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첨단 수송장비용 센서 및 응용시스템 개발

        박세광 경북대학교 센서기술연구소 1996 연차보고서 Vol.1996 No.-

        자동차의 안전성 향상과 편리성은 정밀한 기계적 시스템과 첨단 전자 시스템의 조화에 의한 것이다. 현재 자동차의 전자 시스템 중 엔진의 고효율을 위해 엔진유입 공기량, 실린더의 압력, 엔진의 회전수 등을 검출하는 센서부와 사고의 원인인 타이어 펑크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이 첨단 수송 장비의 핵심 부품이다. 따라서 이를 개발하기 위해서 1) 자동차용 엔진 공기유량센서, 2) 자동차용 엔진 압력센서, 3) 회전수·측정 자기센서, 4)자동차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시스템 등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자동차용 센서응용·개발을 위한 기초 기술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The improvement of safety and convenience in motor car lies on the harmony of a minute mechanical system and high-tech electric system. Nowadays the core part of the high-tech transport equipment is the system and the sensor part. The system monitors the flat tire that causes accidents and the sensor part detects the air amount of a engine intake, the pressure of the cylinder and the turn number of an engine for high efficiency of engine in car electronic system. In order to develop it, therefore we have studied 1) an air flow sensor for car engine, 2) a pressure sensor for car engine, 3) the magnetic sensor detecting turn number, 4) the system monitoring pressure of car tire. These reseaches will be the basic techniques to develop the car sensors

      • 실리콘 압력센서의 개발

        박세광,서희돈 경북대학교 센서기술연구소 1990 연차보고서 Vol.1990 No.-

        기계적변위에 의존해 오던 압력 측정이 반도체의 압저항 효과(piezoresistive effect)를 이용함으로써 소형, 고성능의 전자식 센서로 개발되기 시작했다. 식각공정으로 제작된 0.5∼20[㎛] 의 두께를 가진 다이어프램이 여러 가지 압력범위에 대해 변형하고 이 변형으로 저항값이 변화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바꿀 수 있는 것이 실리콘 압저항형 압력센서의 원리이다. 현재까지 보편적으로 제일 많이 상용화 된 것이 압저항형으로서 본 연구를 통해 국산화 및 실용화의 기초 준비를 함으로써 장차 국내에서 압력센서의 수요에 대처하고 나아가서 보다 감도(sensitivity)가 우수한 용량형 압력센서의 개발을 위한 기술축적을 한다. 또한 압력센서 상용화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패키징 (packaging) 인데 이에 대한 새로운 미세가공기술(micromachining technology)로 저온에서 정전 접합 (electrostatic bonding)을 할 수 있는 새로운 재료를 사용하여 장기안정성 (long-term stability)을 개선시키고자 한다. 용량형압력센서는 압력의 변화를 용량의 변화로 나타내는 장치이다. 그러나 이 용량형 압력센서는 출력감도가 비선형이고, 출력 임피던스가 높고 기생용량의 영향을 받기 쉽기 때문에 용량의 변화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저 임피던스로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회로의 개발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감도, 넓은 감도범위 및 저드리프트가 요구되는 것을 고려해서 기생용량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는 SC형 적분기를 이용하여 용량차에 비례하는 전압을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회로와 신호 전송시 S/N의 비가 크고, 디지털화가 용이한 C-F 인터페이스회로 (용량을 주파수로 출력)를 설계하고 각 회로의 동작 특성을 PSPICE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검토한다.

      • Antibody Phage Display 기법과 그 응용

        박세광 인제대학교 백병원 2002 仁濟醫學 Vol.23 No.2

        In recent years, the use of display vectors and in vitro selection technologies has transformed the way in which we generate ligands, such as antibodies and peptides, for a given target. Using this technology, we are now able to design repertoires of ligands from scratch and use the power of phage selection to select those ligands having the desired (biological) properties. With phage display, tailor-made antibodies may be synthesized and selected to acquire the desired affinity of binding and specificity for in vitro and in vivo diagnosis, or for immunotherapy of human disease. This review addresses recent progress in the construction of, and selection from phage antibody libraries, together with novel approaches for screening phage antibodies. As the quality of large na ve and synthetic antibody repertoires improves and libraries becomes more generally available, new and exciting applications are pioneered such as the identification of novel antigens using differential selection and the generation of receptor a(nta)gonists. A combination of the design and generation of millions to billions of different ligands, together with phage display for the isolation of binding ligands and with functional assays for identifying (and possibly selecting) bio-active ligands, will open even more challenging applications of this inspiring technology, and provide a powerful tool for drug and target discovery well into the next decade.

      • KCI등재후보

        정온도형 유속 및 유량 측정센서

        박세광,김형표,Park, Se-Kwang,Kim, Hyoung-Pyo 한국센서학회 1992 센서학회지 Vol.29 No.3

        기체와 액체의 유숙을 측정하기 위한 반도체 기술을 이용한 소형의 정온도형 유속센서가 제작되었다. 유속센서는 유속에 영향을 받는 대류 열전달만을 검출하도록 설계되었고, 다른 종류의 열전달과 간섭효과는 기준센서의 사용으로 상쇄되도록 하였다. 원리는 유동에 의한 센서 양단전류의 변화로 유속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 유속센서의 실험은 수돗물로 가는 관(지름 8mm)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그 결과 센서의 소비전력과 유속의 제곱근 사이의 관계는 유속이 0-200cm/sec 범위에서 거의 선형으로 나타났다. A constant temperature type of flow sensor using a solid state micromachining technology was developed for measuring the velocity of gas or liquid. It was designed to detect only the heat convection related to flow velocity. Other heat transfer terms and common mode interferences are canceled by differentiating both reference and exposed flow sensor. It employs the principle that the change of current through the sensing element can be used to measure the flow velocity.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behavior on this flow sensor was performed in a narrow tube(diameter : 8mm) for city water. The relation between power consumption of the flow sensor and square-root of flow velocity is almost linear in the low velocity range(0-200 cm/sec).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