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박성민,장원철,Park, Sungmin,Jang, Woncheol 한국통계학회 2020 응용통계연구 Vol.33 No.2
Major League Baseball (MLB) records and releases the trajectory data for every baseball pitch, called the PITCHf/x, using three high-speed cameras installed in every stadium. In a previous study, the quality of the pitch was assessed as the expected number of bases yielded using PITCHf/x data. However, the number of bases yielded does not always lead to baseball scores, or runs. In this paper, we assess the quality of a pitch by combining baseball analytics metric Run Expectancy and Run Value using a Random Forests model. We compare the quality of pitches evaluated with Run Value to the quality of pitches evaluated with the expected number of bases yielded.
박성애,공학양,김승현,박성민,신영규,Park, Sung-Ae,Kong, Hak-Yang,Kim, Seung-Hyun,Park, Sungmin,Shin, Young-Kyu 응용생태공학회 2016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3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different land covers of an urban park (Hyowon park) in downtown Suwon on the urban thermal variations during a hot summer. The effect of the air temperature reduction in the urban park was 4.4%-4.5% for the downtown residence (Maetan-dong). This value was about 0.8% lower than that of the outskirts residence (Sanggwanggyo-dong). The daily mean temperature, daily maximum temperature, summer day and heat wave frequency were measured under the different land covers (cement-block, grass, pine-grass, shading area and mixed forest) showed these values generally decreased under natural land cover types. Daily minimum temperature and tropical night frequency didn't seem to correlate with the land cover types. Means of thermal comfort indices (wet bulb globe temperature, heat index and discomfort index) in the shading area, mixed forest and the pine-grass types were lower than those of cement block and grass types. However the levels of those indices were equal to 'very high' or 'caution' levels in the afternoon (13:00-15:00). In the morning (06:00-08:00), thermal comfort indices of the urban park didn't correlate with land cover types. Therefore, to reduce heat stress and to improve the thermal comfort in urban parks, an increase in the area of natural land cover such as grass, forest and open spaces is required.
청소년기 관계적 공격성과 관련된 개인적, 환경적 특성 고찰: 국내 학술지 발표논문을 중심으로
박성민(Park Sungmin),임정하(Lim Jungha) 한국인간발달학회 2021 人間發達硏究 Vol.28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관계적 공격성에 관한 국내 학술지 발표연구의 경향을 파악하고 분석대상 논문을 바탕으로 청소년기 관계적 공격성과 관련된 개인적, 환경적 특성을 고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발표된 청소년기 관계적 공격성에 관한 논문 총 47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논문의 발표현황, 연구대상, 연구유형, 관계적 공격성 변인 유형, 측정도구, 관계적 공격성과 함께 분석된 변인들을 살피고, 그 내용을 개인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관계적 공격성에 대한 연구는 최근 10년간 꾸준히 수행되었으며, 초기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다. 자료수집방법으로는 자기보고식 질문지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관계적 공격성 변인이 종속변인으로 분석된 경우가 많았다. 관계적 공격성과 관련된 개인적 특성으로는 부정정서, 정서조절능력 등 사회・정서발달 영역의 변인이, 환경적 특성으로는 부모의 양육행동이 포함된 가족특성 변인이 주로 다루어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기 관계적 공격성에 대한 추후 연구의 방향과 청소년과 부모를 위한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study aims to provide a comprehensive review of studies on relational aggression during adolescence in South Korea. First, a systematic review of methods and findings on relational aggression was conducted. Second,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relevant to relational aggression were extracted from empirical findings of published articles. An electronic search of the literature published between 2004 and 2020 identified 47 studies for inclusion. Studies were coded to extract data on participant characteristics, research design, instruments, type of variable and relevant factors. Results indicate that the articles on relational aggression of adolescents have been steadily published over the past 10 years. Participants were mostly in their early adolescence and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method was most frequently used to assess relational aggression. Also, relational aggression was analyzed mainly as a dependent variable in the cross-sectional approach. Findings demonstrate that personal characteristics linked to relational aggression were primarily socio-emotional factors including emotion regulations, rejection sensitivity, and negative emotions. Also, environmental factors linked to relational aggression were mainly parenting style including psychological control and monitoring. Recommendations and consideration are given to future directions in the study of relational aggression during adolescence.
아동학대 예방에 관한 연구 동향: 국내 학술지 발표논문을 중심으로
박성민(Park, Sungmin),김미진(Kim, Mee Jean),임정하(Lim, Jungha) 한국인간발달학회 2021 人間發達硏究 Vol.28 No.3
본 연구는 아동학대 예방에 관한 국내 학술지 발표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발표된 아동학대 예방에 관한 논문 총 96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를 대상으로 논문의 발표현황, 연구의 방법론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아동학대 예방에 관한 연구는 2016년과 2017년을 중심으로 2010년대 후반에 가장 많이 발표되었으며, 주로 사회과학분야와 복합학분야에서 수행되었다. 둘째, 방법론적 측면에서 이론적 연구와 경험적 연구가 비슷한 비율로 수행되었으며, 경험적 연구는 주로 횡단적으로 접근한 양적 연구로 수행되었다. 자료수집을 위해 질문지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문헌자료를 활용한 연구도 많았다. 아동학대 예방에 관한 연구들은 신고의무자와 부모를 포함하여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소수에 그쳤다. 셋째, 내용적 측면에서 대부분의 연구는 아동학대 유형을 구분하지 않고 통합하여 다루었으며, 연구내용은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정책과 제도, 아동학대 예방 프로그램을 다룬 연구가 많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학대 예방에 대한 추후 연구의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rends in the previous literature on the prevention of child abuse in South Korea. A literature search was performed in two databases provided by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the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Ninety-six published articles meeting the inclusion criteria were analyzed. A systematic review was conducted to evaluate trends in the year of publications, methodology, and contents. Major findings indicated that the articles on the prevention of child abuse were most frequently published in the late 2010s. Many studies were conducted in social science and convergence.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were conducted at a similar rate, and empirical studies were conducted mainly as quantitative cross-sectional studies. Most of the studies collected data using the questionnaire method. Additionally, the number of studies targeting adults including mandatory reporters and parents was higher than those targeting children. The most popular research issues were laws, policies and institutions, and child abuse prevention programs. Suggestions are provided as future directions in the study of child abuse prevention.
가스 하이드레이트 동공점유특성을 이용한 합성가스로부터의 CO<sub>2</sub> 분리 공정
박성민(Park, Sungmin),이승민(Lee, Seungmin),이영준(Lee, Youngjun),김봄희(Kim, Bomhui),서용원(Seo, Yongwo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11
석탄가스화복합발전과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는 CO₂분리법으로 연소 전 탈탄소화는 연료가 연소되기 전에 CO₂를 회수하는 방법으로 현재 여러가지 분리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스 하이드레이트의 다양한 응용 분야 중 이산화탄소 격리분야에서 합성가스로부터 CO₂롤 효과적으로 분리/회수하기 위하여 가스 고형화법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가스 하이드레이트 형성과정에서의 반응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순수계와 촉진제 첨가계(TBAB, TBAF, THF)에 대하여 반응시간에 따른 가스소모량 및 기상의 CO₂ 조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이드레이트 상에 고농도의 CO₂가 포집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순수계와 THF 첨가계의 경우 가스 소모량이 다른 계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이는 순수계의 경우 구조-I의 큰 동공과 작은 동공에 모두 기체가 점유되기 때문이며, THF 첨가계의 경우 구조-II의 큰 동공에만 기체가 점유되지만 THF의 첨가로 인해 전환율이 증가되기 때문이다. 반면, TBAF와 TBAB 첨가계의 경우에는 상재적으로 낮은 가스 소모량을 보였다. 기체 소모량이 큰 경우 최종 기상의 CO₂ 조성이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모든 실험조건에서 1시간 이내에 하이드레이트 형성반응이 종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촉진제 첨가에 의한 하이드레이트의 구조적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Raman 분광법과 ¹H-NMR을 이용하여 혼합가스 하이드레이트를 분석하였다. 본 실험으로 얻어진 결과는 가스 고형화법을 이용한 합성가스 분리 공정 설계 및 개발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가스 하이드레이트 기반 CO<sub>2</sub> 분리 공정의 열역학적 및 분광학적 해석
박성민(Park, Sungmin),이승민(Lee, Seungmin),이영준(Lee, Youngjun),김연주(Kim, Yunju),서용원(Seo, Yongwo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05
석탄가스화복합발전(IGCC)공정에서 가스화기를 거쳐 생성된 합성가스로부터 CO₂를 효과적으로 분리/회수하기 위해 가스 고형화법을 제안하였다. 가스 하이드레이트 형성과정에서의 반응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반응시간에 따른 가스소모량과 기상의 CO₂ 조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순수계와 촉진제 첨가계 (TBAB (10, 40 wt%), TBAF (10, 34 wt%), THF (4, 19 wt%))에 대하여 하이드레이트 생성 후의 기상과 하이드레이트상의 CO₂ 조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하이드레이트 형성법에 의해 고농도의 CO₂가 하이드레이트상에 포집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가스 소모량 측정실험에서는 THF 19.1 wt%를 첨가하였을 때 가장 큰 소모량을 보였으며, TBAF 10 wt%를 첨가하였을 때 가장 적은 가스소모량을 보였다. CO₂ 조성 변화 실험에서는 가스 소모량 실험과 마찬가지로 THF 19.1 wt%를 첨가하였을 때 가장 큰 조성변화를 보였다. 이는 THF의 첨가로 인하여 가스 하이드레이트로의 전환율 증가로 많은 양의 CO₂ 기체가 하이드레이트 상에 포집되었음을 나타낸다. 속도론적인 측면에서는 모든 실험조건에서 하이드레이트 형성반응이 1시간 이내에 대부분 종결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¹H-NMR을 통하여 혼합가스 하이드레이트의 구조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가스 하이드레이트 형성법을 이용한 합성가스 분리 공정 개발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열역학적 촉진제가 포함된 H<sub>2</sub>+CO<sub>2</sub> 혼합 하이드레이트의 상평형
박성민(Park, Sungmin),이승민(Lee, Seungmin),이영준(Lee, Youngjun),허재혁(Heo, Jae Hyeok),서용원(Seo, Yongwo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06
본 연구에서는 H₂+CO₂(40%) 혼합기체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효과적으로 분리/회수 하기 위하여 가스 하이드레이트 형성법을 제안하였다. 하이드레이트의 형성 조건을 보다 완화시켜 주기 위하여 열역학적 촉진제로서 TBAB (Tetra-n-butyl Ammonium Bromide, (C₄H_9)₄NBr))와 THF(Tetrahydrofuran)를 각각 첨가하여 열역학적 촉진 현상을 살펴보았다. 다양한 농도의 TBAB(10, 40, 60 wt%)와 THF(1, 5.56, 10 mol%)에 대하여 3상(H - Lw - V) 평형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40 wt%의 TBAB와 5.56 mol%의 THF의 농도에서 가장 큰 촉진효과를 보였으며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오히려 촉진효과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혼합가스 하이드레이트 형성시 양론비 이상의 TBAB와 THF가 첨가될 경우 반응에 참여하지 못한 TBAB와 THF가 가스 하이드레이트 형성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열역학적 촉진제로서 실제공정에 적용할 경우 40 wt%의 TBAB와 5.56 mol%의 THF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가스 하이드레이트 형성법을 이용한 합성가스 분리 공정 개발에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