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K-ADL)의 타당도 및 측정불변성 검증

        박수지,병선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保健社會硏究 Vol.3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 structure of the ‘Korean Activities of Daily Living (K-ADL)’ scale used in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and to test its measurement invariance across gender, age, education and income groups. Data from the 5th wave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was analyzed using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K-ADL was agreeable to the data, suggesting that it was possible to do validly measure the level of daily living abilities. Second, its factor model showed that the measurement invariance to ‘factor variance level’ sustained between two genders. And its factor model showed that the measurement invariance to ‘residual invariance level’ sustained among education groups and between two groups having a spouse or not. Third, the measurement invariance to ‘factor loading level’ sustained between those below 65 and those 65 and over, and between those 65-75 and those 75 and over. Th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K-ADL could be valid to measure the level of daily living activities and to compare the obtained data across the groups which were analyzed in this study. 본 연구는 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이하 K-ADL) 응답의 요인구조를 확인하고 하위 집단별간에 측정불변성이 유지되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고령화연구패널 5차 조사의 50세 이상 6,711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타당도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그리고 집단 간 측정불변성 검증을 위해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ADL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요인구조가 자료와 잘 부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K-ADL을 사용하여 현시점에서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측정불변성검증에서 성별집단의 경우 요인분산불변성, 교육수준과 배우우자유무의 경우는 측정오차불변성까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령별 집단의 측정불변성 검증은 형태불변성까지만 유지되고 있었는데 추가 검증 결과, 65세 미만과 65세 이상 집단 간, 그리고 65-75세 미만과 75세 이상 집단 간 요인부하량불변성 모형까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K-ADL을 사용하여 측정된 점수를 활용하여 65세 미만 집단과 65세 이상 집단을 비교하거나 65-75세 미만과 75세 이상 집단의 측정된 값을 비교하는데 있어서 무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죄책감이 강박증상에 미치는 영향: NJREs의 매개효과

        박수지,장혜인 한국임상심리학회 2018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7 No.2

        본 연구는 특질 및 상태죄책감이 강박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딱 맞지 않는 경험(Not Just Right Experiences, NJREs)’을 매개변인으로 가정하여 죄책감이 강박증상으로 연결되는 기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4년제 대학 재학 중인 대학생 190명(남82명, 여 108명)을 죄책감 유발집단과 중립정서 유발집단으로 무선 배정하여 상태죄책감의 수준을 조작하였으며, 정서 유발 전 특질죄책감, 유발 후 상태죄책감을 자기보고식 질문지로 측정하였다. 이후 상태NJREs를 측정하기 위해 재배열과제를 시행한 뒤, 상태NJREs와 강박증상을 질문지로 측정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특질죄책감이 높을수록 강박증상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 관계는 상태NJREs에의해 매개되었다. 죄책감 유발집단과 중립정서 유발집단 간 강박증상의 유의한 차이는 없어, 상태죄책감 실험적 조작에 따라 강박증상의수준이 달라지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정서조건과 관계 없이 질문지로 측정한 개인의 상태죄책감은 상태NJREs를 거쳐 강박증상과정적으로관련되는것으로나타났다. 마지막으로본연구의한계점과의의에대해논의하였다.

      • KCI등재

        장애인서비스의 통합적 관리(integrated management)에 관한 전문가 인식유형 연구 – Q방법론의 적용

        박수지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5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3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ntity of various positions about integrated management of social service for disable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voids analyzing it case by case and applies to Q Methodology to take shape general position. First of all, we referred to the literature and hold in-depth interviews with 10 experts to extract Q-statement. Based on this, we extracted 30 Q-statements. After that, we conducted Q-sort targeting 16 officials of Public corporation, Local governments, Disabled groups, Service organizations that are the main actors of the service provision system. And we analyzed them by using PQMethod 2.11. As a result, four types were drawn and each type is named‘substance-oriented’ (Factor 1), ‘authority-oriented’ (Factor 2), ‘partnership-oriented’ (Factor 3) and ‘unification-oriented’ (Factor 4). In conclusion, focusing on characteristic of cognizance types, it is proposed to think various approaches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social service for disabled,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local governments, to set the sphere of jurisdiction for a unified service entry window and the introduction of a standardized service management system etc is proposed.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복지 전문가들이 장애인서비스의 통합적 관리에 대해 갖는 다양한 입장의 실체를 구체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적용하여 전문가들이 장애인서비스의 통합적 관리에 대해 갖는 생각, 태도, 가치관의 유사성을 분석함과 동시에 개인의 주관적 인식차이를 확인하고 유형화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고 녹취록을 분석하여 총 30개의 Q진술문을 추출하였다. 이 후 서비스 전달체계의 이해당사자인 공단, 지자체, 장애인단체, 서비스 기관의 관계자 16명을 대상으로 Q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PQMethod 2.11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총 4개의 인식유형‘본질 중시형’(제1유형), ‘권위 중시형’(제2유형), ‘협력 중시형’(제3유형), ‘일원화 중시형’(제4유형)이 확인되었다. 결론부분에서는 4가지 인식유형의 논리적 구조를 근거로 하여, 정책접근의 다양화, 통합시스템의 정비와 내실화, 지자체 역할 강화 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에서 이용자 참여, 접점 만족, 서비스 품질의 구조적 관계

        박수지,형존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3 사회과학연구 Vol.6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user participation, encounter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in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for disabled. As for the analysis data, users of three organizations that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in w City were selected and used data from a total of 278 case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employed to verify of reliability, validity, and relationship of user participation, encounter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customer participation, encounter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scale were verified in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for disabled. Second, user participation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ncounter satisfaction. Third, it was found that user participa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ervice quality. Fourth,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f user participation on service quality. Fifth, it was found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 participation and service quality, the encounter satisfaction worked completely mediated factors. In the conclusion, it was proposed to use of the scales, support for users' participation activities, support for interaction between users and service provider, and expand the autonomy of operating guidelines.

      • KCI우수등재

        공간위상학적 특성과 관광환경정보가 공간 인지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 가상현실기법을 중심으로

        박수지,정철 한국관광학회 2019 관광학연구 Vol.43 No.3

        본 연구는 가상현실기법을 사용하여 관광공간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통해 도출된 공간위상학적 특성과 그에 따른 관광객의 공간 인지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공간위상학적 특성에 따라 변화하는 관광객의 인지가 어떠한 관광환경정보에 더 큰 영향을 받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밝히기 위해 유사실험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요인설계는 2(공간위상학적 특성 낮은 공간vs공간위상학적 특성 높은 공간)×2(관광안내체계vs도움요청)로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동일한 시설이 배치된 가상현실에서 공간위상학적 특성에 따른 관광객 공간 인지에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공간위상학적 특성이 다른 공간에서 관광환경정보가 서로 다른 수준의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onstruct the spatial topological characteristics of tourism space by utilizing virtual reality technique and to confirm the influence of tourist spatial cognition from them on satisfaction. It is also intended to reveal which tourist information is more affected by cognition change of tourists depending on the spatial topology. To verify given hypotheses, quasi-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in this study. For factorial designs 2(Spatial topological characteristics: LOW vs HIGH) × 2(Tourist Information System vs Request for help) was set. Results showed a difference in tourist spatial recognition according to spatial topology characteristics in virtual reality where the same facility is deploy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information on the tourism environment have different levels of interaction effects in spaces with different spatial topology characteristics.

      • KCI등재

        The Development of a Social Service Quality Scale for Disabled Adults

        박수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保健社會硏究 Vol.3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social service quality, and to develop a reliable and valid measurement instrument. The concept of a social care service quality for disabled adults is clarified and the processes involved in scale development presented. Three core components of social care service quality are identified, namely, process, outcome, and engagement qualit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three-factor scale are verified using empirical data. Disability service institutions were selected using Korea Health & Welfare Information Service’s disability service institution information. Survey subjects 1000 case were selected from institutions and service users in 11 regions. It was found that the social service quality scale has predictive capability in relation to correlation among the three core components (=77.638, RMSEA=.047, GFI=.984, CFI=.987). The quality scale tool described in this article will allow disabled adults to have more involvement choosing the social care services that best fit their needs.

      • KCI등재

        황산에 의한 페로망간 집진분 중의 망간 침출

        박수지,손호상,Park, Suji,Sohn, Ho-Sang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5 資源 리싸이클링 Vol.24 No.6

        본 연구에서는 페로망간 제조공정에서 발생한 집진분의 황산침출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황산의 농도, 반응온도, 교반속도, 입자크기 및 고-액비가 집진분 중의 Mn과 Fe의 침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Mn과 Fe의 침출속도는 황산의 농도가 높고 반응온도가 높을수록 높아졌다. 실험결과를 입자수축모델을 이용하여 검토한 결과 침출반응은 입자표면에서의 화학반응에 의해서 율속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Mn과 Fe 침출반응의 활성화에너지는 각각 79.55 kJ/mol과 77.48 kJ/mol로 계산되었다. The sulfuric acid leaching of ferromanganese dust was studied. The effect of acid concentration, reaction temperature, stirring rate, particle size and solid to liquid ratio on Mn and Fe extraction in the solution were investigated. It was found that the leaching rate of Mn and Fe increased with increasing reaction temperature and sulfuric acid concentration. Examination of data by shrinking core model suggested that the leaching rate is controlled by chemical reaction at the surface of particle. The activation energy for the leaching reaction of Mn and Fe were calculated to be 79.55 kJ/mol and 77.48 kJ/mol, respectively.

      • KCI등재

        서울 도시탐방명소의 장소적 특성 - 관광안내문헌 분석을 중심으로 -

        박수지,김한배,Park, Su-Ji,Kim, Han-Bai 한국조경학회 2013 韓國造景學會誌 Vol.4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안내서 등 현대 도시사회에서 시민들의 여가와 관광활동의 정보매체가 되는 비학술문헌의 분석을 통하여 탐방선호장소들의 장소적 특성을 연구하려는 것이다. 연구범위와 방법은 서울 내의 유형별 탐방명소들을 대상으로 관광안내문헌에 나타나는 장소별 빈도와 내용분석을 통해 대표적 장소적 특성을 규명하려 하였다. 유형별 탐방명소는 '자연형 탐방명소', '역사형 탐방명소', '생활문화형 탐방명소'로 대별되었다. 유형별 대표장소는 빈도분석에 의해 각각 남산과 한강, 덕수궁과 경복궁, 이태원과 대학로로 선정하였다. 상기 문헌연구와 이를 보완하는 현장연구를 종합하여 전도시적 차원, 주변맥락의 차원, 장소적 차원의 세 단계에서 서울 탐방명소의 장소적 특성을 도출, 해석하였다. 각 유형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세 유형이 공유하는 지배적인 장소적 특성은 배경을 이루는 도시공간과의 가시적, 용도적 '대비성'과 주변지역과의 활동적, 의미적 '연계성', 그리고 단위 탐방명소 내부에서의 '가시성'과 '체험성'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배후도시의 환경과는 가시적, 용도적으로 명료하게 대비되면서 주변지역들과는 연계 관광적 여건이 원활하고, 장소 내부에서는 가시적 독특함과 체험적 다양성이 갖추어질 때 탐방명소로서 효과가 강화될 수 있다고 파악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동시대 사람들이 느끼는 도시 탐방명소의 보편적 매력요인이자 장소적 특성으로 볼 수 있으며, 향후 이들 특성들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탐방명소와 그 주변의 도시환경을 조성, 관리할 때 도시 전반의 정체성과 관광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place characteristics of preferable city tourist attractions through the contents analysis of non-academic literatures such as tourist guidebooks and web materials. The most preferable Seoul tourist attractions were selected by their frequency in literatures including Namsan and Hangang as 'natural' places, Dugsu Palace and Gyungbok Palace as 'historical' places, Itaewon and Daehak-ro as 'lively-cultural' places that were classified by their relativistic character. The main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The essential place characteristics of tourist attractions were synthesized in urban, regional and place scale respectively. While 'contrast' was found to be the most distinguished character of the tourist attractions in the urban context, 'connectivity' was found to be the most distinguished character of the tourist attractions in the regional context. In addition, both 'visibility' and 'experience' were found to be the most distinguished characters of the tourist attractions in the place context.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places seem to be the universal fascination factors of city tourist attractions currently recognized by ordinary citizens. We expect to further strengthen the city identity and the city tourism effect by adopting those research results systematically to the urban environment. Therefore, it is needed to vitalize the urban tourist attractions that we make them to be more 'contrasting' with urban areas surrounding them, more 'connective' with vicinity areas and more 'visibly fascinating' and 'experienced actively and meaningfully' in each place of tourist attractions.

      • KCI등재

        조선 후기 한글 음식조리서에 나타난 미각형용사 ‘달다’의 분포 변화

        박수지 한국문학언어학회 2024 어문론총 Vol.98 No.-

        조선 후기 한글 음식조리서에서 ‘달다’의 쓰임은 시대에 따라 점차 확장되었다. 17세기 말 『음식디미방』에서 ‘달다’는 발효식품인 술과 장의 문맥에만 사용되었다. 그러나 19세기 말 『시의전서』에 이르면 반찬, 과자, 음료 등 다양한 음식조리법의 각종 단계에서 ‘달다’가 출현한다. 이러한 변화의 핵심은 ‘달다’와 ‘꿀’의 공기 관계에 있다. 18세기 음식조리서에서 꿀과 같은 감미료가 등장한 경우 '달다'를 사용하지 않았다는 사실은 표현의 경제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반면 19세기 음식조리서에서 꿀이 들어간 음식의 단맛을 명시하는 것은 의미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로 분석된다. 이러한 서술 경향의 변화는 음식조리서의 독자층이 특정 집안에서 불특정 다수로 확대된 데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In cookbooks written in Hangul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he usage of “dalda”(sweet) gradually expanded. In the late 17th century and the 18th century, “dalda” was only used in the context of fermented food such as wine and soy sauce. However, in the late 19th century, “dalda” appeared in various steps of various food recipes such as side dishes, snacks, and beverages. This expansion is related to the co-occurrence relationship between “dalda” and “ggul”(honey). In the 18th century, the absence of “dalda” with sweeteners such as “ggul” can be explained by the economy of expression. On the other hand, the co-occurrence of “dalda” with “ggul” in the 19th century, which may seem redundant, can be a strategy to increase semantic transparency. The author of this article attributes this result to the expansion of the readership of cookbooks from a household to the publ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