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esearch towards New Innovation Strategies in Korea via Focused Group Method

        박성욱,곽재원,김현철 아시아기술혁신학회 2022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Vol.11 No.2

        As the COVID-19 pandemic crisis left developing countries with economic setbacks, it is high time to highlight that innovative technologies lead the digital economy. The big power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re already implementing industrial policies that involve large-scale fiscal expenditures to secure the lives and safety of their people. To prepare for the future up to 2025, this paper reflects opinions of industry-academia-research experts regarding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industry trends. By reflecting results of focus group interviews and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industry trends, a new high-level 5X strategy (Digital Transformation, Energy Transformation, Bio Health Transformation, Supply Chain Transformation, and Research Transformation) to solve national tasks required for the existing ten policy demand fields and ten agenda during lower-level policy implementation stages were derived.

      • 제주도 연안 초망 어선의 소음에 관한 연구

        박성욱,서익조,오승훈,김병엽,이창헌,서두옥 濟州大學校 海洋硏究所 2002 해양과환경연구소 연구논문집 Vol.26 No.-

        제주도 연안에서 이루어지는 초망 어업에서 수중음을 이용하여 멸치 어군을 유효하게 집어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어선의 주기관을 공회전시켰을 때의 선상과 어군이 유집되어 투망되는 수심 4m지점과 함께 수심 10m층의 수중 소음을 측정 조사하였다. 이때 사용한 선박의 공회전은 전진시의 800 rpm과 후진시의 1000 rpm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관의 회전수 800 rpm에서 선수(B), 갑판(D), 선미(S), 연돌 위(F), 기관실 내(E)의 소음 준위는 각각 90, 93, 106, 107, 101 dB 이었으며, 기관 회전수 1,000 rpm에서의 소음 준위는 각각 93, 95, 110, 109, 103dB이었다. 2. 회전수를 800rpm으로 할 경우 100, 300, 500, 1000, 1500, 2000 Hz에서 선수의 소음 준위는 4m인 경우 각각 92, 95, 102, 97, 94, 92dB 이었으며, 수심 10m인 경우 87, 88, 99, 96, 94, 93 dB이었고, 선체 중앙에서는 4m인 경우 94, 91, 100, 96, 94, 92dB, 10m인 경우 93, 92, 99, 95, 93, 91dB이었다. 선미에서는 4m인 경우 98, 94, 100, 97, 94, 92 dB이었으며 10 m인 경우 92, 93, 99, 96, 93, 92 dB로 나타났다. 3. 후진시 사용하는 회전수 1000 rpm으로 할 경우 100, 300, 500, 1000, 1500, 2000 Hz에서 선수 소음 준위는 4m인 경우 각각 86, 91, 98, 95, 93, 92 dB로 나타났고, 10m인 경우 88, 87, 99, 96, 94, 92 dB로 나타났으며, 선미에서는 4m인 경우 88, 88, 99, 96, 93, 92 dB, 10m인 경우 88, 86, 99, 96, 94, 92 dB로 나타났다. In order to obtain a basic data for alluring a school of fish, anchovy with emitting underwater sound, an experimnet for measuring noise level was carried out on no-load operation of a engine. noise level was measured at the depths of four meters and ten meters and analyzed. Then, the revolution per minute of the ship used at this field experiment was 800 including 1000. The results were followed. 1. On 800 rpm, noise levels on board were 90, 93, 106, 107 and 101 dB in the order of bow, deck, stern, funnel, funnel and engine room. In addition, 93, 95, 110, 109 and 103 dB on 1000 rpm, respectively. 2. on 800 rpm, underwater noise levels of the depth of four meters at the bow were 92, 95, 102, 97, 94 and 92dB at the frequencies of 100, 300, 500, 1000, 1500 and 2000 Hz, respectively and those of the depth of ten meters were 87, 88, 99, 96, 94 and 93 dB. Underwater noise levels of the depth of four meters outside the engine room were 94, 91, 100, 96, 94 and 92 dB at the frequencies of 100, 300, 500, 1000, 1500 and 2000 Hz, respectively and those of the depth of ten meters were 93, 92, 99, 95, 93 and 91 dB. Underwater noise levels of the depth of four meters at the stern were 98, 94, 100, 97, 94 and 92 dB at the frequencies of 100, 300, 500, 1000, 1500, and 2000 Hz, respectively and those of the depth of ten meters were 92, 93, 99, 96, 93 and 92 dB. 3. On 1000 rpm, underwater noise levels of the depth of four meters at the bow were 86, 91, 98, 95, 93 and 92 dB at the frequencies of 100, 300, 500, 1000, 1500 and 2000 Hz, respectively and those of the depth of ten meters were 88, 87, 99, 96, 94 and 92 dB. Underwater noise levels of the depth of four meters at the stern were 88, 88, 99, 96, 93 and 92 dB at the frequencies of 100, 300, 500, 1000, 1500 and 2000 Hz, respectively and those of the depth of ten meters were 88, 86, 99, 96, 94 and 92 dB.

      • 준동형 사상및 derivation의 연속성

        박성욱 金烏工科大學校 1993 論文集 Vol.14 No.-

        A를 가환인 바나하 대수라 하자, 본 논문의 목적은 임의의 바나하 대수에서 A위로의 모든 준동형 사상및 A에서 정의된 모든 derivation이 연속이 될 A의 충분 조건을 찾는 것이다. A가 semi-prime일 때 ?? 을 만족하는 영이델알이 아닌 A의 페이데알 I가 존재하면 영이데알{0}이 accessible 이데알 임을 먼저 보이고, 이 결과를 이용하여 임의의 바나하 대수에서 A위로의 모든 준동형 사상 및 A에서 정의된 모든 derivation의 연속임을 보였다.

      • SCIESCOPUSKCI등재
      • 금융 VIP 시리즈 : 비전통적 통화정책에 대한 고찰

        박성욱,박종상 한국금융연구원 2014 금융 VIP 시리즈 Vol.2014 No.3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까지 중앙은행의 역할 및 통화정책의 목표와 수단 등에 있어 하나의 컨센서스가 형성되었으며, 이를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정책 변화와 대비하여 전통적 통화정책(conventional monetary policy)이라고 부를 수 있음. 70~80년대 고인플레이션 경험과 2000년대 주요국 중앙은행의 물가안정목표제(inflation targeting) 도입 과정에서 물가안정이 통화정책의 최우선 목표로 자리잡게 되었음. * 다만, 물가안정 이외에 경제성장도 동시에 고려하는 소위 신축적 물가안정목표제(flexible inflation targeting)가 주된 통화정책수행 체제가 되었음.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전통적 통화정책은 물가안정을 달성하기 위해 익일물 금리등 주로 단기금리를 통화정책의 운용목표(operational target)로 하는 금리중시정책을 실시하였음. * 과거에는 통화량을 운용목표로 중시하였으나 금융자유화의 진전으로 통화승수가 불안정해지는 등 한계가 드러나면서 금리 중시 체제로 이행 단기금리가 정해지면 금융시장 참가자의 차익거래(arbitrage) 활동을 통해 신용도와 만기 등에 따른 프리미엄을 반영하여 여타 채권 및 예금과 대출상품의 금리가 정해짐. 통화정책의 수단으로는 지급준비제도, 중앙은행 여수신제도 및 공개시장조작 등이 있는데,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전통적 통화정책에서는 중앙은행 여수신제도의 하나인 대기성 여수신제도와 공개시장조작 방식의 하나인 유가증권의 RP매매가주로 이용됨. * 대기성 여수신제도는 중앙은행의 정책금리를 중심으로 상하 일정폭의 금리수준에서 제한없이 적격 금융기관에 유동성을 공급·흡수하는 제도로써 단기시장금리인 익일물금리의 상하한을 결정하는 역할을 함. *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에는 공개시장조작 대상 증권이 주로 신용위험이 거의 없으며 거래량이 풍부한 국공채에 한정되었고, 거래대상 금융기관도 매우 제한적이었음. * 과거 통화량 중시 통화정책 운영체계에서는 지급준비율 조절, 대기성 여수신제도인상업어음재할인 제도, 공개시장조작인 유가증권 단순매매 등이 주로 이용되었음. ● 중앙은행의 향후 경기 및 금리 전망을 공개하고 정책결정회의 이후 기자회견 등을 통해 의사소통을 강화하는 등 통화정책의 투명성을 향상시키고 불확실성을 줄이려는 노력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부터 전개되어 왔음. 금융시장 불안 등으로 일시적인 지급불능 상태에 빠진 금융기관에게 유동성을 지원하는 사후적 위기관리 기능인 최종대부자(lender of last resort) 역할도 중앙은행의 전통적인 기능 중 하나임. 은행은 통상 단기로 예금을 수취해 일부만을 지급준비금으로 보관하고 장기로 대출을 실행하기 때문에 부채보다 자산이 많아 지불능력에 문제가 없더라도 예금인출사태(bank-run)가 발생할 경우 지급요구에 응하지 못하는 유동성 부족에 빠질 수 있음. Bagehot(1873)은 신용경색으로 일시적인 유동성 부족에 처한 은행들(solvent but illiquid banks)에게 충분한 유동성을 공급(lend freely)하되 도덕적 해이를 막기 위해 벌칙금리를 적용(at a high rate of interest)하고 양질의 담보를 징구(on good banking securities)해야 한다고 권고(Bagehot``s dict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