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장루보유자의 장루간호 자기효능감

        박승미,오두남 호서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11 기초과학연구 논문집 Vol.19 No.1

        본 연구는 장루보유자의 일반적 특성과 장루주위 처치방법에 따른 장루간호 자기 효능감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서울시내 소재 S 대학병원 대장암 클리닉에 내원한 장루보유자를 대상으로 피부관리,기구교환 , 음식조절 , 의복,운동,자조모임,응급상황대처,수면,스트레스 관리 등의 내용을 포함한 장루간호 자기 효능감을 자가보고형 설문으로 측정 하였다 . 연구대상자는 결장루보유자 34명, 회장루보유자 40명,총 79명이었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0 년 7월부터 12월이었다 . 대상자의 장루간호 자기효능감 총점은 100점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66.76 이었다. 세부영역별로는 의복에 관한 자기효능감이 가장 높은 79.59였으며,운동 75.27, 응급 상황대처 71.08, 음식조절 69.44, 피부관리 63.30,기구교환 62.16, 스트레스관리 62.03 ,수면 60.54, 자조모임 57.84 이었다. 대상자의 자기효능감 총점은 일반적 특성이나 장루관련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장루 주위 처치 방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물로만 장루 주위를 씻고 말리는 경우가 크러스팅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자기효능감을 보였다.

      • 간호대학생들의 임상실습 부정행위

        박승미 호서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12 기초과학연구 논문집 Vol.20 No.1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임상실습 부정행위의 실태와 임상실습 부정행위에 대해 학생들이 인지하고 있는 윤리적 심각성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아산시 소재 2 개 대학 간호학과 4 학년 학생 85 명을 대상으로 10 개 항목의 임상실습 부정행위의 수행 실태를 없음,1 번 , 2 번 이상으로 조사하였고 각 부정행위에 대해 학생이 지각하고 있는 윤리적 심각성을 문제없음 (0 점)부터 심각함 (4 점)의 4 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 대상자들이 가장 많이 보고한 임상실습 부정행위는 ‘공공장소에서 또는 환자와 무관한 사람과 환자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 ’ 이었으며,‘측정하지 않았거나 정확히 기억나지 않는 활력증후를 기록하거나 보고하는 것’ 이 두 번째로 높았다 . 학생들이 인식한 임상실습부정행위의 윤리적 심각성은 평균 3.15(0.96 )으로 중간 정도이상의 심각성을 인식하였으며 항목별로는 ‘투여되지 않은 약물을 투여된 것으로 기록하는 것’과 ‘환자의 치료나 약물에 대한 반응을 실제와 다르게 기록하는 것 ’이라는 문항에 대한 윤리적 심각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부정행위를 예방할 수 있는 윤리교육이 간호교육과정 내 개발되어야 함을 제언한다 .

      • KCI등재
      • KCI등재

        정신간호사의 D 성격유형, 긍정심리자본,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박승미,이명하,김지영 한국정신간호학회 2020 정신간호학회지 Vol.29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ype D personality,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emotional labor, and burnout in psychiatric nurs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87 psychiatric nurses from 12 mental health hospitals in South Korea se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Data were collected July-August 2019 through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Results: Burnou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motional labor,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Emotional labo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ype D personality were significant factors, explaining approximately 65.6% of the variance in burnouts.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emotional labor and careful management of type D personality, an intervention program focusing on reinforc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s needed to prevent burnout.

      • KCI등재

        하부요로증상이 우울 및 요실금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박승미,김지윤 지역사회간호학회 2009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20 No.4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women in urban areas.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06 women in P city.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from May 1 to June 6, 2008.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LUTS) were measured with BFLUTS-SF and categorized into voiding, filling and incontinence.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t-test, one-way ANOVA, Fisher exact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Age, filling and incontinence, and all of the subcategories of LUTS explained 16% of variance in depression. Older women, LUTS with incontinence, filling and incontinence, and all the problems including filling, voiding and incontinence lowered the quality of life. Conclusion: In order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for women with urinary tract symptoms,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LUTS is needed. 하부요로증상은 배뇨 순환의 저장과 배설 단계 모두와 관련된 증상을 의미한다(Kim, 2002). Chaikin과 Blaivas (2001)나 Abrams (1997) 등은 하부 요로증상을 소변저장과 배뇨증상으로나누어소변저장과관련된증상은빈뇨, 절박뇨, 절박성 요실금,야뇨,배뇨곤란,방광이나 요도 로 부터의 야기되는 통증 을 포함하고, 배설과 관련된 증상은 주저, 배뇨 시 긴장, 시작의 어려움, 약해진 소변줄기, 불완전 한 방광 비움의 느낌, 요정 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분류하였다. 보통 남성들 은 배설과 관련된 증상이 흔하며, 여성들 에게는저장 과 관련된 증상이 일반적이다 (Abrams, 1997; Chaikin &Blaivas, 2001). 여성들에게는 요실금증상이 하부요로증상을 대표할 만큼 중요한 증상으로 인식되어, Jackson 등(1996)은여성의하부요로증상을소변저장,배뇨,실금영역 으로 나누어 요실금관련 연구에서 많이 사용되는 BFLUTS (Bristol Female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척도를 개발 하기도 하였다. 국내의 하부요로증상에 대한 연구들은 요실금을 주로 다룬 것들이 많다. 국내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복압성 요실금, 절박성 요실금, 잔뇨감 등이 많이 나타났으며(Kim, 2002; Shin & Park, 2001)외국문헌에서도 실금, 절박뇨, 빈뇨 등을 많이 호소 하는 것 으로나타났다.

      • 일 대학생의 신종인플루엔자에 대한 지식, 위험지각, 예방행위간의 관계

        박승미 호서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9 기초과학연구 논문집 Vol.17 No.1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knowledge, risk perception and prevention behavior about Influenza A(H1N1) of students in a university.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52 students in H university.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Sentember, 200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use of SPSS/W IN 17.0. Result: The knowledge of Influenza A(H1N1) was the lowest in etiology and definition of the disease compared with other subcategories.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 among knowledge, risk perception and prevention behavior(p<.001). Knowledge and risk perception of Influenza A(H1N1) explained 15% of variance in prevention behavior. Knowledge and risk perception of Influenza A(H1N1) made prevention behavior increased. Conclusion: An educational program focusing on strategy to enhance university students knowldege and risk perception of Influenza A(H1N1) will be effective for improving prevention behavior of Influenza A(H1N1).

      • KCI등재

        2차 종합병원 간호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심리·성격 특성과 업무특성중심으로

        박승미,장인순,최정실 한국간호과학회 간호행정학회 2011 간호행정학회지 Vol.17 No.4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nurses' burnout in secondary general hospital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241 nurses working at the secondary general hospitals with below 400 beds in the P, C, and S city between April and May, 2009. Data analysis was done with independent t 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WIN v 17.0. Results: Burnou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religion, age, clinical experiences, and shift work. Burnout score of the subjects was 58/100. Burnout of the subjec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stress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hardness, self efficiency, self esteem, spiritual wellbeing, soci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The explained variances for burnout was 51.8% and factors affecting nurses' burnout in secondary general hospitals were job stress, hardness, self efficiency, job satisfaction and shift work.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ed the significant factors fo nurses' burnout in secondary general hospitals. These findings can be utilized to development of strategies for reducing job stress and enhancing hardness, self efficiency and job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