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탯줄유래 줄기세포의 계대배양에 따른 특성 변화의 분석

        박세아,강현미,허진영,윤진아,김해권,Park, Se-Ah,Kang, Hyun-Mi,Heo, Jin-Yeong,Yoon, Jin-Ah,Kim, Hae-Kwon 대한생식의학회 2009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6 No.1

        목 적: 중간엽 줄기세포를 임상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체외 배양을 통한 세포증식 과정이 필요하나, 오랜 기간 동안 체외 배양을 하게 되면 노화되어 특성이 변하고 분화 능력 또한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현재까지는 초기 계대배양의 세포만이 임상에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체외에서의 세포 배양이 세포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와 함께 세포의 특성 변화 없이 체외증식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구들이 골수 및 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탯줄유래 줄기세포의 체외 배양에 따른 특성 변화 분석 연구는 아직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탯줄유래 줄기세포의 체외 배양 시 계대배양 증가에 따른 줄기세포의 특성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사람의 탯줄유래 줄기세포 (human umbilical cord-derived stem cells, HUC)를 분리하여 in vitro에서 계대배양하였다. 계대배양에 따른 세포의 형태와 population doubling time (PDT)을 조사하고 RT-PCR 방법을 이용하여 mRNA 분석을 하였으며 면역세포화학 염색법을 이용하여 단백질 발현을 분석하였다. 결 과: 탯줄유래 줄기세포는 평균 10번의 계대배양 후 senescence를 나타냈다. 세포의 형태는 7번째 계대배양 이후 세포질이 넓어지고 세포의 크기가 커지는 변화를 나타냈으며 PDT가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계대배양 4, 8, 10번째 시기의 세포의 mRNA 변화를 분석한 결과 Oct-4, HNF-4${\alpha}$, mRNA는 10번째 계대배양까지 지속적으로 발현하였으나 nestin, vimentin mRNA는 지속적으로 발현이 감소하였고 SCF mRNA는 지속적으로 발현이 감소하였다. 이에 반해 HLA-DR${\alpha}$, Pax-6, BMP-2 mRNA는 모든 계대배양 시기의 세포에서 발현되지 않았다. 면역세포화학 분석법을 통한 3, 6, 9번째 계대배양 세포의 단백질 발현 분석 결과 SSEA-3와 SSEA-4는 3, 6, 9번째 계대배양 세포 모두에서 발현하였으나 ICAM-1과 HLA-ABC는 계대배양이 증가함에 따라 발현이 증가되었다. Thy-1 단백질은 p9에서 발현이 증가되었으며 이와 반대로 TRA-1-60와 VCAM-1 단백질은 p6과 p9 시기에 발현이 감소되었다. HLA-DR 단백질은 모든 계대배양 시기에 발현되지 않았다. 결 론: 본 연구결과 탯줄유래 줄기세포는 체외 배양 시 줄기세포 특성이 일부 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앞으로 줄기세포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체외 배양법의 발달을 위한 연구들이 수행 되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Mesenchymal stem cells (MSC) comprise a promising tool for cellular therapy. It is known that long-term in vitro culture of human bone marrow and adipose tissue derived-MSCs lead to a reduction of life span and a change of stem-like characters. The aim of our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stem cell properties of human umbilical cord-derived stem cells (HUC) could be affected by in vitro expansion. Methods: HUC were isolated from human umbilical cord and cultured for 10 passages in vitro. Morphology and population doubling time (PDT) were investigated, and changes of stem cell properties were examined using RT-PCR and immunocytochemistry during serial subcultures. Results: Morphology and PDT of HUC began to change slightly from the 7th passage (p7). Expression level of nestin and vimentin mRNAs increased along with the culture period from p4 until p10. In contrast, expression level of SCF mRNA decreased during the same culture period. Expression level of Oct-4 and HNF-4${\alpha}$ mRNAs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throughout the culture period until p10. Expression level of BMP-4, FGF-5, NCAM and HLA-ABC mRNAs appeared to increase as the culture continued, however,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Immunocytochemical studies showed that HUC at p3, p6 and p9 positively were stained with antibodies against SSEA-3 and SSEA-4 proteins. Interestingly, staining intensity of HUC for ICAM-1 and HLA-ABC gradually increased throughout the culture period. Intensity against thy-1 and fibronectin antibodies increased at p9 while that against TRA-1-60 and VCAM-1 antibodies began to decrease at p6 until p9.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HUC change some of their stem cell characteristics during in vitro culture. Development of culture system might be needed for the maintenance of characteristics.

      • KCI등재

        사람의 지방 및 제대에서 유래된 유사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심근세포로의 분화 유도

        박세아,강현미,김은수,김진영,김해권,Park, Se-Ah,Kang, Hyeon-Mi,Kim, Eun-Su,Kim, Jin-Young,Kim, Hae-Kwon 대한생식의학회 2007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4 No.4

        목 적: 사람의 HAD와 HUC를 심근세포로 분화 유도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사람의 HAD와 HUC를 분리하여 5-azacytidine을 24시간 처리하고 여러 가지 BMP와 FGF을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또한 HUC은 BMP와 FGF와 함께 activin A 또는 TGF-$\beta$1 또는 Wnt inhibitor를 첨가하여 배양한 후 심근세포 특이 유전자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결 과: HAD를 5-azacytidine 처리하고 기본배양액에서 4주 동안 배양하였을 때 TnT 유전자가 새로이 발현하였으며 Cmlc1과 kv4.3의 발현 양이 증가하였다. 5-azacytidine 처리 후에 BMP-4와 함께 FGF-4 (B4/F4) 또는 FGF-8 (B4/F8)을 첨가하여 배양하였을 때는 $\beta$-MHC 유전자 발현이 새로이 유도되었으며, Cmlc1, TnT, TnI 그리고 Kv4.3 유전자 발현 양이 더 많이 증가하였다. HUC은 5-azacytidine 및 BMP와 FGF 처리에 의해 유전자 발현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BMP와 FGF와 함께 activin A 또는 TGF-$\beta$1을 첨가하여 배양하였을 때, BMP-2와 FGF-8 (B2/F8)을 첨가하여 배양한 세포에서 $\beta$-MHC 발현이 새로이 유도되었으며 $\alpha$-CA, TnT 그리고 Kv4.3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또한 BMP와 FGF와 함께 Wnt inhibitor를 처리하여 1주 동안 배양하였을 때 Cinlc1 유전자 발현이 새로이 유도되었으며 $\alpah$-CA, TnT, TnI 그리고 Kv4.3의 발현이 증가되었다. 결 론: HAD는 BMP와 FGF 처리에 의해 심근세포 특이 유전자의 발현증가를 유도할 수 있었으며 HUC는 BMP와 FGF와 함께 activin A 또는 TGF-$\beta$1 또는 Wnt inhibitor를 처리함으로써 심근세포 특이 유전자의 발현증가를 유도할 수 있었다. 따라서 HAD와 HUC는 심장질환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세포 치료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the differentiation potential of human adipose-(HAD) and human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like stem cells (HUC) into cardiomyocytes. Methods: Cells were initially exposed to 5-azacytidine for 24h cells and then were cultivated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ctivin A, TGF-$\beta$1, or Wnt inhibitor with various combinations of BMP and FGF. Assessment of cardiomyogenic differentiation was made upon the expression of cardiomyocyte-specific genes using RT-PCR. Results: HAD that cultivated in control medium for 4 weeks after 5-azacytidine expose showed new expression of TnT gene and increased expression of Cmlc1 and kv4.3 genes. However, HAD cultivated in the presence of combinations of BMP-4/FGF-4 (B4/F4) and BMP-4/FGF-8 (B4/F8) showed new expression of $\beta$-MHC gene and more increased expression of Cmlc1, TnT, TnI, Kv4.3 genes. Significantly enhanced expression of Cmlc1, TnT, and Kv4.3 genes were also observed compared to that cultivated in the control medium. Treatment of HUC with either 5-azacytidine or combinations of BMP and FGF did not affect the expression profile of these genes. However, when activin A or TGF-$\beta$1 was present in addition to the BMP-2/FGF-8 (B2/F8) after 5-azacytidine exposure, HUC exhibited new expression of $\beta$-MHC gene and increased expression of $\alpha$-CA, TnT and Kv4.3 genes. When Wnt inhibitor was present in addition to BMP and FGF, HUC showed new expression of Cmlc1 gene and increased expression of $\alpha$-CA, TnT, TnI and Kv4.3 genes. Conclusions: Based on these observations, it is suggested that HAD and HUC could differentiate into cardiomyocytes which might be used as therapeutic cells for the heart diseases.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수학 수업에서 나타난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실천적 지식 탐색

        박세아 ( Se-ah Park ),임경원 ( Kyoung-won L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7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특수학급에서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수학 수업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수교사의 실천적 지식은 무엇이고, 그 지식 이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 방법의 하나인 실행연구(action research)를 적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연구자이자 수업자인 교사 자신과 3명의 학급학생, 그리고 6명의 참여관찰자이다. 연구 결과,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수학 수업에서 나타난 특수교사의 실 천적 지식범주는 ``수학과 PBL 모형을 특수학급 학생에 맞게 변용하기``, ``적정한 수업계획``, ``분수에 친숙해지게 돕기``, ``학생 주도의 수업 연출하기``로 정리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특수학급의 특성에 적합하게 변용하여 수학과 PBL수업이 적 용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수학수업의 반성적 실행과정을 통해 수업 현장에서 나타나는 교수기술에 대한 피드백을 받고 수업을 개선시킬 수 있었다. 또한 교사 주도적 수업에서 탈피하여 학생활동 중심의 수업을 시도하는 경험을 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얻은 실천적 지식을 통해 교사는 수업 전문가로 거듭나는 계기를 마련 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in math instruction that utilizes the problem-based learning (PBL) strategies. To achieve the purpose, an action research method was us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a researcher who instructed the classes, six peer teachers who provided feedback after observing classes, and three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The data collected from eight classes based on eight reflective circulations, were analyzed by an inductive method. Practical knowledge of teachers, obtained by math class utilizing PBL was four upper categories (with 14 subcategories and 44 meaning units) emerged: (a) modifications to math classes and PBL strategies, (b) an appropriate class design, (c) supporting students to become familiarized with fractions, and (d) designing student-directed instruc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conclusions can be drawn as follows. First, teachers need to modify math classes and PBL strategies to meet students’ educational needs. Second, the class that considers students’ capacities and limitations, as well as a proper amount of activities should be designed. Third, teachers need to employ embedded instructions that use real-life examples and easy language. Fourth, teachers need to facilitate the student-directed learning.

      • KCI등재

        장미꽃차의 음용 만족도에 관한 연구

        박세아(Se-A Park) 한국차학회 2013 한국차학회지 Vol.1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to develop rose teas, an empirical rose tea drinking satisfaction survey was carried out. The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s in Seoul and the Seoul Metropolitan area, 430 responses were utilized in the analysis, and hypothesis testing was conducted by using SPSS 12.0 and Amos 18.0. For the tea-drinking group, both functionality and practicability factors had an effect of positive (+) significance on satisfaction. In particular, the functionality factor had a greater controlling effect in its impact on satisfaction for taste. Next, for the tea-drinking group, only the practicability factor had an effect of positive (+) significance on satisfaction.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practicability factor had a greater controlling effect on satisfaction with taste, whereas the practicability factor had a greater controlling effect on satisfaction with scent in non tea-drinking group.

      • KCI등재

        한국 여대생의 서비스 매너 교육 요구도

        박세아 ( Se A Park ),주영애 ( Young Ae Ju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2 유라시아연구 Vol.9 No.2

        각 대학에서 시행되고 있는 서비스 매너 교육의 질적 개선을 위하여 대학생의 서비스매너 교육 요구도 조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매너 교육 프로그램과 강사 자질, 교육 시스템과 관련하여 대학생들의 요구도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1012년 3월 19일부터 3월 21일까지 S여대와 D여대에서 배포, 회수한 총 265부의 설문지를 바탕으로 SPSS 12.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최종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측치 4부를 제외한 총 261부가 연구결과 활용되었다. SPSS 12.0을 이용하여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교육기관, 교육기간, 자격증반 개설시 수강여부, 자격증 취득시 취업활용여부에 대한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과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Analysis)를 실시하였다. 희망취업직종별, 매너교육이수여부, 아르바이트 및 직장생활경험여부에 따른 교육프로그램, 강사자질, 교육시스템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t-test,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자격증반 개설시 수강여부, 자격증 취득시 취업활용여부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군집분석(cluster analysis) 를 실시하고 추가적으로 집단 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한 t-test,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신뢰성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계수를 이용하였고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Amos 18.0을 사용하여 교육프로그램, 강사자질, 교육 시스템 각 변수에 탐색적 요인분석(EFA),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실시 하였으며 구조방정식에 의한 경로계수를 제시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여대생들의 서비스 매너 교육 요구도에는 교육시스템이 유의도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었으며 교육프로그램이 유의도 p<.01 수준에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강사자질은 유의하지 않았다. 매너교육 이수여부는 교육프로그램과 서비스매너 교육 요구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었으며, 아르바이트 및 직장생활 경험여부는 교육 시스템과 서비스매너 교육 요구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여대생은 서비스매너 교육 기관에 대하여 대학 내 관련 과목 개설(28.7%)에 대한 요구하였고 교육 희망 기간에 대한 응답은 4주 과정(55.5%)을 가장 많이 희망하였으며 서비스 매너 교육과 관련한 자격증(예: CS 리더스 국가공인) 과정이 대학 내 특별 과정으로 개설된다면 수강할 의사가 있다(50.6%)라고 응답하였다. 여대생의 희망취업직종별 요구도를 살펴본 결과, 서비스· 마케팅직 취업을 희망하는 대학생들의 요구도가 높았으며 고객응대(p<.05)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았다. 강사자질은 PPT 능력 제작 (p<.01)이 뛰어나고 다양한 실무 경력과 연수경험, 매너를 전공하고 관련국가자격증과 석·박사 학위를 소지한 전문성(p<.05)을 요구하였다. 서비스·마케팅직을 희망하는 대학생은 서비스 매너와 관련한 자격취득이 용이(p<.05)한 교육시스템을 요구하였으며 대학 내 서비스 매너 관련 과목 개설(p<.05)을 요구하였다. 아울러 서비스 매너 관련 자격증 취득이 취업에 도움이 될 것(p<.05)이라고 응답하였다. 한편, 연구·사무직을 희망하는 대학생은 서비스 매너와 관련한 심화 자격증반이 개설될 경우 수강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하였다(p<.01). 여대생의 매너 교육 이수 경험 여부별 서비스 매너 교육 요구도를 살펴본 결과, 매너 교육을 이수한 경험이 없는 대학생은 교육시스템(p<.001)과 교육프로그램(p<.01)에 대한 요구도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었으며, 매너 교육을 이수한 경험이 있는 대학생은 교육시스템(p<.05)에 대한 요구도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었음을 확인하였다. 매너교육을 이수한 경험이 없는 대학생은 매너 관련 심화 자격증이 취업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p<.05). 한편 매너 교육을 이수한 경험이 있는 대학생은 대인관계(p<.001), 고객응대(p<.01), 글로벌문화(p<.05) 순으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다. 또한 교육자와 수강자간의 교류(p<.01)를 갖춘 교육 시스템을 원하였으며 교육평가시스템과 교육 컨텐츠(p<.05) 및 교육이수과정의 행정시스템(p<.05)과 관련한 요구도가 높았다. 아르바이트 및 직장 경험 여부별 여대생은 교육시스템과 서비스매너 교육 요구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전체적인 하위영역 교육프로그램, 강사자질, 교육시스템과 관련하여 유의한 결과는 도출되지 않았다. 한편 직장생활 경험이 있는 학생들은 교육시스템과 관련한 세부변수에 대한 유의도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교육자와 수강자와의 교류(p<0.05), 교육이수시간(p<0.05), 교재 및 교육 컨텐츠(p<0.05), 자격취득의 활용도(p<0.05), 교수 이수과정의 행정시스템(p<0.05)에 대한서비스 매너 교육 요구도가 유의하였다. 교육프로그램 요구도와 관련한 변수는 글로벌문화(p<0.01)에 대한서비스 매너 교육 요구도가 유의하게 도출되었으며 강사자질은 전문가적 이미지(p<0.05)를 가진 바른 품성(p<0.05)을 요구하였다. 직장경험이 없는 대학생은 서비스 매너 관련 자격증반이 개설될 경우 수강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하였다((p<0.05). 본 연구 결과를 종합 정리하여 본다면, 여대생은 취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서비스 매너 관련 자격증 취득이 가능하고 용이한 교육행정시스템과 대인관계, 고객응대, 글로벌문화 컨텐츠를 강화한 교육 프로그램을 요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각 대학은 관련 과목을 개설하여야 하며 PPT 능력 제작이 우수하고 다양한 실무 경력과 연수경험, 매너를 전공하고 관련국가자격증과 석·박사 학위를 소지한 전문성을 갖춘 교수자를 선별하여 수강자와의 교류를 강화한 멘토-멘티 관계 형성의 교육 시스템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It is necessary to survey the demand among korea university students for the education of service & manners being implemented in many universiti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s about the demand of korea university students in relation to the service & manners education program, the quality of the instructors and the educational syste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for the demand of the service & manners education among korea women’s university students, the educational system had a meaningful positive(+) influence with the significance level of p<.001 and also the educational program had a meaningful positive(+) influence with the significance level of p<.01. The quality of the instructors was not significan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pletion of manners education had a meaningful positive(+) influence on the educational program and the demand for the service & manners education while working part time or full time had a meaningful positive(+) influence on the educational system and the demand for the service & manners education. Regarding the institute of service & manners education, university students (28.7%) asked for the opening of related subjects within the university. About the desired period of education,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55.5%) wished to have 4-week course, and 50.6%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y are willing to take the course if the courses related to the qualification certificate related to service & manners education (ex: national certificate for CS leaders) is opened as a special course within the university. The greater part of the students demanded to be able to get a job in service and marketing job category, and the highest demand was for an education program for dealing with customers (p<.05). The instructors were required to have a good ability in the production of PPT files (p<.01, various practical career, training experience and good manners with a national qualification certificate and master``s or doctorate degree in related areas, and professionalism (p<.05. The woman’s University students who wished to have a job in service and marketing area asked for an educational system which will make it easier to acquire a qualification certification related to service & manners (p<.05), and also the opening of the subjects related to service & manners (p<.05). They also answered that it will be helpful in getting a job if they acquired a qualification certificate related to service & manners (p<.05). In the meantime, the woman’s university students who wished to have a job in research and office work said that they are willing to take the course if an intermediate course for the acquisition of a qualification certificate related to service & manners is opened (p<.01). To look at the demand for service & manners educ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who did or did not complete the manners education, the demand for the educational system (p<.001) and the educational program (p<.01) had a meaningful positive(+) effect on the woman’s university students who had not completed the manners education, while the demand for the educational system (p<.05)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woman’s university students who had completed the manners education. The students who had not completed the manners education responded that the intermediate qualification certificates related to manners will be helpful to job finding (p<.05). Meanwhile, the woman’s university students who had the experience of completing the manners education had a high demand of the educational programs in the order of personal relations (p<.001), dealing with customers (p<.01) and global cultures (p<.05). They also wanted an educational system that provided the exchanges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tudents (p<.01) and many asked for an educational evaluation system, educational contents (p<.05) and the administration system for the educational courses. It was confirmed that working part time or full time had a meaningful positive(+) effect on the demand for the educational system and service manners educations. However, no meaningful results were found related to the general sub-category educational programs, quality of instructors, and the educational system. Meanwhile, it was confirmed that the students who had working experience had significance in the specific variables related to the educational system. There were meaningful demands for the exchanges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tudents (p<0.05), the hours of education (p<0.05), textbook and educational contents (p<0.05), usage of the acquired certifictes (p<0.05), and the administrative system for the educational courses (p<0.05). The service & manners education about global culture (p<0.01) was found meaningful in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demand for educational programs, and a professional image (p<0.05) with a good personality were required for the quality of instructors. The students who had no working experience responded that they are willing to take the course if a qualification course related service & manners is opened (p<0.05).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korea women’s university students are demanding the educational administrative system that can make it easier to acquire a qualification certificate related to service & manner helpful to job finding and the educational programs that reinforce personal relations, dealing with customers and contents of global cultures. Therefore, korea universities are required to open such subjects and select the teachers who have a good ability in the production of PPT files, various practical career, training experience and good manners with a national qualification certificate and master``s or doctorate degree in related areas, and professionalism ir order to equip themselves with an educational system that can reinforce the exchanges with the students and form a mentor-mentee relationship.

      • 자기인식과 성장을 원하는 20대 여성의 인지행동치료 단일사례 연구

        박세아 ( Park Se-a ),김정민 ( Kim Jung-min ) 명지대학교 아동가족심리치료센터 2022 아동가족치료연구 Vol.20 No.-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가 성인의 자기 인식, 성장에 미치는 효과와 함께 인지, 정서, 행동의 변화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인지행동치료는 자기인식, 인지적 재구조화, 노출에 초점을 맞추어 구성되었다. 연구대상은 자기인식 및 성장을 원하는 20대 여성이다. 연구는 화상상담으로 2021년 3월부터 2021년 6월까지 주 1회, 회기당 50분씩 총 10회기로 진행되었다. 연구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회기별 기술을 바탕으로 내담자의 성장을 방해하는 사고, 행동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담자는 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스스로에 대한 부정적 평가를 적응적인 평가로 변화시켰고, 이러한 양상은 타인에게 폐를 끼친다는 생각을 하며 회피하던 모습의 완화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행동치료가 내담자의 인지, 정서, 행동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인지행동치료가 내담자의 자기인식과 자기 성장에 인지, 정서, 행동적 변화를 통해 내담자의 자기인식과 성장에 효과적임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on adult self-awareness and growth and how it affects changes in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in this study was constructed with a focus on self-awareness, cognitive restructuring, and exposure.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adults in their 20s who want to know about themselves and grow through them. The study was conducted once a week from March 2021 to June 2021 with a total of 10 sessions, 50 minutes per session.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effect, based on the technology of each session, changes in thinking and behavior that hinder the growth of clients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session progressed, the client found a negative evaluation of himself in a positive way, and this pattern was found to be a relief of the avoidance, thinking that it would cause trouble to others. Secon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client's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chang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was verified that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is an effective treatment for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changes in the client's self-examination and self-growth.

      • KCI등재

        사람의 제대 및 양막유래 줄기세포의 간세포로의 분화

        김지영,이윤정,박세아,강현미,김경식,조동제,김해권,Kim, Ji-Young,Lee, Yoon-Jung,Park, Se-Ah,Kang, Hyun-Mi,Kim, Kyung-Sik,Cho, Dong-Jae,Kim, Hae-Kwon 대한생식의학회 2008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5 No.4

        Objectives: Many types of liver diseases can damage regenerative potential of mature hepatocytes, hepatic progenitor cells or oval cells. In such cases, a stem cell-based therapy can be an alternative therapeutic option. We examined whether human amnion-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HAM) and human umbilical cord-derived stem cells (HUC) could differentiate into hepatocyte-like cells as therapeutic cells for the liver diseases. Methods: HAM and HUC were isolated from the amnion and umbilical cord of the volunteers after a caesarean section with informed consent. In order to differentiate these cells into hepatocyte-like cells, cells were cultivated in hepatogenic medium using culture plates coated with fibronectin. Effects of hepatocyte growth factor, L-ascorbic acid 2-phosphate, insulin premixture fibroblast growth gactor 4, dimethylsulfoxide, oncostatin M and/or dexamethasone were examined on the hepatic differentiation. After differentiation, the cells were analyzed by RT-PCR, immunocytochemistry, immunoblotting, albumin ELISA, urea assay and periodic acid-schiffs staining. Results: Initial fibroblast-like appearance of HAM and HUC changed to a round shape during culture in the hepatogenic medium. However, in all hepatogenic conditions examined, HUC secreted more amounts of albumin or urea into medium than HAM. Expression of some of hepatocyte-specific genes increased and expression of new genes were observed in HUC following cultivation in hepatogenic medium. Results of immunocytochemistry and immunoblotting analyses demonstrated that HUC secreted albumin into the culture medium. PAS staining further demonstrated that HUC could store glycogen inside of the cells. Conclusions: Both HUC and HAM could differentiate into albumin-secreting, hepatocyte-like cells. Under the same hepatogenic conditions examined, HUC more efficiently differentiated into hepatocyte-like cells compared with the HAM. The results suggest that HUC and HAM could be used as sources of stem cells for the cell-based therapeutics such as in liver diseases. 목 적: 사람의 제대유래 줄기세포 (HUC)와 양막유래 줄기세포 (HAM)를 간유사세포로 분화 시키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산모의 동의아래 만삭 정상 산모로부터 양막 및 제대를 얻고 줄기세포를 분리, 배양하였다. 분리된 세포의 줄기세포로서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RT-PCR, 세포면역화학 분석 그리고 중배엽성세포로의 분화능 실험을 하였다. 또한 이들 줄기세포를 분화 배양액에서 간유사세포로 분화 유도 후, 간세포 특이 유전자 발현, 알부민 ELISA, 알부민에 대한 면역블로팅 및 세포면역화학염색 그리고 PAS 염색을 시행하였다. 결 과: 사람의 양막 및 제대로부터 세포를 분리하여 줄기세포로서의 특성을 조사하고, 이들 세포의 지방세포, 연골세포, 골아세포로의 분화능력을 확인하였다. 동일한 분화 배양액에서 HUC과 HAM을 간유사세포로 분화시킨 결과 HUC이 모든 조건에서 HAM보다 알부민과 요소를 더 많이 합성 분비하였다. 간유사세포로의 분화능력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난 HUC을 가지고 최적의 분화를 유도한 결과 $1.2{\pm}0.8\;{\mu}g/mL$의 알부민을 합성 분비하였고, $8.9{\pm}1.2\;mg/dL$의 요소를 합성 분비하였다. 결 론: HUC과 HAM 모두 알부민을 분비하는 간유사세포로 분화할 수 있었으며, HUC이 더 잘 유도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로써 HUC과 HAM을 간질환 환자의 간세포 이식 치료에 필요한 세포치료제로써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