamheungrok(東遊感興錄)‘ written in the colonial period. For analizing the meaning of an awareness of Japan in relation to the cultrural circumstance at that time, this styudy observes the condition for forming Sahaeng Kasa, as the records of the experience of official trip to other contries with a focus on the transformation of Kasa. In addition, this study tries to verificate the fact that Sahaeng Kasa was not only the records of official trip to other contries by the Confucian bureaucrats but also the path to come out their inner consciousness. Each work represents different view of Japan as a consequence of the change of the nation status from a sovereign dynasty to a colony. The meaning of Ilbon Kihaeng Kasa can be summarized as the records of an age which present the origin of a view of Japan as much as the understanding other contries of the intellectuals in Chosun Dynasty.

      • KCI등재

        한국 포크의 ‘도시민요’적 가능성 탐색-1970년대 포크송과 포크문화를 중심으로-

        박애경 한국민요학회 2014 한국민요학 Vol.41 No.-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search the Korean folksong which was introduced in the late of 1960s in terms of urban song.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article will try to look at the genre convention of the folk. With relation to the aspect of the reception in Korea, this article paid special attention to the process that mediates the collective identity as a urban song further. The proactive meaning of the folk could be categorized as the initial forms of popular music that originated in the oral culture. However, the folk as a sub genre of the popular music refers to a music style that shared the genre conventions of oral songs. The folk has been representing the daily life and emotion of young generation becoming established as a folk song singing with acoustic guitar in Korean cultural perspective. While acting on the major boundary separating the generation from the moment it is introduced into the South Korea, folk songs contributed to the flowering of youth culture in the 1970s. The primary face of folk songs as “urban song” is starting from the viewpoint of fellow culture of urban youth generation. Folk song as a “youth culture” has visualized the “difference” concerning on the generation, region and class in combination with the lifestyle of youth generation. In addition the university campus, live salon in downtown and the Christian institutions was showing the appearance characteristic of the urban community. Apparently these kinds of place could be called as the infrastructures of folk song as well. The face of folk song as a “urban song” is most pronounced in its political practice. It could be said that the folk song has practised the political value. This article focuses to the fact that the youth generation realized their value and daily life through sharing the cultural taste of their fellow groups. Whether it was intended or not, it can be said that they has achieved political practise in the field of hegemony. In addition, it can be viewed as maximizing the political practice and collective forces inherent in the song to the point where the imagination of utopia represented in the folk song in the 1970s were succeeded in the people’s song in the 1980s. Folk songs that were not only adaptation of the pop song of the West, was supposed to be equipped with the “spirit of the folk song” to mediate and practice solidarity of the community while facing with the reality of South Korea. 이 글의 목적은 1960년대 말 한국에 유입된 포크를 ‘도시민요’의 관점에서 살펴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포크의 장르적 관습과 한국 내 수용 양상을 살펴보고, 나아가 도시 공동체의 노래로서 집단적 정체성을 매개하는 과정을 탐색하고자 한다. 포크란 말 그대로 공동체의 구전문화에 기원을 둔 대중음악의 초기적 형태를 의미한다. 하지만 대중음악 하위 장르로서의 포크란 구전가요의 장르적 관습을 공유한 음악 양식을 지칭한다. 한국에서 포크는 통기타로 부르는 팝의 한 형태인 포크송으로 정착하면서, 도시 청년세대의 일상과 감성을 표현하여 왔다. 포크송은 한국에 유입되는 순간부터 세대를 나누는 주요한 경계로 작용하면서, 1970년대 청년문화 담론의 중심에 서게 되었다. 포크송의 ‘도시민요’로서의 면모는 일차적으로는 도시 청년세대의 또래 집단문화라는 점에서 출발하고 있다. ‘청년문화’로서의 포크송은 이들의 라이프 스타일과 결합하여 세대와 지역과 계층 간의 ‘차이’를 가시화하였다. 또한 포크송이 불리던 통기타 살롱과 대학가, 기독교 관련 기관은 포크송의 존재 기반인 동시에 도시 공동체의 특징적인 면모를 보여주고 있었다. 포크송의 ‘도시민요’적 면모는 그 정치적 실천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포크송의 향유자들은 또래집단의 취향을 공유하고, 고수하는 가운데 그들의 일상과 가치를 드러내었다는 점에서, 의도하지 않았지만 문화적 헤게모니의 장에서 정치성을 구현하였다고 볼 수 있다. 나아가 이들이 시도했던 유토피아에 대한 상상력이 1980년대 이후 민중가요로 계승되면서 노래가 가진 집단적 힘과 정치성을 극대화하였다고 볼 수 있다. 서양 팝송의 번안에 불과했던 포크송은 이렇듯 한국의 현실과 대면하면서 공동체의 연대와 실천을 매개하는 ‘민요정신’을 탑재하게 되었다.

      • KCI등재

        잡가 연구의 현황과 과제 : 국문학계의 연구를 중심으로

        박애경 洌上古典硏究會 2003 열상고전연구 Vol.17 No.-

        국문학계에서 잡가 연구는 가장 혼란스러운 분야라 할 수 있다. 연구 성과가 쌓일수록 잡가의 정체성과 존속 시기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기 보다는 이견이 속속 노출되고 있기 때문이다. 잡가는 19세기 중반 이후 도시 유흥의 장에 등장한 순간부터 1920년대 전성기를 맞을 때까지 상당한 수준의 대중적 파급력을 드러낸 바 있다. 뿐만아니라 잡가는 중세 해체기의 문화적 역동성을 자양분으로 하여 자기부상한 후, 근대 전화기를 거치며 전성기를 맞이 했다는 점에서 중세의 끝에 성장한 서민 예술이 근대라는 시기와 만나며 겪는 변화와 생존 방식을 선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요컨대 잡가는 19세기 문화사와 근대 전환기 예술의 운명과 존재 방식을 가늠하는 척도이며 관문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잡가 연구는 그 특수한 위상을 밝히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지적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집, 가집, 고악보에 분산되어 있는 잡가 관련 기록을 수집하고, 해석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잡가의 존재양상과 방식을 객관적으로 살핌으로써 잡가의 개념과 범주에 대한 이견을 좁힐 필요가 있다. 셋째, 조선 후기에 형성되어 근대전환기를 거치고 일제 강점기까지 존속한 잡가를 통해 '통속예술에서 대중예술로의 상승'이라는 예술사의 발전 과정을 진단하고, 19세기 도시문화의 역동성을 밝혀낼 필요가 있다. 넷째, 전통적 장르에서 근대 대중예술로 순조롭게 발전한 잡가를 통해 시가에서 근대성이 실현되는 방식을 추적해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잡가를 고려가요, 사설시조 등 하위문화의 속성을 지니면서 잡종 장르의 면모를 지녔던 장르 간의 계보 속에서 파악함으로써 시가에서 장르 복합적인 현상을 해명하는 이론적 틀을 마련해볼 필요가 있다. Study on Jabka is taken as the most chaotic area in Korean literature academics. This is because different views are being raised rather than aligning on identity of Jabka and its duration as study results build up. From the moment of Jabka's introduction to urban entertainment stage in mid 19 century to height of prosperity in 1920s', Jabka demonstrated great deal of public spreading capability. Also, viewed in light of its emergence utilizing cultural dynamics during break down of middle age and having its peak passing through tansit period into modern age, Jabka demonstrates clearly as to how mass art that's developed at the end of middle age went through changes and survival measures by encounter with modern age. Jabka can be standard and gateway to discern 19 century cultural history and art's destiny and existence method during transit period into modern age. Therefore, Jabka studies need to direct towards period its unique phase. This can be illustrated in detail as follows. First, we need to collect and analyze Jabka related records scattered in various collections and music books. Second, we need toi narrow different views on Jabka's concept and criteria reviewing existence appearance and method of Jabka objectively. Third, we need to review development process of art history and to investigate dynamics of 19c urban culture through Jabka that was created at the end of Chosun dynasty and existed through modern transit period and Japanese occupation, that's summed up as rising from popular art to mass art. Forth, we can track its path in which modernity is materialized through Jabka that's developed from traditional gentr to one of modern mass art. Finally, we need to set theoretical frame that explains Jabka's hybrid genre complexity reviewing from genealogy between genres in which shows mixed gentr while maintaining character of sub culture such as Koryo Gayo and Sasulshiz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