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박선경 한국기후변화학회 2024 한국기후변화학회지 Vol.15 No.1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as articulated by the United Nations (UN), aspire to foster a democratic society characterized by economic development, environmental stewardship, the attainment of justice, and resolution of global challenges encompassing poverty, health, and climate change. The pursuit of UN-SDGs involves the provision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from developed to developing countries. Nevertheless, the efficacy of such support in advancing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bjectives of developing countries remains ambiguous. This study endeavors to identify optimal strategies for Korea to contribute effectively to the realization of UN-SDGs. Employing an expert survey methodology, the research findings were subjected to analysis using the Delphi method. The consensus among experts underscores the foremost priority for Korea’s ODA, which centers on ‘establishing a clean water, sanitation, and hygiene system’ in developing countries. Subsequently, the second priority lies in ‘supporting disaster management and prevention technology,’ followed by the third priority of ‘providing clean energy technology and enhancing energy efficiency.’ The fourth priority pertains to ‘establishing educational infrastructure and programs.’ Furthermore, experts concur on the importance of ‘building road infrastructure and public transportation,’ ‘supporting greenhouse gas reduction through forest restoration,’ and ‘assisting in air pollution reduction’ as additional critical factor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developing countries. The insights derived from this study hol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planning and execution of Korea’s ODA initiatives.
존재론적 에피스테메를 열어가는 포스트모더니스트 -최인석 작가의 『목숨의 기억』, 인식론을 벗어난 존재-
박선경 한국어문학회 2018 語文學 Vol.0 No.142
This study examined the postmodernist knowledge and inventive techniques through the analysis of Choi 's last novel, "Memories of Life". It examines the kind of challenges escapees are going through, and therefore the author can try and establish what new territories the postmodernists can expand.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works was playful and accidental in that the causal relation of the events was not related to the subordinate syntactic relation and the evoked tales and fairy tales were staged, which corresponded to the postmodern narrative technique. The characters showed the appearance of a systematic abandoner and they seemed to be crushed by the domination of modern grand narratives or trying to escape from it. In the end, criticism of rational giant discourse and dismantling it, were the theme recognition and grammar of the work. In "Memory of Life," the characters crossed the boundaries of time and space, the dead and the living creatures converse, walked along the boundaries of death, invited past, present, and future characters into the same time and space. It has been shaped by the past and present form of a living being. This was a complete departure from reason-centered gigantic narrative and epistemology, and instead they were dreaming of becoming 'being' of nature. They were able to face reality that human existence was impossible, and 'existence' could only be filled with narrative techniques, so tale narrative was introduced into modern narrative. At the same time, the fictional narrative and the recognition of the world were leaving the dream of being, the memory of life in it. Where rationality and universal rational meta-narratives were dismantled, the territories of divisive predecessors were being prepared. The reality is still pervasive and pessimistic, and the artist has crossed the boundaries of life, dismantling the meaning of all boundaries in the subcategory and was no longer looking at the existence of reality, the ontology rather than the rational 'epistemology'. In other words, the place to get away from the rational giant narrative was the place where it could exist as 'the place where dream of existence can be achieved'. Choi InSuk has disseminated postmodernist perceptions by using deconstructive perceptions and narrative techniques against the rational - centered giant narrative, and by placing the characters of the deconstructive behavior on the front of the works. In the point that postmodern narrative does not have a big narrative that totals the discussion, it is the work of the author to dismantle the gigantic narrative and the work of denying the center by deconstructing the 'dispute' with the banner. It has been called a representative postmodernist. He was opening a new episteme that would erase the rational language game by dissolving everything in the memories of life as a world awareness and narrative, as if to encompass the dissolution work. 본 연구는 포스트모던적 인식 및 창작 기법들을 살펴보기 위하여 포스트모더니스트라 칭할 만한 작품세계를 보여온 최인석 작가의 작품집『목숨의 기억』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논의를 통해 해체주의를 재현하는 인물들은 어떠한 형태로 기존체제로부터 탈주하고 해체하는지, 포스트모던적 인식이 확장하는 새로운 영토는 무엇인지 규명해 보았다. 작품들의 서사구조는 사건의 인과관계가 종속구문적으로 연계되지 않았고, 환기되는 설화와 동화가 병기(倂記)됨으로써 ‘유희적’이고 ‘우연적’으로 전개되었는데, 이는 예의 포스트모던 서사가 갖는 한 기법이었음을 밝혔다. 또 인물들은 거개가 체제 이탈자의 모습을 보이며 근대적 거대서사의 지배에 짓눌려 있거나 아니면 그것에서 벗어나려는 모습을 보였는데, 결국 이성적 거대담론에 대한 비판과 그것을 해체하는 것이 작품의 문법이자 주제가 되고 있었다. 『목숨의 기억』에서 인물들은 물리적 시․공간의 경계를 넘어서며 죽은 자와 산 자가 함께 대화하고 동행하며 죽음의 경계선을 넘나들었고, 과거, 현재, 미래의 인물들을 동(同) 시·공간에 불러들이고, 동물 식물 인간이 한 존재 안에 과거, 현재의 다양한 모습으로 현현(顯現)되고 있었다. 이는 이성중심적 서사 및 인식론에서 완전 벗어나는 모습이었는데, 이는 그들이 자연의 ‘존재자’가 되려 했기 때문이라 파악하였다. 왜냐하면 인물들은 현실에서 ‘존재(실존)’하지 않았기에 ‘실존’은 설화적 기술로만 기입 가능하다는 현실에 대한 비판이었는데, 이것이 작가가 설화적 서술을 현대소설에 도입하는 이유라 분석하였다. 설화적 서술과 설화적 인식 안에 작가는 ‘실존’ -『목숨의 기억』인- 하려는 꿈을 마련하고 있었다. 가히 합리성과 보편 이성적 메타서사가 해체된 곳에 탈주체들의 영토를 마련하고 있었다. 실제 현실은 여전히 막막하다는 비관적 결론에 이르자, 작가는 목숨의 경계선을 ‘너머’ 서며, 그 하위범주의 모든 경계선의 의미를 해체시킴으로써, 더 이상 이성적 ‘인식론’이 아닌 실존의 여부, ‘존재론’으로 방향을 틀고 있었다. 즉 그들이 탈주해서 도달해야 할 곳은 ‘존재의 꿈을 이룰 수 있는 곳’으로, 즉 실존할 수 있는 영토였다. 최인석의 작품들은 이성중심 거대서사에 반(反)하여 탈체제적 행동방식의 인물들을 작품 전면에 내세우며 포스트모던적 인식을 형상화해 왔다. 포스트모던적 서사가 논의를 총체화하는 거대서사가 없다는 것과, 거대서사를 해체하는 작업이라는 것, ‘분쟁’을 기치로 분산화함으로써 중심을 부정하는 작업이라는 점에서 최인석 작가는 이에 충실한 작업을 치열하게 지속해 온 대표적 포스트모더니스트라 칭할 수 있었다. 그는 해체작업을 망라하려는 듯, 『목숨의 기억』에서 모든 것을 하나의 세계인식, 서사로 녹여냄으로써 이성적 언어게임을 지워버리는, 새로운 에피스테메를 열고 있었다.
지리적 인접성을 이용한 아파트 가격변화율 예측 모델 개발
박선경,이민호 한국정보과학회 2022 정보과학회논문지 Vol.49 No.6
Recently, in the real estate market, decoupling in which housing prices fluctuate by the region has been escalating. This phenomenon implies that each region is composed of districts that are adjacent to one another. This thesis confirms that the prices of a district change in synchronization with that of the adjacent districts and proves that the fluctuations in apartment prices in the districts within Seoul are due to the neighbors. The rate of change in apartment prices, macroeconomic indicators, and private education indicators are used to test the hypothesis with a 3D (time, distance, and attribute) model, which is further deciphered using CNN. The model considers the situation of neighbors and is sub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sub-models: consideration only for the target area (I), consideration for long-distance areas (II), and change in the number of neighbors (III). The metrics used are mean absolute error and mean directional accuracy. It was observed that the model with neighbors performed better than the persistence model and XGBoost. Furthermore, its sub-models showed good performance in the order of model III (with 3 neighbors), II, and I. This study clearly exhibits that the factor “neighbor” affects the rate of change in apartment prices. 최근 들어 금관구, 노도강, 마용성 등 주택가격이 권역별로 변동하는 탈동조화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해당 현상의 특징은 각 권역이 지리적으로 가까운 구들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서울시의 인접한 자치구들 사이에는 가격이 상호 동조한다고 보고 가격 변동이 인접 지역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고자 한다. 가설 검증에는 아파트 가격변화율, 거시경제지표 및 사교육 지표가 사용되며 이는 3차원(시간, 거리, 속성)의 데이터로 조립되고 CNN으로 학습된다. 조립 방식에 따라 모델은 3가지 하위 모델(타깃 지역만 고려(I), 원거리 지역 고려(II), 이웃 수 변경(III))로 세분되며 성능은 MAE와 MDA로 측정된다. 실험 결과, 이웃을 사용한 모델은 영속성 모델과 XGBoost 보다 좋은 성능을 보였고 하위 모델은 모델 III(이웃 수 3인 경우), II, I 순으로 좋은 성능을 보였다. 이를 통해 ‘이웃’이 타깃 지역의 아파트 가격변화율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코로나19와 국가역할 확대에 대한 국민 인식: 이념성향, 재난피해, 정부대응, 재난지원금의 영향
박선경,신진욱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21 한국과 국제정치 Vol.37 No.1
코로나19 위기를 계기로 국가역할 확대의 당위에 관해 많은 논의가 있었지만, 복지와 노동보호 등 다양한 국가역할에 대한 국민인식과 거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시민들의 이념 및 정치적 당파성이라는 장기적변수와 코로나 피해, 정부대응 및 재난지원금 평가 등 단기적 변수가 향후 국가역할의 확대에 대한 태도에 미친 영향을 분석했다. 분석결과는 첫째, 이념성향은 국가역할에 대한 태도에 분명한 영향을 미쳤으나, 정치적 당파성의 영향은 제한적이었다. 둘째, 코로나 피해 경험과 정부의 코로나 대응 및 긴급재난지원금에 대한 긍정적 평가는 국가역할 강화에 대한 동의와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집권당의 지지층이 아닌 경우에도 정부대응을 긍정적으로 평가할수록 국가역할 확대를 더 지지했다.
지방세포 분화과정에서 망간의 ROS 생성 및 지질축적 억제 효능 평가
박선경,정민유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3 No.9
본 연구에서는 SOD의 보조인자인 3종의 미네랄 Mn, Zn, Cu의 비만억제 효능 및 ROS 관련 기전을 확인함으로써 식이 영양인자인 미네랄의 지방세포 분화과정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3T3-L1 분화과정에서 Mn은 가장 우수한 지질축적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세포 내 ROS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Mn은 지방세포 분화과정에서 Nfr2의 발현을 통하여 Mn-SOD와 같은 내인성 항산화효소의 발현과 활성화를 유도함으로써 세포 내 ROS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초기 지방세포 분화에서 ROS 억제는 PPARγ 발현에 영향을 미치며, Mn이 이러한 인자들의 발현 조절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추가적인 동물세포 및 조직 내 추가적인 여러 기전의 연구가 요구되지만, 본 연구의 결과는 미량 영양소인 Mn이 비만 예방 효능 및 다양한 비만 유도성 대사질환에 대한 효과적인 소재로의 가능성을 보여 주는 결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 of lipid accumulation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related mechanisms of the superoxide dismutase (SOD)-related minerals (manganese [Mn], zinc, and copper). During the differentiation process of 3T3-L1 adipocytes, Mn was shown to most effectively inhibit lipid accumulation. We examined the inhibitory effect of intracellular ROS generation and its related mechanism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the antioxidant mechanisms on adipogenesis and lipogene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n treatment inhibited intracellular ROS generation by inducing the expression of nuclear factor erythroid 2-related factor 2 dur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thereby inducing the expression and activation of endogenous antioxidant enzymes such as Mn-SOD. Finally, Mn significantly regulated the adipogenesis-related protein expression in 3T3-L1 adipocytes. These results suggest the potential of Mn as an effective mineral for obesity prevention through the regulation of ROS production.
무 열수 추출물의 3T3-L1 지방세포 분화 억제 및 고지방 식이 유도 비만 마우스에서의 항비만 효능 평가
박선경,최상윤,이유건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3 No.9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세포와 고지방 식이 유발 비만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무 열수 추출물(RSWE)의 항비만 효과를 평가하였다. 고지방 식이 비만 마우스 모델에서 8주간 RSWE를 섭취한 결과, 체중 증가와 지방 축적이 효과적으로 예방되었다. 특히, RSWE 섭취 군에서는 백색 지방 조직의 지방세포 크기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RSWE 처리는 3T3-L1 지방세포의 지질 축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RSWE의 지질 축적 억제 효과는 PPAR-γ 및 FASN을 포함한 지방 생성 관련 단백질 발현의 하향 조절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또한 RSWE는 다량의 기능성 다당류를 함유하고 있으며, glucoraphasatin을 포함하고 있다는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양한 생리 활성 화합물을 함유한 RSWE가 항비만 치료를 위한 잠재적인 천연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시사하며, 이는 천연 항비만 치료제 개발에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nti-obesity effect of Raphanus sativus (R. sativus) on 3T3-L1 adipocytes and high-fat diet-induced obese mouse models. In the in vivo model, R. sativus water extract (RSWE) intake for 8 weeks effectively prevented body weight gain and fat accumulation in the adipose tissues. Specifically, the size of the adipocytes from the epididymal white adipose tissue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the RSWE intake compared to the high-fat diet-only group. Additionally, the RSWE intake effectively inhibited lipid accumulation in 3T3-L1 adipocytes. The inhibitory effect of RSWE on lipid accumulation is associated with the down-regulation of adipogenesis- related protein expression, including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and fatty acid synthase. Furthermore, we found that RSWE is composed of abundant polysaccharides (869.55 μg GE/mg dried weight) and contains glucosinolates, including sulforaphane-type compounds. Based on these results, our findings suggest that RSWE contains bioactive compounds and could be a potential material for anti-obesity treatments.
박선경 서강대학교 현대정치연구소 2019 현대정치연구 Vol.12 No.1
Studies in Korean elections argue whether economic voting theories work and most of them fail to find strong and stable economic voting patterns. To find out why economic voting theories do not work in Korean elections, this study poses several hypotheses such as the weak support base of party politics hypothesis, the economic insecure hypothesis, regionalism hypothesis, and generation conflict hypotheses. Empirical evidences from the cumulative survey wave of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support the weak party base hypothesis and generation difference hypothesis. 한국 선거에서 경제투표는 왜 잘 발견되지 않는가? 이 문제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는 비교국가사례로서의 이론적 보편성과 한국정치적 맥락에 따른 특수성을 고려하여 경제투표이론의한국적 적용을 위한 몇 가지 질문을 던지고, 한국종합사회조사 누적자료를 사용하여 이에 대한경험적 근거를 제시한다. 첫째, 한국은 정당정치 역사가 상대적으로 짧고 이로 인해 정당의지지기반이 약한 편이다. 이런 정당 지지기반의 취약성이 경제투표적용을 제한할 이론적 가능성을 논한 후, 이를 검증하기 위해 지지 정당 여부와 경제투표 간 상호작용효과를 확인하였다. 경험 분석 결과, 지지 정당이 있는 응답자일수록 사회공동체적 회고투표를 하는 반면, 무당파일수록 사회공동체적 전망투표를 할 확률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최근 한국의 세대정치이론을 경제투표에 적용하여, 20~30대 청년세대가 장년층과 달리, 국가의 경제 상황에 대한 평가에 기반하여 집권당에 투표할 확률이 높음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경제투표에 영향을 미칠가설들로 신자유주의적 개혁에 의해 피해를 볼 확률이 높은 취약계층이 경제투표를 할 가능성과 지역주의가 경제투표작동을 방해하고 있을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검토해보았으나, 이러한가설들을 지지할 경험적 근거는 발견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