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학』의 한국적 변용 : 성호학파의 소학서류를 중심으로

        박순남(Bak, Soon-Nam) 한국문학회 2021 韓國文學論叢 Vol.87 No.-

        주자의 『소학』이 ‘한국적 소학’으로 변용되는 과정 속에서 『소학』의 학문 규모 및 편차 체계, 내용 체계 및 중요한 논점들이 한국의 소학서에 어떻게 수용되고 변모되어 한국의 독자적인『소학』교재로 산출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성호 이익의 문도들을 중심으로 유독 새로운 소학서류가 지속적으로 만들어진 것은 이들 학파의 주자의 『소학』에 대한 한 경향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하학지남』, 『동현학칙』은 주자의 『소학』이 한국 『소학』으로 심화 발전하는 그 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저술물일 뿐 아니라, 한국 『소학』 논의에서 다루어졌던 중요한 쟁점을 포괄하여 내용상으로 전면적으로 개편된 저술물이라는 점에서 이들 소학서류의 특징적인 면모를 나누어 정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황덕길의 『동현학칙』은 『소학』의 가언과 선행의 외편을 확장 실증한 책이다. 그는 이 책을 만들면서 입교 편을 ‘國學之敎’, ‘家塾之敎’, ‘家庭之敎’ 3장으로 나누어 그 아래 조목을 분속시켰다. 입교 편의 분장은 조선후기 소학학의 중요쟁점으로 주자가 분장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비판되었던 논의였다. 그럼에도 입교 편을 3장으로 분장하여 명륜 편 아래 5장, 경신 편 아래 4장을 둔 것과 같이 대등한 체계로 편장을 구성하였다. 이는 퇴계가 「소학도」에 입교 편 아래 4장을 두고, 성호가 다시 8장을 둔 것을 계승한 조처이다. 이러한 입교 편 분장은 이상호의 『동학』과 김형재의 『대동소학』에도 그대로 수용되면서 한국 소학서 입교 편의 체계가 하나로 일관되게 되었다. 안정복의 『하학지남』은 중국학자 이성과 조선 학자들의 『소학』 분절에 대한 이견을 수용하여 일용과 수신에 긴절한 내용들을 <經史子集>에서 추출하고 동국의 현인을 모범 인물로 내세운 소학서이다. 이 책은 각 편장 아래 분절명칭을 세워 그 아래 조목을 분속하여 일정한 기준으로 분절체계를 세워 저술된 소학서이다. 이에 따라 『하학지남』은 수권은 1편 3장 12절 130조목, 상권은 3편 30장 104절 591조목, 하권은 5편 37장 154절 883조목 등 전체 3권 9편 71장 270절 1604조목으로 분장 분절체례를 완비한 한국의 독자적인 소학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그 체계와 내용에 있어 주자의 학문 방법론을 준용한 것이며, 서술 방식에 있어서는 한국 소학학의 중요한 성과인 분절 논의를 소학서의 저술에 응용한 것으로, 한국 소학서에서 의미 있는 성과물로 해석될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Chu Hsi s Sohak being transformed into Korean Sohak, Sohak s academic scale and composition system, content system, and important issues are examined. Through this, I would like to examine how it was accepted and transformed into the Korean sohak and made into Korea s own sohak textbook. In particular, the continuous creation of new sohak centering on the literary students of Seongho leeik can be seen as a trend toward sohak of these schools. First, Hwang Deok-gil s Donghyeonhakchik is a book that expands and proves Sohak s sequel to Gaeon and Seonhaeng. In making this book, he divided Ipgyo into three chapters: National teaching(국학지교), school teaching(가숙지교), and family teaching(가정지교). This is the acceptance of the important issues of Sohakhak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is an inheritance of Toegye s Sohakdo and Seongho s Sohakdo. his divide Ipgyo into chapters was accepted in Daedongsohak and Donghak as it was, and made the system of Korean sohak consistent. Next, An Jeong-bok s Hahagjinam is a book written by Chinese scholar Yiseoung and Korean scholars to reflect their opinions on the division of Sohak. This book is based on a certain standard by establishing the concept of division under each section, a certain standard was prepared. Accordingly, Hahagjinam has a system of 130 articles with 1 volume, 3 chapters and 12 paragraphs in The beginning. And The first book has 3 volumes, 30 chapters, 104 paragraphs and 591 article systems. The last book was divided into 5 volumes, 37 chapters, and 154 paragraphs and 883 articles. With this, Hahagjinam was able to confirm that it is an independent Sohak book in Korea that is fully structured by dividing the chapter into 3 books, 9 volumes, 71 chapters, 270 paragraphs, 1604 articles, and paragraphs. It used Chu Hsi s academic methodology in its system and content, but applied the divide a paraph systems, an important achievement of Sohakhak in Korea, in its narrative style.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significant achievement in the Korean Sohak book.

      • KCI등재

        『소학장구』의 주석 방식에 관한 연구

        박순남(Bak soon nam)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5 동양한문학연구 Vol.40 No.-

        조선 후기 소학학의 가장 큰 성과 중에 하나는 조선 학자에 의해 소학 주석서가 간행되었다는 점이다. 이 중 본고에서 가장 주목한 주석서는 19세기 영남학파의 본 고장인 안동에서 四書의 체계와 학문 방법을『소학』에 적용한 유휘문의『소학장구』이다. 특히나『소학장구』는 분절로 경전을 해석하였던 주자의 학문 방식을 준용하여『소학』의 분절체계를 수립하였다는 점에서 그 두드러진 면모를 보인 바 있다. 이는 주석을 채택하고 배열하는 주석 방식에 있어서도 새로운 체제와 구성 방식을 갖추고 있어 또 다른 소학주석서인『소학집주증해』와는 구별화되는 점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소학장구』의 주석체계와 주석 내용을 분석하여『소학장구』의 주석서로서의 특징적인 면모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선후기『소학』주석의 검토는 이이의『소학제가집주』를 저본으로 하여 이루어졌으나, 여기에는 미진한 부분이 많았다. 특히나『소학제가집주』는『소학』본문의 경전에 대한 주소를 살핀 것이 적고, 주자가 수찬한 『의례경전통해』가 반영되지 못했기 때문에『소학』본문의 주석과 경전 본문의 주석 사이에 괴리가 있었다. 『소학장구』는 이러한 점을 검토하여『소학』본문에 대한 주석을 모두 정비하여 형식 체계와 내용을 새롭게 한 소학주석서를 완성하였는데 그 특징적인 면모를 간추려 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주석서의 편차와 주석방식에 있어 조선후기『소학』주석의 정 본이었던 이이의『소학제가집주』의 방식을 따르지 않고 있고, 주석의 체계를 간소화하여 출처와 서명을 없애고,‘환본주의’라는 중요한 기치 아래 주석의 방식과 배열을 새롭게 정리하였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경전 본문의 주소를 본위로 삼아『소학』의 주석을 경전의 주석처럼 근엄하게 다루었다는 점이다. 세 번째는 경전의 주소를 본위로 삼되, 주자 『의례경전통헤』의 해석을 반영하고, 당대 송유 제현 및 중국『소학』주석가의 설을 절충하여 주석하였다는 점이다. 네 번째는 조선 내에서 논란이 되었던『소학』본문의 해석 가운데 동유 제현의 설이 있는 경우 이를 반영하였으며, 미진한 경우 자신의 설로 명료하고 간결하게 정리하였다는 점이다. 이러한 주석방식은『소학장구』가『소학제가집주』와『소학집주증해』의 주석서와는 구별되는 새로운 체제와 주석방식으로 구상되었다는 사실을 확인케 하는 것으로 그 특징적인 면모와 의의가 적지 않은 주석서임이 분명해졌다. 특히나 경전의 주소를 본위로 하여 주자설과 제설을 상호 보완하는 관점을 취한 것은『소학』을 경서에 준하는 서적으로 본 유휘문의 소신이 반영된 결과이기도 하지만, 조선후기『소학』주석에 대한 논의 과정에서 경전의 주석과『소학』에 수록된 해당 구절과의 해석에 대한 불일치성의 문제를 경전의 주소로 해소하고자 하였던 조선후기 소학학의 한 성과가 집약된 결정체라는 점에서 조선후기 소학사에서 그 의미가 적지 않다. 이는『소학』의 위상을 크게 중시한 소치로 조선후기 학자들의 일반적인 인식이『장구』의 주석방식을 통해 분명하게 드러났음을 살필 수 있는 의의성을 가지게 되었다. The late Joseon Dynasty great performance scholars of the Joseon publication of an annotation. It is one of the most attention in this study, 19th Century Ryuhwimon『Sohakjanggu』. This study looked at how to review the comment Ryuhwimon 『Sohakjanggu』. 『Sohakjanggu』has a few important points that distinguish it from『Sohakjipju』and『Sohakjipjuchughae』.The book is less that one considers the comments on the scripture. In particular did not comment about Chu-hsi's 『Commentaries to the Texts on Rites』, this regard 『Sohakjanggu』was tin with some characteristic information to solve the problem. The following characteristic advantages, First, The sohakjipju were equipped with a proprietary format, to simplify the system of annotation eliminates the publishers and book name, fine give return tho the original author(환본주의) was thought to be important. Second, Look for the comments of the scripture text was prized as a comment in the comment sohak scriptures. Third, Chu-hsi's Commentaries to the Texts on Rites were comments by compromise and study the theory of multiple people. Fourth, It was a comment by lack of compromise with the scholars of the era, such as his theory Therefore, the previous commentary and discrimination were not a few have already had its distinctive significance in that it created a new annotation scheme It also has to think the same way the『Sohakjanggu』comments and scriptures had equipped the appropriate system for the format can be found that significant progress in sohak history and scripture history

      • KCI등재

        신후담의 <小學箚疑>연구* - 분절체계를 중심으로

        박순남(Bak, Soon-Nam) 한국문학회 2018 韓國文學論叢 Vol.78 No.-

        이 글은 하빈 신후담의 <소학차의>를 중요한 텍스트로 삼아 18세기 소학학의 중요한 성과를 반영한 그의 ≪소학≫ 분절에 대한 학술적 의의와 주석적 특징을 논한 것이다. 이에 다음과 같은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신후담은 분장ㆍ분절이 학문의 체계를 세우는 중요한 일이라 여겨 ≪소학≫의 각 조목이 일정한 의미 연관을 가지고 편성된 것으로 간주하고, 일정한 의미 단위로 분절하였다. 둘째, 신후담은 중국학자 이성이 세운 분절 개념이 내, 외편을 관통할 수 있는 의미적 접합점을 드러낼 수 없다는 점에 기인하여 이씨의 설을 대부분 수정하는 것으로 분절의 준거를 삼아 분절 명칭을 새롭게 정하고, 그에 따라 분속된 조목도 달리 정하였다. 셋째, 신후담은 ≪소학≫ 전편에 대하여 논지 접속에 따라 분절의 명칭을 새롭게 정하고, 그에 따른 조목의 분속도 달리하여 ≪소학≫ 본문 386조목에 대하여 내편 입교 편을 3절, 명륜 편을 5장 30 절, 경신 편을 4장 22절로 나누었고, 계고 편은 모두 10장 21절, 외편 가언 편은 10장 39절, 선행 편은 8장 54절로 나누어 내, 외편 386조목을 37 장 169절로 분절체계를 세웠다. 이는 주자가 분절로 경전을 해석하였던 학문 방식으로, 조선후기 소학사에 ≪소학≫에 경학 연구의 학문 방법을 적용한 독자적인 논의이다. 넷째, 선행 편 제 42조는 붕우 장에 소속되었 으나, 신후담은 계고 제 33조와 조목의 의리가 같다고 보고 장유 장에 소속시키면서 선행 편에 별도로 붕우지교 장을 세우지 않았다. 당시 ≪소 학≫의 분장은 주자가 체례를 정해 놓았기 때문에 이를 바꾸기는 어려 웠다는 점에서 이는 진전된 논의로 정해진 ≪소학≫의 편제에 억지로 맞추기 보다는 ≪소학≫ 본문을 합리적으로 해석하여 논의를 산출하고자 하였다. 다섯째, 성호의 ≪소학질서≫를 ≪소학≫ 본문 전면에 주석 함으로써 ≪소학≫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내었던 성호의 소학설을 적극 수용 지지하면서 성호의 학문을 계승하였다. 신후담의 ≪소학≫ 연구는 조선후기 소학학에서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 ≪소학≫을 분장 분절로 이해한 논의에는 19세기 학자 유휘 문의 ≪소학장구≫(1830)와 유중교의 <소학설>(1881)이 있었으나, <소 학차의>는 이들 보다 앞서 이루어진 성과물로 18세기 초 ≪소학≫의 분절에 대한 이해를 살필 수 있는 참신한 저술이다. 둘째, 중국학자 이성이 ≪소학≫의 분절체계를 세웠으나, 실제로 분속된 것은 내편에 한정된 반면, 외편까지 확장하여 각 조목에 대한 의미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조선 학자에 의한 새로운 분절 이해라는 의미를 획득하게 되었다. 셋째, ≪소학≫ 본문의 본지를 분절로 이해한 조선후기 학자의 논의는 분절 자체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이 많았으나, 몇 가지 쟁점을 가지고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분절에 따른 조목의 분속과 이로 인해 본문의 해석에 대한 각 학파 간의 차이가 존재하는데, 신후담의 분장 분절은 당시 제가들의 설을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분절체계를 세우면서도 분절개 념을 새로이 정하여 독자적인 견해를 산출하였다. 넷째, 선행 편에 붕우 지장을 두지 않은 분장체계는 신후담 이후의 조선학자의 분장 분절체계 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시도로, 신후담은 주자의 ≪소학≫ 편장 체례를 준수하면서도 편차 조절의 난제에 얽매이지 않고 본문의 의리에 따라 경전을 해석하려는 학문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소학차의>의 분절체계는 안정복의 ≪하학지남≫의 편제와 관련하여 이들 학파의 ≪소 학≫ 학문 방법론에 대한 일정한 경향을 살펴볼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 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hin Hoo Dam s analysis of Sohakchaui and to identify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his interpretation of the book. To start, the first characteristic of Shin Hoo Dam s interpretation includes his way of dividing the paragraphs of the Sohak text and eliciting meanings of each paragraph. Previously, Lee Seong (among the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he is commonly referred to as Lee), a Chinese scholar in a Yuan Dynasty, paid attention to this method of study. Lee categorized Sohak into 386 categories of each topic covered, which comprised of the total of 19 chapters and 79 paragraphs. This analysis brought controversial opinions among the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central question mainly concerned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the categories fit with the titles given by Lee and whether his division would be appropriate in terms of logical coherence across the text. On the other hand, Shin Hoo Dam s was divided into 386 categories of each topic, with the total numbers of 37 chapter and 169 paragraphs. The notion of division was reconceptualized and the number of categories was differently divided. In particular, Shin separated the main content and the sequel and divided the main content into 19 chapters and 76 paragraphs and the sequel into 18 chapters and 93 paragraphs. Then, Shin developed the updated constant analytic system. Shin s system tries to address the weakness of Lee Seong, as Lee s system does not clearly unpack the semantic relationship among each category. Therefore, Shin Hoo Dam revised the theory of Lee and newly established the segmentation system. His efforts can be highly appreciated, in that it is a result that was far ahead of Sohakjanggu of Ryu Hwi Mon. It can be argued that Shin completed a new segmentation system for the entire Sohak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completed it with a complete written work. Second, it also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commentary included in Sohakchaui. Although Sohakchaui has partly included the commentaries of Chinese scholars, most commented extensively used in Sohakjilseo are from his mentor, Yi Ik. In particular, Shin s academic methodology is influenced by the School of Seoghohak, mainly accepting Yi Ik s own interpretations about the characters and events contained in the text. Shin s analytic framework made it possible to interpret Yi Ik s ideas and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text in reasonable manner. Also it contributed to the field with the strong correlations among the categories of the text, Sohak. Shin, therefore, established his own division system of chapters and paragraphs.

      • KCI등재

        『소학』의 한국적 변용 - 성호학파 소학서류에 내재된 인물 사건에 대한 의리 규명 -

        박순남 ( Bak Soon-nam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1 퇴계학논총 Vol.37 No.-

        성호 이익이 『소학질서』에 『소학』에 수록된 인물의 언행과 사건이 완전하지 못하다는 사실을 지적한 이래 유독 성호학통에서 소학서가 지속적으로 생산되었다는 사실과 이들 소학서가 동국의 인물로 편성되었다는 점은 『소학』 본문 속 인물이나 사건의 의리강명 등 특별히 주목되었던 쟁점이 이들 소학서에 어떠한 변동을 주었는지를 점검하고 검토하는 과정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논거에 따라 『하학지남』을 비롯한 『동현학칙』 · 『해동소학』 · 『동학』 · 『대동소학』 등 이들 학파에서 생산된 소학서류의 내용 체계를 의리 규명이라는 하나의 논조를 세우고 한국 소학학의 성과 속에서 그 특징적인 면모를 살펴보았다. 첫째, 편장 취지에 준거한 인물과 사건의 분속 및 시의성이 중시되면서 『소학』에 수록된 인물이나 사건이 장절의 이속을 달리하여 분속되게 되었고, 본문이 본지에 맞게 재조정되었다. 동일 인물의 일화라도 편장의 의리에 부합하는 의미 경계를 세워 장절에 분속시키는 것을 중요한 준거로 삼으면서, 『소학』과 편차를 달리하는 체재가 만들어졌다. 둘째, 인물의 의리 강명이나 사건의 적합성에 대해 비판된 쟁점을 반영하여, 해당 본문의 의리를 적확하게 드러낼 수 있는 동국 인물의 사적을 채록하는 것을 중요한 채록의 준거로 삼았다. 이에 따라 소학서의 본문 내용이 인정이나 사리에 적합하도록 조처되었고, 우리나라의 예법에 합당한 내용들로 구성되면서 한국만의 독자적인 소학서가 구비되었다. In the process of Chu Hsi's Sohak being transformed into Korean Sohak, I would like to examine whether the difficult problems of the Sohak turn, morality check of the characters or events in the text, and whether important issues were reflected in the Sohakseo of Korea. In particular, Sohakseo continued to be published in Seongho Leek-Ik's studying under. This can take a look at the discussion of the Sohak of these Schools. Sohakseo was created by reflecting roughly two important discussions. First, Sohak's Side and Chapter were newly organized, so that the Side and Chapter became constant. Therefore, Sohak's imbalance was resolved by putting an article in the friendship chaptet under the Seonhaeng Side. And by Dividing and Adjusting the contents of the main text, the composition system was renewed. Second, The content and character events contained in the text of Sohakseo were organized to suit the original meaning of the text. This point also served as a standard for recording Korean characters. The content system was constructed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In addition, the content of the text was composed by reflecting the Korean people, customs, and social conditions. This point is Korean Sohakseo, which is intended to be the standard of Sohak study. And Korea's own Sohak textbook was completed, not China.

      • KCI등재

        조선후기 『소학』 해석의 시대적 추이에 따른 특징

        박순남(Soon-Nam Bak)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22 동양한문학연구 Vol.62 No.-

        『소학』에 대한 학술적 논의는 『소학』이 학문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하였던 16세기 중반 이후로부터 조선 말기까지 시대를 넘어 지속적으로 이어지면서, 그 결산물이 ‘講錄’, ‘問答’, ‘講義’, ‘疑義’, ‘箚記’ 등의 형식으로 집약되었다. 이들 저술서는 『소학』 전반에 대해 다루고 있지만, 시대의 추이에 따라 당대 학문의 체계 속에서 새로이 점검되면서 『소학』 해석은 몇 가지 중요한 특징을 가지고 전개되었다. 16세기 중기에 『소학』은 『대학』과 축을 이루는 성리학의 중요한 학문 분과로 위상이 정립되면서, 『소학』을 본질로 다룬 논의가 시작되었다. 이때부터 「강록」, 「문답」 등의 『소학』 관련 저술물들이 등장하면서 『소학』 본문의 해석에 대한 일정한 준거를 마련하기 위해 자구의 자의 및 명물에 대한 고증, 그리고 주석의 同異 등이 점검되었다. 17~8세기에 이르러서는 『소학』의 편제 및 내용 체계, 분절 논의, 그리고 『소학』 본문과 주석의 정합성, 채록된 인물과 사건에 대한 변증 등 『소학』 전반에 대해 다각적인 논의가 형성되면서 『소학』 해석에 대한 진전된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한편 18세기 이후 『소학』에 채록된 인물과 사건에 대한 심도 깊은 해석은 동현의 인물을 채록한 조선의 소학서류가 만들어진 타당성을 제공하였다. 19세기는 『소학』 본문을 분절로 이해한 선행 연구의 성과를 정리하여 『소학』의 분절체계가 새롭게 정립되고, 동국 제현의 학설이 주요 논거로 채록되거나 반영되면서 주석의 내용이 전면적으로 재정비되었다. 조선조 학술사에서 『소학』은 3종의 주석서를 모본으로 한 언해본이 4차례에 걸쳐 수정 간행되었고, 3종의 완결된 형태의 주석서가 경서에 준하는 체계를 갖추고 저술되었다. 이에 한 걸음 더 나아가 동현의 가언 선행을 채록한 소학서류가 간행되는 의미 있는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다른 경서의 연구에서도 보기 드문 것으로 주자의 『소학』에서 조선의 독자적인 『소학』의 정본을 만들고자 하였던 그 노력이 동력이 된 것이다. The Commentary on Sohak, which was compiled and published in China and brought to Joseon, had a great influence on understanding the study of Sohak and interpreting the text. Through this, various theories on Sohak commentary were discussed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the academic nature of Sohak, the compilation system, and the composition of the text of Sohak were thoroughly reviewed. Sohak was examined as an academic discussion of the time. From the 16th century to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hese scholarly discussions of Sohak were continuously written in the form of lecture records, questions and answers, lectures, places of doubt in writings, and reviews over time. Therefore, in the early discussion of Sohak, the commentary on words and phrases was discussed as an important issue. And with the publication of a Sohak translation based on Sohakjibju, a closer examination of the Sohak annotation was brought about.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the discussion to make an original copy of the commentary formed the mainstream as Sohakjibju. On the other, the Sohakjejibjujeunghae was written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the Sohakjibju and recording the theories of Joseon scholars. And the translation of Sohak and its commentary, Sohakhun-ui, were created. On the other, dissenting opinions about the characters in the main text of Sohak were raised centering on the Seongho School, and discussions were formed centered on the outside of Sohak. In the 19th century, understanding the main text of Sohak as a paragraph was an important discussion, and a complete form of paragraph system of Sohak was established. And with Sohakjipjujeunghae as the main commentary, a discussion was formed to examine the doctrines of Joseon scholars, and the Sohakjanggu was created using this as an important content. As above, three types of commentary on Sohak with the system complet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published, and the translation of Sohak was compiled with repeated revisions and additions. This will provide the validity of discussing Sohak as an independent academic system within the scope of Confucian classics.

      • KCI등재

        退溪學派의 『小學釋義』 一考

        박순남 ( Bak Soon-nam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3 퇴계학논총 Vol.41 No.-

        퇴계는 강학에서 제자들과의 문답을 통해 경서 본문의 주석에 대한 여러 異論을 하나의 정론으로 확립하고, 이해하기 용이하도록 ‘석의’로 번역하여 『경서석의』를 완성하였다. 이 책은 하나의 정본을 세울 필요가 있었던 교정청본 언해를 만드는 과정에 중요한 번역 자료로 수용되었다. 『소학』의 본문은 <經史子集>에서 출처된 것이기 때문에 원전에 본주가 있었다. 따라서 경서 강학에서 『소학』 본문 아래 제가들의 주석과 더불어 상호점검이 이루어졌을 것이며, 이는 『소학』 강학에서 그대로 언급되었을 가능성이 짙다. 이에 이 논문은 勿巖 金隆(1549~1594)이 저술한 「小學講錄」과 寒溪 吳善基(1630~1703)가 만든 「小學釋義」가 석의주석서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소학강록」은 물암이 퇴계로부터 직접 『소학』 수업 받은 내용을 기록한 것이며, 「소학석의」는 한계의 증조부인 竹牖 吳澐(1540~1617)이 만든 ‘소학강록’을 토대로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되는 결과물이다. 그럼에도 이 두 책은 다음과 같은 공통점을 지닌다. ① 『소학』의 본문과 주석의 난해 처를 석의로 번역한 석의소학주석서이다. ② 『소학』의 본문을 字解하거나 註解하면서, 주석에 대한 득실은 주자의 설을 중요 주석으로 채록한 정유의 『소학집설』을 모본으로 삼아 변증하여 두었다. ③ 「소학강록」 對比 「소학석의」와 주석된 내용이 상호 일치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이렇듯 시대를 달리하는 두 책의 일치성은 퇴계가 『소학』 강학 시 제자들과 논의하여 제출한 견해가 사우들에게 필사되어 전수되었음을 시사한다. 한편으로 이는 이들 학파의 『소학』 해석에 일정한 定論이 있었음을 언급할 수 있게 하는 지점이며, 퇴계가 만든 『소학석의』가 존재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중요한 점이다. In the study of Classical Classics, ‘Seokui’ was treated as an important part of the translation of the Classical Classics. 『Gyeongseoseokui』 made in this way was used as an important translation material for Eonhae. Looking at this, there is a sufficient possibility of existence of ‘Sohakseokui’ who would have provided the environment in the process of making 『Sohakeonhae』. Based on this,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the study of ‘Sohakseokui’, which was excluded from Toegye's 『Gyeongseoseokui』 and 『Sohakeonhae』. Materials that can discuss this include 「Sohakgangrok written by Mulam Kim Ryeong (1549~1594) and 「Sohakseokui」 written by Hangye Oh Seongi(1630~ 1703), a later scholar. In 「Sohakgangrok」 and 「Sohakseokui」, the main text and commentary of 『Sohak』 were interpreted with Seokui, Toegye's method of interpreting the scriptures. The basic commentary referred to JeongYoo's Sohakjipseol, which recorded Zhu-hui's interpretation as an important commentary. In addition, in order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text, the errors in the annotations were checked and corrected, and the same views were submitted to establish an agreed theory. In all of these conclusions, 「Sohakgangrok」, which was organized after receiving 『Sohak』 lessons directly from Toegye, and 「Sohakseokui」, which seems to have been passed down as a family academic tradition in the family of Toegye's school, are almost identical in content. This shows that ‘Sohakseokui’ was transcribed and handed down among the students. These two books can find the prototype of Toegye's standard lecture on the interpretation of 『Sohak』. Therefore, the significance of these two books, 「Sohakgangrok」 and 「Sohakseokui」, is that Toegye's 『Sohakseokui』 can be presumed to have exi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