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세기 유럽에서 발행된 만문(滿文) 『금강경』에에 관한 연구

        박서연 한국불교학회 2020 韓國佛敎學 Vol.95 No.-

        This writing conside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nchurian manuscript of the Diamond Sutra published in Vienna, Austria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one published on a woodblock by Emperor Qianlong. the Manchurian manuscr -ipt of the Diamond Sutra was transcribed by Ching Chai and the imperial Miyan Fang prior to being brought to Europe. The Manchurian manuscript of the Diamond Sutra does not have a Buddha’s picture in the sense of protecting the scriptures. This system is different from the version by Emp -eror Qianlong. The Manchurian manuscript of the Diamond Sutra has an oath and a mantra that cleanses the mouth before the text. The Manchurian manuscript of the Diamond Sutra is very similar to that translated by Kumārajīva. The transliteration of the Sanskrit appears in the Manchurian manuscript of the Diamond Sutra. But it does not appear in the translation of Kumārajīva. In addition, there are some examples of the cha -nge of Manchu vocabulary used in about 50 years between the late 18th century and the mid 19th century. In terms of content, there is also a difference between the Manchurian manuscript of the Diamond Sutra and the Emperor Qianlong version. 본 연구는 1897년 오스트리아 비엔나대학 동양학연구소에서 발행한 학술지에 실린 만문 『금강경』 [샤를 드 할레(Charles de Harlez) 가 필사본을 전사한 것]과 18세기 후반에 편찬된 만문대장경 제52함에 수록된 만문 『금강경』(목판본)을 상세히 대조하여 두 문헌간의 연관성 및 만문 『금강경』 필사본의 저본과 관련한 문제점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만문 『금강경』 필사본을 필사한 사람은 칭 차이(Tching tchai)와황족 미얀 팡(Miyan pang)이며, 필사기간은 1834년에서 1836년 7 월까지이다. 이후 어느 시기에 유럽으로 전해진 듯하다. 샤를 드 할레가 입수한 필사본에는 만주어역과 한역 외에 몽골어역과 티벳어역이 첨부되어 있었다. 이 필사본은 그 당시까지 유럽에는 없었고, 또유럽인들에게 전혀 알려지지 않은 것이었다. 샤를 드 할레가 전사한 것에는 호경판이 없으며, 『금강경』 본문 앞에 『반야심경경』 및 ‘입을 청결히 하는 진언’과 개경게 등이 있다. 이러한 필사본의 체재는 목판본과 다른 것이며, 현재 우리나라 대한불교조계종에서 펴낸 독송용 『금강경』의 체재와 매우 유사하다. 필사본과 목판본을 대조한 결과, 어휘와 구문 및 내용상의 차이를확인할 수 있었고, “sindambi”, “bargiyambi” 등의 단어를 통해 18세기후반과 19세기 중반 사이에 진행된 만주어 어휘의 변화 양상을 읽을수 있었다. 필사본은 구마라집 역 『금강경』과 매우 유사하지만 범어음역에서 차이를 보이며, 목판본은 참조하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후보

        비대면 디자인 교육 평가 체계 구축에 관한 기초 연구

        박서연,반영환,Park, Seo-Yeon,Pan, Young-Hwan 한국금형공학회 2022 한국금형공학회지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valuation method for online design education. Online education has established itself as the primary form in the educational field, however, there are unsatisfactory response from instructors and students due to rapid conversion of online education. Due to the transition of educational method, online class contents have become optimized and online educational experiences became accumulated. However, clear education criteria is essential. This study states importance of two parts: establishing an evaluation system based on design thinking for online design education and finding appropriate online platforms for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s and students. The research results provide implications for ensuring the efficiency of design education and are expected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future education field.

      • KCI등재

        滿文『金剛經』의 내용과 특징

        박서연 한국불교학회 2016 韓國佛敎學 Vol.79 No.-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ontent and main ideas presented in the Manchu Edition of the Diamond Sutra, pointing out contrasts between the Manchu and Chinese translations of the Buddhist Canon. The two texts are different in format and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content. I discovered that the Manchu Edition of the Diamond Sutra was not based on any particular Chinese translation of the Buddhist Canon. I think the translators of the Manchu Edition of the Diamond Sutra consulted Tibetan and Mongolian translations of the Buddhist Canon as well as the Vajracchedik.prajn.p.ramit.. They transliterated some Sanskrit terms into Manchu, words such as sirawasti, anatabindadi, .igiyamuni, etc. However, they made broad translations in Manchu of the terms Bhagav.n and Tath.gata and did not transliterate them. I argue that the most notable feature in the Manchu Edition of the Diamond Sutra is the word “atonement.” We do not see it in other editions of the Diamond Sutra. In the 18th century, the Manchus considered reciting and preaching the Diamond Sutra a good deed for removing any sin committed in past lives. I also emphasize the fact that the dh.ran. found in the Manchu Edition of the Diamond Sutra is different from Kumarajiva’s. On the contrary, it is quite similar to the one in Tibetan and Mongolian translations of the Buddhist Canon. 『금강경』은 만문대장경 제52함에 들어 있다. 호경판(上)에는 좌우에 석가모니불과 佛母의 도상이 있고, 중앙에는 귀경게와 『금강경』의 범어 경명이 만주어로 음역되어 있다. 이러한 체재는 한역과는 확연히 구별되는 것이며, 티벳역이나 몽골어역의 호경판 양식과 유사하다. 만문『금강경』의 번역자들은 인명이나 지명을 나타내는 범어 고유명사 및 주요 불교용어에 대해 음역하였으나, ‘세존’이나 ‘여래’는 의역하였다. 세존은 “eteme yongkiyafi colgoroko fucihi(이기고 갖추어서 초월한 부처)”로, 여래는 “ineku jihe fucihi(그 오신 부처)” 로 의역하였는데, 이것은 티벳역이나 몽골어역을 참조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만문『금강경』을 한역 6종과 대조하여 고찰한 결과, 만문 『금강경』은 여러 한역본들 가운데 어느 하나의 본에 의거하여 번역된 것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범본이나 티벳역, 몽골어역도 참조한 것으로 보인다. 만문『금강경』의 내용 중에서 범본 및 한역, 티벳역, 몽골어역과 비교하여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은 ‘속전’이라는 단어이다. 이 ‘속전’이란 표현을 통해,『금강경』을 수지독송하고 남에게 설해 주었음에도 이생에서 남의 천대와 멸시를 받는 것은 그 복덕으로써 전생의 악업을 정화한 것이며 궁극에는 부처의 깨달음을 얻게 된다고 한 것에서 18세기 만주족들이 불교에 대해 가졌던 인식을 엿볼 수 있다. 만문『금강경』의 마지막에 보이는 진언은 범본에는 없는 것이다. 한역 중에서 진언이 있는 것은 구마라집 역이 유일하다. 그런데 구마라집 역의 진언은 만문에 비해 그 분량이 짧고 내용도 차이가 있으므로 만문『금강경』의 번역자들이 구마라집 역을 참조한 것 같지는 않다. 만문『금강경』의 진언은 티벳역과 몽골어역에도 있으므로 이들 역본을 참조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만문『금강경』의 번역자들은 가능한 범본에 충실하면서도 한역, 티벳역, 몽골어역 등을 참조하여 만주족의 언어로 불교의 가르침을 전달하고자 했던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Changes in the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ustard leaf (Brassica juncea) kimchi extracts during different fermentation periods

        박서연,장혜림,이종훈,최영민,김행란,황진봉,서동원,김상희,남진식 한국식품과학회 2017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Vol.26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total phenolic content (TPC), total flavonoid content (TFC),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80% methanol and water extracts from mustard leaf kimchi during different fermentation periods. The methanol extract exhibited higher TPC and TFC than the water extract. Both extracts from kimchi fermented for two months showed the highest antioxidant effects against the scavenging activities of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s and 2,2-azino-bis diammonium salt (ABTS) radicals. Moreover, the methanol extract from kimchi fermented for two months showed the highest nitrite scavenging activity. The highest metal (Fe2+) chelating effect of the methanol extract and water extract was observed after three months and one month, respectively. Caffeic acid showed the highest increase with ferment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kimchi depend on the fermentation period. Accordingly,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antioxidant activity of mustard leaf kimchi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ir fermentation period.

      • KCI등재

        Enzymatic Production of Soluble Dietary Fiber from the Cellulose Fraction of Chinese Cabbage Waste and Potential Use as a Functional Food Source

        박서연,윤경영 한국식품과학회 2015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Vol.24 No.2

        Use of Chinese cabbage waste as a raw material for production of soluble dietary fiber was investigated. Chinese cabbage was treated with a mixture of 1M NaOH and hydrolyzed using Celluclast 1.5 L. A supernatant was then treated using 85% ethanol, and separated into alcoholsoluble dietary fiber (ASF) and alcohol-insoluble dietary fiber (AIF) fractions. AIF effectively hindered diffusion of glucose and bile acid from dialysis membranes, and exerted a significantly (p<0.05) greater effect on retardation of bile acid activity than both carboxymethylcellulose and pectin. Water-soluble dietary fiber obtained from the cellulose fraction of Chinese cabbage using enzymatic hydrolysis is a potential source of dietary fiber with prebiotic, hypoglycemic, and hypolipidemic effects.

      • KCI등재

        체질 량 지수가 정상인 여성의 주관적 체형 인식이 체중변화에 미치는 영향

        박서연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4

        본 연구는 주관적 체형 인식이 체중 조절 행태와 체중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규명하고, 바른 정보와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 하기위해 시행 되었다. 제6기(2013-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체질 량 지수가 18.5 - 25 kg/㎡ 인 만 19세 이상 성인 여성 6,238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교육 수준과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자신을 비만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전체 조사대상자에서, 체중 감소를 위해 운동과 식사량 감소를 가장 많이 선택하고 있었다. 체중 감소 노력 비율은 비만 체형 인식 군이 높았으나, 1년간 체중 변화에서 마름 체형 인식 군이 가장 높은 체중 감소 결과를 보였다 (p< .001). 결과적으로, 주관적 체형 인식이 체중 조절 행태 뿐 만 아니라 체중 변화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p< .001). 따라서 건강한 체중 조절 행태에 대한 교육과 바른 신체 이미지, 건강한 체형인식에 대한 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effects of subjective body-forming perception on weight-controlling behavior and weight loss, and to suggest the need for proper information and education. Using the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onducted in the 6th period (2013-2015), 6,238 women aged 19 and over who have a body mass index of 18.5 - 25 kg / ㎡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 and income level, the higher they were perceived to be obese, the more they chose to lose exercise and diet in order to lose weight across the board. The weight loss effort rate was higher in the obese body type recognition group, but the body weight type was the highest in the one year body weight change group (p < .001). As a result, subjective perception of body shape affected not only weight control behavior but also weight change (p < .001).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have a systematic education on healthy weight-controlling behaviors, proper body image, and healthy body type recognition.

      • KCI등재

        만문(滿文) 『보현소설경(普賢所說經)』의문헌적 특징과 범어 번역에 관한 연구

        박서연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Bohyeonsoseolgyeong (普賢所說經)』 translated into Manchu and its Sanskrit translation. I compared the Chinese translation of 『Daebanggwang-bohyeonsoseolgyeong (大方廣普賢所說經)』 and the Manchu translation of 『Bohyeonsoseolgyeong』. Śikṣānanda translated 『Daebanggwang-bohyeonsoseolgyeong』 into Chinese immediately after translating the 80-volume Avataṃsaka Sūtra. Through this study, I confirmed that 『Daebanggwang-bohyeonsoseolgyeong』 was the main source of 『Bohyeonsoseolgyeong』, which is included in the 57th box of the Manchu Buddhist Canon. As for Śikṣānanda's separate translation of the 『Daebanggwang-bohyeonsoseolgyeong』, two possibilities can be considered. First, from the overall composition of the 80-volume Avataṃsaka Sūtra, content from the 『Daebanggwang-bohyeonsoseolgyeong』 is not naturally connected to the content of the front and back, so it is separate from the 80-volume Avataṃsaka Sūtra. Second, it is possible that 『Daebanggwang-bohyeonsoseolgyeong』 was translated into Chinese to make up for sections that were omitted when translating the 80-volume Avataṃsaka Sūtra into Chinese. This may be due to the possibility that compilers of the Manchu Buddhist Canon translated 『Bohyeonsoseolgyeong』 into Manchu using the Chinese version of 『Daebanggwang-bohyeonsoseolgyeong』 as their main source. In the case of Hwaeomgyeong-sogibbeobgyepum (華嚴經續入法界品), its content is also found in the 60-volume and 80-volume versions of the Avataṃsaka Sūtra. However, in the case of the Manchu translation of 『Bohyeonsoseolgyeong』, there is no corresponding content in the Chinese version of the Avataṃsaka Sūtra. The compilers of the Manchu Buddhist Canon placed great importance on 『Daebanggwang-bohyeonsoseolgyeong』 as the main source for translating the 『Bohyeonsoseolgyeong』 into Manchu. However, there are some points to consider in making this assumption. One is the difference from Chinese translation and the reversed translation order in relation to the Manchu language transliteration of Sanskrit. 본 연구는 만문 『보현소설경』의 문헌적 특징과 범어 번역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만문 『보현소설경』을 한역 『대방광보현소설경』과 대조하여 고찰하였는데, 실차난타는 80권 『화엄경』을 한역한 뒤 곧이어 『대방광보현소설경』을 한역하였다. 비교적 짧은 분량의 『대방광보현소설경』이 『화엄경』 계통의 소경으로서 『만문대장경』 제57함에 수록된 만문 『보현소설경』의 주요 저본이 되었음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실차난타가 한역 『대방광보현소설경』을 별도로 역출한 것에 대해서는 두 가지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는, 범본에는 한역 『대방광보현소설경』의 내용이 있었으나 80권 『화엄경』 전체 구성에서 볼 때 전후 품과의 연관성이 자연스럽지 않기 때문에 80권 『화엄경』에서 분리하여 별도로 『대방광보현소설경』으로 한역하였을 것이라는 추정이다. 둘째는, 80권 『화엄경』을 한역한 뒤에 누락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대방광보현소설경』을 한역하였을 가능성이다. 이 가운데 두 번째 가능성이 만문 『보현소설경』이 만문대장경 제57함에 수록된 것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 『만문대장경』 편찬자들은 실차난타가 한역한 『대방광보현소설경』을 80권 『화엄경』의 내용을 보완할 수 있는 『화엄경』 계통의 소경으로서 중시하고 『만문대장경』 제57함에 수록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들은 80권 『화엄경』에 없는 내용을 담고 있는 『대방광보현소설경』을 주요 저본으로 삼아 만문 『보현소설경』을 번역한 것으로 보이지만, 범어의 만주어 음역과 관련하여 보이는 한역과의 차이점과 번역 순서의 도치(倒置) 등 만문 『보현소설경』의 저본을 특정함에 있어 고려해야 할 측면도 있다.

      • KCI등재

        수술적 절제가 어려운 간암환자에서 간동맥화학색전술 후 장기입원을 야기하는 원인인자에 대한 분석

        박서연,장남규,김재규,정용연 대한영상의학회 2011 대한영상의학회지 Vol.64 No.1

        Purpose: We wanted to analyze the causes of prolonged hospitalization (over 7 days) after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TACE) in patients with unresectable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its related factors.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the total hospital days after patients with unresectable Hepatocellular Carcinoma received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and these patients were treated during the recent 6 month at our hospital. Two hundred twenty three sessions showed a short term hospital stay (less than 7 days) and 57 sessions showed a prolonged hospital stay (more than 7 days), so a total of 280 sessions were analyzed. The hospital stay less than seven days was set for the control group and this was correlated with the patient’s age, gender, the level of bilirubin and albumin, the platelet counts, the AST/ALT ratio, the a-FT, the presence of portal vein thrombosis and ascites, several scoring systems (Child-Pugh, CLIP, and OKUDA score) and the need for additional embolization at the time of the procedure. Results: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 ascites (p=0.004), portal vein thrombosis (p=0.000), a platelet count below the hundred thousand (p=0.012), a Child-Pugh score more than B (p=0.023), a CLIP score more than 2 (p=0.000) and a OKUDA score more than II (p=0.000)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 The evaluation of patients’ factors would be useful to predict extended post-procedural hospitalization after hepatic chemoembolisation. 목적: 수술적 절제가 어려운 간세포 암으로 간동맥화학색전술을 시행한 환자군에서 총 입원기간이 일주일 이상으로 장기입원이 필요했던 경우를 분석하여 이와 관련된 환자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최근 6개월 동안 간동맥화학색전술을 시행한 환자들의 재원기간을 조사하여 7일 미만인 223건과 7일 이상이었던 57건을 대상으로 하여 총 280건을 조사하였다. 재원기간이 7일 미만이었던 경우를 대조군으로 설정하고 7일 이상이었던 경우와 환자의 나이, 성별, 빌리루빈, 알부민, a-FT수치, 혈소판수치, AST/ALT, 간문맥분지 혈전증과 복수의 존재 유무와, Child-Pugh 점수, CLIP 점수, OKUDA 점수, 그리고 시술 시에 추가했던 색전술 시행 여부와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결과: 재원기간이 7일 이상으로 증가되었던 경우는 복수(p=0.004)와 간문맥분지 혈전증(p=0.000)이 있고, platelet 수치 10만 이하(p=0.012), Child 점수 B이상(p=0.023), CLIP 2점 이상(p=0.000), OKUDA II 단계이상(p=0.000)인 경우가 대조군과 비교하여 의의 있는 차이를 보였다. 결론: 간동맥화학색전술을 시행한 후 장기입원을 예측할 수 있는 여러 인자들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