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結束에 관한 硏究

        박선옥 진주여자전문대학 1986 論文集 Vol.8 No.-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binding in trace theory and to find out the generalization of binding theory. Chomsky(1981) proposed the following binding principle. (A) An anaphor is bound in its governing category. (B) A pronominal is free in its governing category. (C) An R-expression is free. Binding is a kind of dependency relation between the bound anaphor and its antecedent. This relation has four properties : obligatoriness, uniqueness of antecedent, locality and prominence (that is c-commandness). Though a pronominal is free in its governing category, it can be coindexed with the argument in the matrix sentence. This argument must c-command the pronominal and it is called indirect binder and this relation is indirect binding. Embedded infinitive complement can get the deleted subject. This deleted subject (PRO) can be indexed in three ways : subject-control, object-control and arbitrary-control. When the matrix sentence has a direct object, the deleted PRO is coindexed with object and otherwise it is coindexed with subject. There are some exceptional verbs like ask and promise, which always let the PRO coindexed with subject. These verbs can have the feature [ +subject control ] in their lexicon. When there are no subject and object in matrix sentence, the PRO gets arbitrary control. The above binding principle can apply to specified subject condition and tensed S condition. Here we find out the generalization of this theory.

      • 대화적 함축 : 그 발전과 확장 its development and extension

        박선옥 진주여자전문대학 1990 論文集 Vol.13 No.-

        Meaning of uttererance has two levels of meaning : one is "what is said" and the other is "what is implicated". Without considering "what is implicated", we often fall into misunderstanding. For instance, when someone (senior to me) said to me 'It's cold in here'. he doesn't want me to response 'Yes, it is.' He wants me to answer 'I'll close the window.' or he just wants me to close the window. This concept of conversational implicature can be related to the cooperative principle and maxims of conversation. Since the participants of talk exchanges should observe the cooperative principle, when we meet with apparent violation of maxim, we'll find that the participants observe the cooperation principle in deeper level. When we suppose this, the hearer finds out conversational implicature and understands "what is implicated" behind "what is said". According to conversational postulates of Gordon & Lakoff, we can formaiize conversational implicature, which explains indirect speech act systematically. Conversational implicature has 5 features ; It is cancellable, defeasible. non-detachable, calculable, non-conversational and non-determinable. It can be calculated from the literal meaning of the sentence under the supposing that speaker observes the maxims of conversation, or at least cooperation principle. Conversational Implicature can be extended to the structures of politeness and 'let's.' As the sentence becomes politer. it has more indirectness and therefore the process of conversational implicature interpretation becomes more complex. And non-literal use of 'let's' has conversational implicature of second-person interpretation. This paper has some limitations. First, it didn't apply the formalization to the data except from Gordon & Lakoff. Second, it didn't collect the Korean data corresponding to the English ones. Further study will compromise these limitations.

      • SCOPUSKCI등재

        3대째 우성유전된 Darier`s disease 의 1 예

        박선옥,함정희,국홍일 대한피부과학회 1975 大韓皮膚科學會誌 Vol.13 No.3

        Darier's diseaae is relatively rare dyskeratotic and inheritable dermatoses of an. autosomal irregular dominant gene. The authors observed one case of typical Dariers disease with the family hietory of three generatian of autoaomal daminant trait. 22 year-oid patient we observed has had the generalized pruritus and dark dirty and warty patehes distribnted almost on the whole skin surface especially on trunk, back and face for about 10 years. Histopathologically, the lesion showed lacunae, corps ronds and grains which are compatible with typical Dariers diseas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혼종어에 나타나는 중세시대 조어의 제양상

        박선옥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9 비교일본학 Vol.47 No.-

        본 연구는 『平家物語』와 『太平記』, 그리고 『日葡辞書』에 보이는 혼종어를 대상으로 중세 시대 조어의 양상을 다각도로 조사 고찰한 것이다. 첫째, 각 문헌에 포함된 혼종어의 비중은 「平家物語>日葡辞書>太平記」의 순이지만, 실질적 인 혼종어의 어례 수는 시대가 흐름에 따라 증가 추세를 보였다. 둘째, 鎌倉 시대에서 초기 室町 시대까지의 혼종어는 「활용하는 단어」가 70% 이상을 차지 하였고, 그중에서도 특히 동사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그러나 室町 시대 말기에는 「활용하지 않는 단어」의 비율이 70% 이상을 차지하였고, 그 대부분이 명사이었다. 셋째, 혼종어의 어종 결합형식은 모두 和語 요소와 漢語 요소가 결합한 것이며, 外來語가 구성요소로 사용된 혼종어는 보이지 않는다. 또한 초기 室町 시대까지는 「和語+漢語」의 형 식보다 「漢語+和語」의 형식이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되었지만, 室町 시대 말기에 이르러서 는 두 형식 간의 차이가 많이 줄어들었다. 넷째, 「和語+漢語」의 형식은 부사의 1語를 제외하고 모두 명사만 사용되었다. 한편, 「漢語+和語」의 형식은 다양한 품사가 사용되었지만, 초기 室町시대까지는 동사가 압도적이었 고, 室町 시대 말기에는 명사의 비중이 현격하게 높아졌다. 다섯째, 초기 室町 시대까지의 혼종어의 의미 영역은 「인간 활동의 주체」에 포함되는 말 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나, 室町 시대 말기에는 「생산물 및 용구」에 포함된 말이 상대적으 로 다수를 차지하는 변화를 보였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multiple aspects of the words coined in the Middle Ages, focusing on hybrid words from ‘Heikemonogatari’, ‘Taiheiki’ and ‘Nippojisho’. Firstly, Heikemonogatari had the greatest number of hybrid words, followed by Nippojisho and Taiheike, but the number of hybrid words increased with time. Secondly, inflection words accounted for more than 70% of hybrids words from the Kamakura era to the early Muromachi era and they were predominantly verbs. However, uninflected words accounted for more than 70% in the late of Muromachi era and most of them were nouns. Thirdly, all hybrid word combinations comprise of a Japanese and a Chinese word element and hybrid words with foreign components were not documented.In addition, ‘Chinese + Japanese’ hybrid words outnumbered the ‘Japanese + Chinese’ ones, but the discrepancy between the two types decreased in the early Muromachi era. Fourthly, ‘Japanese + Chinese’ hybrid words were normally used as nouns, expect from one adverb. On the other hand, ‘Chinese + Japanese’ hybrid words were used for various parts of a speech, but the number of nouns increased in the late Muromachi era. Fifthly, although ‘the subject of human activity’ had the greatest number of hybrid words in the early Muromachi era, the hybrid words signifying ‘production and use’ underwent a significant number of changes at the end of the Muromachi era.

      • KCI등재

        完了相 표현의 보조동사 ‘버리다’와 ‘내다’에 대한 通時的 硏究

        박선옥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a sense of completeness in the expression of auxiliary verbs, ‘Beorida' and ‘Naeda', and of the evolution. Consult the bibliography for examples on how both verbs have been used since the 15th century and how they have evolved. The auxiliary verbs ‘Beorida' and ‘Naeda', having a similar meaning, first appeared in Middle Korean and express a perfect aspect. The auxiliary verb ‘Beorida' used to demand a transitive verb in Middle Korean, but today it may also be used with an intransitive verb and adjective. However, ‘Naeda' can only be used with transitive verbs, even in Modern Korean. In addition, the verb ‘Beorida' carries a connotation of resolving pressures or concerns of the speaker. This distinction has existed since Middle Korean. The auxiliary verb ‘Naeda' connotes a sense of ac- complishment and that the subject of the sentence acts with ‘volition' and ‘spontaneity'. 이 연구의 목적은 完了相을 표현하는 국어 보조동사 ‘버리다’와 ‘내다’의 統辭와 意味를 通時的으로 살피는 데 있다. 15세기 이후의 문헌 자료에서 이들 보조동사의 사용례를 찾아내어 그 쓰임이 역사적으로 어떠한 변화를 겪었는지 정리한다. 보조동사 ‘버리다’와 ‘내다’는 中世國語 시기부터 완료상을 표현하는 공통점이 있다. ‘버리다’는 중세국어와 근세국어 시기에는 他動詞와만 결합하여 사용되었는데, 현대국어에서는 自動詞, 形容詞와도 결합이 가능하다. 보조동사 ‘내다’는 중세국어에서 현대국어에 이르기까지 타동사와만 결합하여 사용한다. 두 보조동사 모두 ‘强調’ 의미를 표현한다. 중세국어부터 현대국어에 이르기까지 ‘버리다’의 樣態는 話者의 기대와 달라져서 아쉽다거나, 부담스러운 것이 제거되었다는 것이다. ‘내다’는 무엇을 끝까지 한다는 ‘관철’의 양태 의미를 가지는데, 문장 주어의 ‘행위 수행 의지’, 그리고 話者의 ‘기대 부응’ 양태 의미도 있다.

      • KCI등재

        대학생의 토론 역량 자기효능감과 토론 평가 분석

        박선옥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과학연구 Vol.- No.74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토론 수업 수강생의 토론 역량 자기효능감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고 토론 실습에 대한 자기평가(자기 그룹 평가)와 동료평가(동료의 지정 그룹 평가) 결과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는 교양 필수 과목을 수강하는 학습자의 토론 역량을 진단하는 것이기도 하고 토론 실습에 대한 학습자들의 시각을 조사하여 토론 교육의 내실화를 꾀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수집 분석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이를 위하여 ‘사고와 표현(발표와 토론)’ 수강생 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습자의 토론 역량 자기효능감은 조사 결과, 수업 수강 전에 비하여 수업 수강 후에 크게 향상되었다. 향상도를 보면 표현역량의 향상이 가장 컸으며 그 다음은 사고역량, 형식이해역량의 순이다. 토론 실습에 대한 자기평가 분석 결과 자신의 팀을 상대팀보다 더 높게 평가하였다. 자기평가와 동료평가에서도 자기평가가 더 높았다. 토론 단계별 평균은 자기평가와 동료평가 모두 그룹 전체〉기조발언〉마무리발언〉 자유토론의 순이었다. 토론 역량에 대해서도 자기평가가 동료평가보다 높았는데 그 순서는 형식이해역량〉표현역량〉사고역량으로 동일하다. 결과적으로 토론 학습을 통해 학습자의 토론 역량은 크게 향상되었으며 자신의 팀이 상대팀보다 토론을 잘 하였다고 평가하였고, 자신이 속한 그룹이 다른 그룹보다 토론을 잘 하였으며 토론 역량도 우수하다고 평가하였다. 특기할 점은 토론 역량 가운데 사고역량은 자기효능감, 자기평가, 동료평가에서 낮은 평가를 받았다는 것이다.

      • KCI등재

        西鶴の好色物浮世草子における混種語の考察

        박선옥 일본어문학회 2023 일본어문학 Vol.103 No.-

        本稿は西鶴の好色物浮世草子から混種語を検出し、品詞分布、語種の結合パターン、意味分野の分布などを調査․考察したものである。その結果をまとめると、次のようになる。 まず、混種語の品詞としては、「名詞、副詞、動詞、形容動詞、形容詞」の5品詞が用いられているが、それらのうち名詞が圧倒的に多かった。このことから、名詞は当時の混種語の主な品詞として位置づけられるようになったと考えられる。 次に、混種語がどのような語種同士で結合されているかという結合パターンを詳細に分析すると、16形式も用いられていた。中世時代の混種語には見られない外来語を構成要素としている形式が4つも採用されており、混種語の結合パターンがより多様化したということを伺い知ることができた。 最後に、混種語の大半を占める名詞を対象にして、それらはどのような意味分野の語が多いか検討してみると、それらは異なり語数․延べ語数ともに「生産物及び用具」を表す語が最も多く、「自然物及び自然現象」を表す語は、比較的少ない傾向にあるということが確認できた。

      • KCI등재

        形容動詞化する接尾語「-的だ」と,その辭書立項の問題について

        朴善玉 한국일어일문학회 2003 日語日文學硏究 Vol.44 No.1

        현대일본어에 있어서 형용동사화하는 접미어 「-的だ」가 매우 유행하고 있다.「的」에 관한 논문을 많이 볼 수 있는 것도 그 한 예라 할 수 있다. 2001年12月에 완성된 「日本國語大辭典」第二版을 볼 때, 그것을 더 확실하게 느낄 수 있다. 「-的だ」에 관하여, 「日本國語大辭典」第一版 (1972∼1976刊)의 표제에서는 526語가 실려있었는데, 「日本國語大辭典」第二版 (2000∼2001刊)의 표제어에는 745語나 실려있었다. 여기서 第一版에는 「-的だ」의 信標題語가 第一版에 비해 219語나 늘어난 것이다. 그래서, 「日本國語大辭典」第二版의 信標題語로서 게제된 「-的だ」에 관하여 調査한 것이다. 具體的으로, 먼저 그것들 「-的だ」가 어떠한 意味로 사용되고 있는 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日本國語大辭典」第二版의 「的」의 뜻풀이 <(イ)「そのような性質を有する,それらしい」(ㅁ) 「それに關する,それについての,その方面にかかわる」>의 2분류와, 더욱 意味分類가 상세한 「三省堂國語辭典」第五版의 「的」의 뜻풀이<①「···について,···の」②「···のような」③「···の狀態にある」④「···らしい」⑤「···にかなう」⑥「性質をもつ」>의 6분류에 의하여 意味分類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나서, 각각의 말의 출전연도도 아울러 조사하였다. 그 결과, 昭和後期의 말도 明治·大正·昭和前期의 말도 모두 「···について」라는 意味로 쓰인 예는 드물었다. 그 반면에, 「日本國語大辭典」第五版의 ②③④⑤⑥에 해당되는 것이 훨씬 용례만 보이지만, 대체적으로 (イ)의 파생의 영향이 컸음을 충분히 알수 있다. 한편 1972∼1976년에 간행된 제 1판이 약 30년을 경과하여 제 2판으로 재출판된 것인데, 거기에 새롭게 게재된 모든 단어가 반드시 최근의 것만은 아니었다. 이것으로 보아 편집자가 과거에 있어서는 형용동사 「-的だ」라고 인식할 수 있게 된것도 있을 거라고 추측할 수 있다. 물론 새로운 자료를 발굴하여 게재된 것도 있을 것이지만, 철저한 편집을 통해 출판된 「日本國語大辭典」第二版이기 때문에 자료의 발굴 이상으로 편집자의 판단이 포함되어 있을 거라고 생각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