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OWL OS(운영 및 제어시스템) 개발

        박선엽,임홍서,조중현,배영호,박영식,문홍규,최영준,박장현,김태훈,박희선,진호,이정호,금강훈,최진,김재혁,Park, Seon-Yeop,Im, Hong-Seo,Jo, Jung-Hyeon,Bae, Yeong-Ho,Park, Yeong-Sik,Mun, Hong-Gyu,Choe, Yeong-Jun,Park, Jang-Hyeon,Kim, Tae-Hun,Park, Hu 한국천문학회 2012 天文學會報 Vol.37 No.2

        우주물체 전자광학 감시체계(OWL: Optical Wide-field Patrol)는 전세계에 5개의 50cm급 자동 망원경과 1개의 2m급 망원경을 설치하여 인공위성의 궤도 정보를 얻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을 운영하게 될 소프트웨어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해외 원격지에 설치되는 관측소의 50cm급 망원경의 마운트와 검출기, 돔, 기상 측기, 전원 제어 장치를 통합하여 무인으로 관측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본부에 보고하며, 각 시스템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 SOS(Site Operating System)와, 스케줄러에 의하여 각 관측소에 필요한 관측 일정을 작성하여 전달하고 관측소의 운영 현황을 모니터링 하는 NOS(Network Operating System)로 구성된다. OWL OS를 위하여,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운영하는 운영 시나리오를 설계하였으며, 이 시나리오에는 기상조건 악화와 장비 오류 등의 경우에 시스템을 보호하고 상황을 즉시 보고하는 비상사태 대처 방안을 포함하였다. 이러한 운영의 모든 단계에서 주기적 또는 필요시 로그 기록이 남도록 하였으며, 이 로그 기록을 바탕으로 사용자가 원할 때에 본부에서 운영상황을 요약하여 보여주는 각종 통계 자료를 작성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 KCI등재

        미중부지역 농지보전 프로그램에 의한 경관구조 변화분석

        박선엽(Park Seon Yeob),Stephen L. Egbert 한국지역지리학회 2003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9 No.4

        미전역에 걸쳐 80년대 중반부터 시행된 미농지보전 프로그램(CRP)은 1992년까지 약 1480만 헥타르에 이르는 농경지를 초지, 임지, 삼림, 또는 기타 보전용도로 전환하였다. CRP 시행에 의한 한 가지 주요결과는 수백만 헥타르에 이르는 초지를 확보함으로써 야생동물을 위한 잠재서식처 면적을 현저하게 증가시킨 점이다. 본 연구는 CRP 시행에 따른 자연경관의 공간구조변화를 지역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계절별 Landsat Thematic Mapper 자료를 이용하여 캔자스주 남서부 6개 카운티에 대한 CRP 시행 이전과 이후의 경지 및 초지분포 지도를 생성하였다. 다음으로, 분류후 차이분석기법(post-classification differencing)을 적용하여 경지에서 초지로 전환된 지역의 분포를 파악해내었다. 공간구조분석 프로그램 FRAGSTATS을 이용하여 지표피복의 공간패턴을 나타내는 10개 주요 통계지표를 계산함으로써 CRP 시행에 따르는 경관구조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지역에 미친 CRP의 주요 영향은, 전반적으로 자연초지 분포의 분절화가 현격하게 감소했다는 것이다. 야생동물 서식처관리의 측면에서 CRP 초지의 도입은 지편(地片)의 수, 평균 지편 크기, 지편 내부면적 등을 크게 증가시키는 효과를 낳았다. 또한, CRP 시행은 녹지간 연결성 및 결합도를 높였는데, 이는 넓게 연속된 서식처를 요하는 종들을 보호하는 데에 잠재적인 가치를 지닐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CRP는 이웃한 녹지간 거리를 감소시킴으로써 생물종들의 녹지간 이동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CRP 시행은 캔자스주 남서부 지역의 자연공간구조를 현저히 변화시킨 주요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향해 야생동물 서식처 보호를 위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The U.S. Conservation Reserve Progrant (CRP) resulted in the conversion of approximately 14.8 million ha(36.5 million acres) of cropland to grassland, woodland, and other conservation uses throughout the U.S. between 1986 and 1992. One of the major results of CRP has been the addition of millions of hectares of potential wildlife habitat, primarily as grassland .In this study, we examined regional changes in landscape structure caused by the introduction of CRP. Utilizing multi-seasonal Landsat Thematic Mapper imagery, we produced maps of cropland and grassland for the pre and post-CRP enrollment periods for a six- county region in southwest Kansas. We then applied post-classification differencing to identify regions of cropland that had been converted to CRP. Using the FRAGSTATS spatial pattern analysis program, we calculated a variety of spatial statistics to analyze changes in landscape structure due to CRP. The major impact of CRP in the six country study area has been the reversal of an overall trend of grassland habitat fragmentation. From the standpoint of potential wildlife habitat, the introduction of CRP has greatly increased the number of patches, mean patch size, and the interior or core are of grassland patches. In addition, CRP has increased connectivity and aggregation between grassland patches, potentially important factors for species of conservation interest, particularly those that require larger expanses of unbroken habitat. Finally, the distance between neighboring patches of grassland has decreased, reducing travel distance between patches, Clearly, the introduction of CRP substantially modified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southwest Kansas landscape, with important implications for wildlife habitat.

      • KCI우수등재

        계절별 위성자료를 이용한 미국 캔자스주 식생 분류 -하이브리드 접근방식의 적용-

        박선엽(Sunyurp Park),Stephen Egbert(Stephen Egbert),Dana Peterson(Dana Peterson),Aimee Stewart(Aimee Stewart),Chris Lauver(Chris Lauver),Kevin Price(Kevin Price),Clayton Blodgett(Clayton Blodgett),Jack C 대한지리학회 2003 대한지리학회지 Vol.38 No.5

        미국 캔자스주 정부와 연방정부가 필요로 하는 상세한 지표피복 수치지도제작을 위해, Landsat Thematic Mapper 자료를 이용하여 캔자스주 전체를 대상으로 43가지로 분류된 식생군단(vegetation alliance) 수준의 자연식생지도를 제작하였다. 지도제작 방법으로는 봄, 여름, 가을의 계절별 위성자료를 이용하여 두 단계 분류절차를 거치는 이른바 '하이브리드(hybrid)' 방식을 채택하였다. 이 접근 방법은 첫 단계로 unsupervised classification을 이용, 자연녹지를 농경지로부터 분리해 낸 다음, 두 번째 단계에서 supervised classification, 현장확인조사, 그리고 분류 후 다양한 보강자료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자연식생을 구분·분류해 내는 것이다. 정확도 평가는 세 가지 분류 수준에서 실행되었는데, 이는 앤더슨 분류단계 I(Anderson level I). 식생군계(vegetation formation). 그리고 식생군단 수준을 포함한다. 확인결과 전반적인 정확도는 51.7%에서 89.4%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o address the requirements of gap analysis for species protection, as well as the needs of state and federal agencies for detailed digital land cover, a 43-class map at the vegetation alliance level was created for the state of Kansas using multi-temporal Thematic Mapper imagery. The mapping approach included the use of three-date multi-seasonal imagery, a two-stage classification approach that first masked out cropland areas using unsupervised classification and then mapped natural vegetation with supervised classification, visualization techniques utilizing a map of small multiples and field experts, and extensive use of ancillary data in post-hoc processing. Accuracy assessment was conducted at three levels of generalization (Anderson Level I, vegetation formation, and vegetation alliance) and three cross-tabulation approaches. Overall accuracy ranged from 51. 7% to 89.4%, depending on level of generalization, while accuracy figures for individual alliance classes varied by area covered and level of sampling.<br/> Key Words: natural vegetation, hybrid, Anderson level I, formation, alliance.

      • 액티브 스마트 시니어의 모바일 쇼핑 경험 연구

        박선엽(Sunyup Park),강보윤(Boyun Kang),강연아(Younah Kang) 한국HCI학회 201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2

        본 연구는 질적 연구(심층 인터뷰)를 통해 액티브 스마트 시니어의 모바일 쇼핑 경험에 대해 연구하였다. 특히 모바일 퍼스트 추세에 상응하지 못하고 PC 에 머물러 있는 그들의 현 상황에 문제를 제기하고 그 이유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액티브 스마트 시니어는 모바일 쇼핑을 긍정적으로 바라보았으나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에 따라 제한된 경험을 하고 있었다. 그 이유는 모바일 기기의 한계로 인한 정보 부족으로 나타났다. 정보 부족에 대한 사용자 경험의 개선방안으로 텍스트와 이미지에서 나아가 동영상, 3D 이미지, AR/VR 등의 기술을 적용한 풍부한 정보(Rich Information)를 제품 정보의 콘텐츠로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벡터매개 질병(vector-borne diseases) 공간역학을 중심으로 한 보건지리학의 최근 연구

        박선엽(Sunyurp Park),한대권(Daikwon Han) 대한지리학회 2012 대한지리학회지 Vol.47 No.5

        기후변화가 가져올 벡터매개 질병(vector-borne diseases or VBDs)의 증가는 인구 집단의 건강에 대한 중요한 위협 요인이며, 앞으로 국제사회가 심각하게 대처해야 할 공중보건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지구온난화로 대표되는 광범위한 기후변화로 한반도 기후 특성이 아열대화 되어가는 가운데, 토지이용, 인구분포, 생태환경 변화에 따른 영향으로 각종 질병의 발생과 확산 가능성이 유례없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모기, 진드기와 같은 매개체에 의해 전염되는 벡터매개 질병은 최근 20년 동안 이들 매개 곤충의 서식범위가 확대되어 질병 발생 빈도가 현격하게 증가했다. 보건지리학은 국지적인 환경과 보건 자료뿐 아니라 보다 광역적인 자료들을 통합하여 처리, 분석하고, 공간 및 비공간 자료간의 연관성 또는 상호관계를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질병의 시공간적 변화를 탐구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발전되어 왔다. 인문 및 자연환경 요인들을 GIS를 통해 다면적으로 분석하여, 개인의 건강관련 지표들과의 상관성을 기술하고 분석하는 공간역학(spatial epidemiology)은 보건지리학의 새로운 영역으로, 공간과학, 환경과학, 그리고 역학을 세 가지 주요 축으로 하여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향후 보건지리학이 기여할 수 있는 주요 연구영역 중 하나로는, 보건 연구에서 주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보건 감시체계에 지리정보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특히,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론, 조기발생 감식 시스템의 구축, 그리고 관련 요인들의 공간변이를 예측하는 연구 등은 벡터매개 질병의 역학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주요 연구 과제들이 될 것이다. Climate changes may cause substantial changes in spatial patterns and distribution of vector-borne diseases (VBD’s), which will result in a significant threat to humans and emerge as an important public health problem that the international society needs to solve. As global warming becomes widespread and the Korean peninsula characterizes subtropical climate, the potentials of climate-driven disease outbreaks and spread rapidly increase with changes in land use, population distributions, and ecological environments. Vector-borne diseases are typically infected by insects such as mosquitoes and ticks, and infected hosts and vectors increased dramatically as the habitat ranges of the VBD agents have been expanded for the past 20 years. Medical geography integrates and processes a wide range of public health data and indicators at both local and regional levels, and ultimately helps researchers identify spatiotemporal mechanism of the diseases determining interactions and relationships between spatial and non-spatial data. Spatial epidemiology is a new and emerging area of medical geography integrating geospatial sciences, environmental sciences, and epidemiology to further uncover human health-environment relationships. An introduction of GIS-based disease monitoring system to the public health surveillance system is among the important future research agenda that medical geography can significantly contribute to. Particularly, real-time monitoring methods, early-warning systems, and spatial forecasting of VBD factors will be key research fields to understand the dynamics of VBD’s.

      • KCI등재

        부산광역시 국지적 기후 패턴에 대한 기온변화율과 불투수면의 영향

        박선엽 ( Sun-yurp Park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6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13개 기상관측지점을 대상으로 1997~2014년 동안의 기온상승율과 하강율의 계절적 특성이 연간 기온변화 특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일별 기온 자료를 시계열적으로 단순화하기 위해 푸리에분석법을 적용하였는데, 이는 기상 자료와 같이 연속적으로 수집되는 시계열자료를 몇 개의 한정된 주요 파형으로 환원하여 자료를 단순화하는 수학적 기법이다. 부산광역시의 국지적 기온변화율은 대륙도에 의해 공간적으로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계절적으로는 3월에 가장 높은 기온상승율(평균 1.121℃/month)을 보였고, 11월에 가장 가파른 기온하강율(평균 -1.564℃/month)을 나타냈다. 지역적으로 최난월인 8월 평균기온에 지배적인 영향을 주는 7월 평균기온상승율과 대륙도가 높은 지역일수록 최난일이 일찍 출현한 것으로 보아, 해양의 영향이 적은 지역일수록 기온상승률이 높고 해양 인접 지역에 비해 연중최고기온에 도달하는 시기가 앞당겨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지역 관측 지점 전체를 평균한 연도별 분석 결과도 7월 평균기온이 높은 해일수록 최난일 출현은 시기적으로 앞당겨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도시화 정도를 나타내는 불투수면의 면적 비율 역시 기온의 연 변화와 통계적으로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측지점의 불투수면 면적비율이 증가할수록 연평균기온이 높게 나타났고, 연평균 기온상승율과 하강율의 장기적 변동 폭도 크게 나타났다. Influences of seasonal warming and cooling rates on the annual temperature patterns were analyzed based on the meteorological data from 13 weather stations in Busan Metropolitan Area(BMA), Korea during 1997~2014. BMA daily temperature time-series was generalized by Fourier analysis, which mathematically summarizes complex, regularly sampled periodic records, such as air temperature, into a limited number of major wave components. Local monthly warming and cooling rates of BMA were strongly governed by the ocean effect within the city. March(1.121℃ /month) and November(-1.564℃/month) were the two months, when the most rapid warming and cooling rates were observed, respectively during the study period. Geographically, spring warming rates of inland increased more rapidly compared to coastal areas due to weaker ocean effect. As a result, the annual maximum temperature was reached earlier in a location, where the annual temperature range was larger, and therefore its July mean temperature and continentality were higher. Interannual analyses based on average temperature data of all weather stations also showed that the annual maximum temperature tended to occur earlier as the city`s July mean temperature increased. Percent area of impervious surfaces, an indicator of urbanization, was another contributor to temperature change rates of the city. Annual mean temperatu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ercent area of impervious surfaces, and the variations of monthly warming and cooling rates also increased with percent area of impervious surfa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