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미지 기반 가상 착용 이미지 합성 기술 동향

        박순찬,박진아,박지영,S.C. Park,J.A. Park,J.Y. Park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24 전자통신동향분석 Vol.39 No.3

        Image synthesis has been remarkably developed in the computer vision domain and various researches have been proposed to generate realistic and high-resolution images. In particular, image-based virtual try-on is an application in fashion domain to simulate wearing clothes. Specifically, using input images of a fashion model and products, an realistic image of the model wearing the provided garments is synthesized. In this paper, we present a comprehensive review of technical trends in image-based virtual try-on technology. We first introduce relevant datasets and discuss their characteristics. Then, we categorize existing image synthesis methods into three main streams: warping-based methods, encoding-decoding-based methods, and diffusion-based methods. Finally, we explore other important research issues in the field of virtual try-on and analyze related researches aimed to tackling those challenges.

      • KCI등재
      • KCI등재

        음성감정인식 성능 향상을 위한 트랜스포머 기반 전이학습 및 다중작업학습

        박순찬,김형순,Park, Sunchan,Kim, Hyung Soon 한국음향학회 2021 韓國音響學會誌 Vol.40 No.5

        It is hard to prepare sufficient training data for speech emotion recognition due to the difficulty of emotion labeling. In this paper, we apply transfer learning with large-scale training data for speech recognition on a transformer-based model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speech emotion recognition. In addition, we propose a method to utilize context information without decoding by multi-task learning with speech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speech emotion recognition experiments using the IEMOCAP dataset, our model achieves a weighted accuracy of 70.6 % and an unweighted accuracy of 71.6 %, which shows that the proposed method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speech emotion recognition.

      • KCI등재

        사회적 자본과 비교우위

        박순찬 ( Soonchan Park ),이종화 ( Chong Wha Lee ) 한국국제경제학회 2017 국제경제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이 비교우위의 원천이 될 수 있는지를 분석한다. 속박(hold-up)의 문제를 해소하는데 계약제도만이 유일한 방법은 아니며, 사회적 자본이 그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가설을 설정하고, 1995∼2009년 40개국 14개 제조업에 대한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회적 자본이 무역 패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또한 비교우위의 원천을 분석한 선행 연구는 산업의 총수출을 수출 성과의 대용변수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재화와 서비스가 수차례 여러 국가의 국경을 넘나들 수 있는 글로벌 가치사슬이 심화되면서 총수출은 타국가에서 창출된 부가가치를 포함하고 있어서 비교우위를 나타내는 적절한 변수로 보기 어렵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부가가치 수출을 종속변수로 이용한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사회적 자본이 비교우위의 원천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타인에 대한 신뢰 또는 관용으로 측정한 사회적 자본의 대용변수를 사용하더라도 강건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studies the importance of social capital for comparative advantage. In particular, we suggest that contract institution is not the only way to alleviate so called “hold-up” problem, instead social capital can be also a source of comparative advantage. Using the panel data on 40 countries and 14 manufacturing industries for the period from 1995 to 2009, we examine the impacts of social capital on trade patterns. Moreover, the system GMM estimator is employed to cope with the potential endogeneity problem. Furthermore, the literature on sources of comparative advantage uses gross value of exports at the industry level as the dependent variable. However, with deepening global value chains allowing goods and services cross border many times, gross value of exports inevitably includes value added created in foreign countries and thus is not the appropriate measure of export performance for the analysis of comparative advantage. To deal with this problem, we use value added in exports as the dependent variable. We find that social capital can be an alternative to contract institution. This result still holds in the robustness check when we use the alternative measures of social capital such as trust, and toleranc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서비스 오프쇼어링과 비교우위

        박순찬(Soonchan Park) 고려대학교 미래성장연구소 2019 미래성장연구 Vol.5 No.1

        서비스 오프쇼어링이 제조업의 생산성을 향상하는데 기여한다는 선행 연구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2000-2014년 기간 세계 43개국 19개 제조업을 대상으로 서비스 오프쇼어링과 비교우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글로벌 가치사슬이 등장하면서 총수출에는 외국의 부가 가치를 포함하고 있어서 수출 성과의 척도로 적합하지 않다는 점을 고려하여, 산업의 총수출을 종속변수로 설정하는 선행 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는 수출 성과를 부가가치 수출로 측정 하였다. 서비스 오프쇼어링과 비교우위의 관계를 분석함에 있어서 누락변수의 편의로 인한 내생성의 문제를 통제하기 위하여 시간변동 수출국-수입국 고정효과, 시간변동 수입국-산업 고정효과와 수출국-산업 고정효과를 적용하였고, 동시성의 문제를 고려하여 서비스 오프쇼어링의 시차변수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서비스 오프쇼어링이 제조업의 비교우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제조업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showing that services offshoring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roductivit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s of services offshoring on comparative advantage in manufacturing industries of 43 countries between 2000 and 2014. In particular, this paper measures export performance by domestic value added in exports rather than gross exports, because gross exports containing foreign value added are inadequate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comparative advantage in a world with global value chains. Using a panel data model with three dimensional fixed effects (exporter-importer-year, importer-industry-year, and exporter-industry fixed effects), we fin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f services offshoring on comparative advantage. This result is also valid for Korean manufacturing industries.

      • KCI등재

        글로벌 가치사슬과 생산 변동성

        박순찬 ( Soonchan Park ) 한국EU학회 2021 EU학연구 Vol.26 No.2

        이 연구는 글로벌 가치사슬(GVC) 참여와 생산 변동성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GVC 참여도가 높을수록 해외에서 발생하는 불안정성과 위험에 노출되는 정도가 크기 때문에 생산 변동성이 높아진다. 한편, GVC 참여를 통해 중간재의 공급과 조달을 국내에 한정하지 않고 전세계로 확대하여 다양화하고, GVC에 참여하는 생산자가 그렇지 않은 생산자에 비해 효율적이기 때문에 생산 흐름이 원활하게 작동함으로써 생산 변동성이 축소된다. GVC 참여가 생산 변동성에 미치는 최종적인 영향은 이러한 두 가지 상반된 요인의 상호작용으로 결정된다. 무역 개방과 생산의 변동성을 분석한 대부분의 연구는 국가 차원으로 분석에 한정되어 있는데, 각 국가의 경제는 서로 이질적인 산업으로 구성되어 있는 점을 고려하여 국가-산업 차원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세계투입산출표를 이용하여 2000-2014년 세계 43개국 22개 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GVC 참여가 생산 변동성을 줄이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분석 기간을 달리하여도, 그리고 분위회귀분석방법을 적용해도 변하지 않고 강건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mpact of participation in global value chains (GVC) on output volatility. GVC participation can increase volatility by encouraging specialization and raising exposure to foreign shocks. On the other hand, GVC participation allows countries to diversify the demand and supply chains for intermediate goods across countries. Furthermore, GVC participation reduces the failure intermediate suppliers to deliver their products on schedule, because producers participating GVC are more efficient than others. The ultimate effects of GVC participation on output volatility are determined by the interaction of these two forces. Using the World Input Output database covering 43 countries, 22 manufacturing industries and the period 2000- 2014, this paper finds that GVC participation reduces output volatility. This finding is robust to changes in the time period measuring output volatility and alternative estimator.

      • KCI등재

        글로벌 아웃소싱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제조업을 중심으로

        박순찬 ( Soonchan Park ),조성택 ( Sungtaek Cho ),이홍식 ( Hongshik Lee ) 서강대학교 서강시장경제연구소 2017 시장경제연구 Vol.46 No.2

        본 논문은 1988년부터 2014년까지 21개 산업을 대상으로 글로벌 아웃소싱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연구에서 고려하지 못했던 내생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스템GMM을 분석에 사용하였고 외환위기 이전과 이후를 구분하여 추정하였다. 또한 글로벌 아웃소싱의 대용변수로 총중간재에서 차지하는 해당산업의 수입중간재 비중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전체기간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 글로벌 아웃소싱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외환위기 이전과 이후를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또한 글로벌 아웃소싱과 고용간의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 못하여 글로벌 아웃소싱의 확대가 고용에 특별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global outsourcing on employment for the period 1988 to 2014 using. To analyze the impact, we employed the System GMM and IV methods to address the endogeneity problem that had not been considered in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show that global outsourcing has never had an impact on employment for a full period. Additionally, we analyzed it divided into before and after the financial crisis in 1997. The result for the additional analysis also shows that the global outsourcing has no impact on employ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