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과 교사교육의 내용 요소 및 발전 방향 탐색

        박새롬 ( Pak Sae-ro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성공적인 시민교육을 위해서는 사회과 교사의 교수 전문성 함양이 가장 핵심적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과 교사교육의 실태, 내용 요소 및 제한점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교수 전문성 함양을 위한 효과적인 교사교육의 내용과 방향성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기존의 사회과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이론적 지식 중심으로 실행되고 있는 현실에 대해 문제의식을 가지고. 지식 중심의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보완될 필요가 있는 까닭에 대해 분석할 것이다. 둘째, 사회과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이론적 바탕이 되는 교수전문성 연구의 흐름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사교육을 실행했을 경우 각각의 특징과 한계점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교사교육적 실행에 있어 이론적 지식 중심이나 실습 중심의 중간단계의 교사교육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학습자가 일정한 상황에 몰입하여 책임감을 가지고 교수행위 개선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상황학습과 같은 기존의 교육형태와 차별화된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구성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효과적인 사회과 교사교육을 구안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Focusing on the idea that the cultivation of teaching professionalism among social studies teachers was the most essential element of successful citizenship education,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present state and limitations of current teacher education and propose the content and directionality of effective teacher education for the cultivation of teaching professionalism based on them. For those purposes, First the study would raise problems with the reality in which the old educational programs for social studies teachers were carried out around knowledge and analyze the reasons why knowledge-based teacher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supplemented. Secondly, the study would first figure out the flows of old researches on the professionalism of social studies teachers, which are the theoretical base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each in the implementation of teacher education based on them. Finally, the study would point to a need that the learners at the theoretical knowledge- or practice-based intermediate stage should commit themselves to certain situations and take active part in the improvement of teaching acts with a sense of responsibility in the implementation of teacher education. It would also propose that there should be differentiated teacher education programs from the old educational formats such as situated learning. Those processes would lead to a theoretical foundation based on which to devise effective education for social studies teachers.

      • KCI등재

        사회과 정치 참여 수업의 의미와 구성 방안 - 능동적 시민성 교육 이론을 중심으로 -

        박새롬 ( Pak Sae-ro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정치 참여`가 사회과 수업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 시민적 역량임에도 지식 중심으로 다루어지는 현실에 대한 문제 의식을 가지고 그 의미와 방안에 대해 구체화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정치 참여 및 능동적 시민성에 관한 이론적 논의들을 분석하였으며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치 참여는 시민이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정치적 결정 등에 영향을 주기 위해 참여하는 일상적인 행위이자 능동적 시민성을 구성하는 핵심 역량이다. 이에 따라 사회과 정치 참여수업은 이와 관련된 지식, 기능, 가치태도의 획득이나 정치 참여 행위의 빈도 증진을 목표로 하는 데서 나아가 능동적 시민성을 목표로 하여 구성되어야 한다. 둘째, 사회과 정치참여 수업은 일상에서의 정치 참여와 차별화되어야 하며, 정치 참여 행위 역량을 발전시켜나갈 수 있도록 조직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수업을 통해 정치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요건들을 체계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우선 학급 내 공동체를 구성하여 구성원으로서의 소속감이나 책임감을 환기시키고 구성원 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 등을 바탕으로 민주적 가치를 추구하는 행위를 할 수 있도록 안내해야 한다. 또한 지역사회 등 외부 공동체와의 연계를 바탕으로 다양한 정치 참여 활동을 해볼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논의는 사회과 정치 참여 수업이 정치 참여 행위 역량 강화에 의미있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시사점을 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Conceived by the problematic consciousness that only knowledge-centric lessons were provided for "political participation" even though it was one of citizens` capabilities that should be addressed importantly in social studies lessons, this study set out to propose its specific meanings and plans. For that purpose, the investigator analyzed theoretical discussions about political participation and active citizenship. The analysis results led to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political participation is a daily act for citizens to engage in to influence political decisions as the members of community and part of core capabilities that make up active citizenship. It is thus required to organize social studies lessons on the topic of political participation under the goal of active citizenship beyond such goals as acquiring the knowledge, functions and value attitudes of political participation and increasing the frequency of political participation acts. Secondly, social studies lessons on the topic of political participation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political participation in daily life and organized in a way that they can help the students develop the core capabilities of political participation acts. The students should be able to experience the core requirements that have positive influences on their political participation in a systematic fashion in social studies lessons. They should be instructed to build a community and awaken a sense of belonging and responsibility in themselves as its members, share their goals and problematic situations with others, and engage in acts of pursuing democratic values based on positive interactions among themselves. In addition, they should be able to do various activities of political participation based on their ties with the community. Those discussion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organization of social studies lessons about political participation in a significant way to reinforce their capabilities of political participation acts.

      • KCI등재

        변혁적 리더십에 기반한 사회과 수업 전문성의 의미와 구성 요소

        박새롬(Pak Sae-rom)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7 사회과교육 Vol.56 No.2

        사회과 수업은 교사와 학생 간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실행되고 이 과정에서 본래 목표로 설정하지 않았던 다양한 시민교육적 결과들이 나타난다. 이에 따라 교사는 시민 교육의 전문가로서 이러한 상황들을 인식하고 대비해 나갈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민교육적 맥락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사회과 수업 전문성의 내용 요소를 구체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Bass(1985)의 변혁적 리더십 개념을 활용하여 사회과 수업 전문성의 의미와 구성 요소에 대해 구체화하였으며 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 수업 전문성은 수업 내적 설계 및 실행 외에도 환경적 요소를 효과적으로 조직하고 통제하는 전문적 행위 등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포괄해야 하며, 학습 공동체의 리더로서 요구되는 전문적 자질을 검토하고 발전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둘째, 사회과 교사는 변혁적 리더십과 같은 시민성 교육에 효과적인 리더로서의 역량을 인식해야 한다. 또한 리더십이 체계적으로 발휘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어 효과적인 수업을 설계 및 실행하는 데 필요한 이론적 지식을 검토 및 구성하며, 실천적 행위 및 반성적 성찰을 통하여 자신만의 실천적 지식을 생성하고 리더십 역량을 강화시켜 나가야 한다. 이러한 논의는 사회과 수업 전문성 논의가 교육과정에 제시된 지식, 기능, 가치태도 등을 교육시키는 데 필요한 전문적 지식 중심으로 구성되는 데서 나아가 제시된 목표 그 이상의 시민교육적 목적을 추구해나가기 위한 전문적인 자질 등으로 발전되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어 토대가 된다. Social studies lessons are based on constant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their students, in which process various outcomes not included in the original list of goals emerge in terms of civic education. Teachers are thus required to recognize and prepare for such situations as experts on civic education. Under the goal of materializing the content elements of professionalism in social studies lessons to cope with the contexts of civic education effectively, this study set out to specifically examine the meanings and components of professionalism in social studies lessons by adopting Bass(1985)"s concep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rofessionalism in social studies lessons should include concrete discussions about professional acts to organize and control environmental elements in and outside lessons effectively in addition to lesson design and implementation inside lessons. It is thus needed to review and develop the qualifications required from the leaders of civic education community in addition to professional knowledge and reflective introspection required in lesson design and implementation. Secondly, social studies teachers need to recognize their capabilities as effective leaders for citizenship education such a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For effective leadership, they review and reorganize the theoretical knowledge needed to design and implement lessons proper for leadership, and work on the creation of their own practical knowledge and reinforcement of their own leadership capabilities through practical actions and reflective introspection. Those discussions will form a foundation for professionalism in social studies lessons to become the center a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knowledge needed to teach the knowledge, functions, and value attitudes proposed in the curriculum and further to develop the professional qualification to pursue the goals of civic education beyond the objectives proposed in the curriculum.

      • KCI등재

        정치 수업에서 사회과 의사결정학습 모형의 활용 방안

        박새롬(Pak Sae-rom)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6 사회과교육 Vol.55 No.4

        정치교육의 핵심적인 목표 중에 하나는 학생들이 정치적 권리를 가진 존재로서 정치생활을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주도해나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의사결정능력은 정치생활을 주도하는 데 있어 바탕이 되는 필수적인 역량이지만 정치 수업 차원에서 사회과 의사결정학습을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 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치 수업에서 의사결정학습이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치 수업에서 의사결정학습을 활용할 때 의사결정의 목적이 집단의 구성원으로서 민주적 가치를 추구하기 위한 것임을 분명히 하며, 집단 구성원간의 교류를 통해 더 나은 의사결정이 될 수 있도록 숙의해보는 기회를 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정치적 의사결정에는 선택중심형, 합의도출형, 문제해결형의 다양한 유형이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각 유형별 특성을 반영하여 수업을 구성함으로써 여러 유형의 정치적 의사결정을 효과적으로 경험해볼 수 있도록 한다. 선택중심형 의사결정은 자율적인 판단과 선택이 강조되는 데 비해 합의도출형 의사결정은 타인과의 협상 및 조율과정이 중시되며 문제해결형 의사결정은 실제 참여의 바탕이 된다는 점이 상대적으로 강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의사결정능력’을 기능적으로 습득하는 데서 나아가 정치적 의사결정의 과정에 몰입하게 함으로써 능동적인 정치생활을 주도할 수 있도록 안내해야 한다. One of the core goals of political education is to empower students to lead their political life in an active manner as individuals with political rights. Decision-making abilities are an essential capability required in political life, but there is little research on how to make use of decision-making learning in political lessons. This study, thus, set out to propose effective utilization plans for a decision-making learning model in political lessons. They are as follows: first, it is required to ensure that the purpose of making a decision is for the members to pursue the democratic values in political lessons where decision-making learning is put in use. It is also needed to provide them with a chance for deliberation so that they will make a better decision through exchanges among each another. Secondly, it is critical to consider the various political decision-making types including choice-centric, agreement-reaching, and problem-solving and implement them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The choice-centric decision-making type puts an emphasis on autonomous judgments and choices. The agreementreaching type emphasizes a negotiation and coordination process with others. The problem-solving type becomes a base for actual particip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d to design political lessons in ways that they would not only focus on the improvement of “rational decision-making abilities,” but also allow students to gain political decision-making experiences needed for political life in various forms.

      • MCSVM을 이용한 반도체 공정데이터의 과소 추출 기법

        박새롬(Sae-Rom Pak),김준석(Jun Seok Kim),정술(Cheong-Sool Park),승환(Seung Hwan Park),백준걸(Jun-Geol Baek) 대한산업공학회 2014 대한산업공학회지 Vol.40 No.4

        Yield prediction is important to manage semiconductor quality. Many researches with machine learning algorithms such as SVM (support vector machine) are conducted to predict yield precisely. However, yield prediction using SVM is hard because extremely imbalanced and big data are generated by final test procedure 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Using SVM algorithm with imbalanced data sometimes cause unnecessary support vectors from major class because of unselected support vectors from minor class. So, decision boundary at target class can be overwhelmed by effect of observations in major class. For this reason, we propose a under-sampling method with minor class based SVM (MCSVM) which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ordinary SVM algorithm. MCSVM constructs the model that fixes some of data from minor class as support vectors, and they can be good samples representing the nature of target class. Several experimental studies with using the data sets from UCI and real manufacturing process represent that our proposed method performs better than existing sampling methods.

      • KCI등재

        일반논문 : 행복 교육을 위한 교육 수요자들의 요구 분석 연구

        안금희 ( Keum Hee Ahn ),구정화 ( Jeong Hwa Koo ),송현순 ( Hyun Soon Song ),박새롬 ( Sae Rom Pa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교육문화연구 Vol.20 No.4

        본 연구에서는 행복 교육에 대한 교육 수요자들의 이해 및 이에 따른 교육적 요구사항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행복 교육에 대한 개념적 이해와 행복을 위한 교육 내용 요소에 대한 논의를 교과 및 범교과 교육과정 안에서 연계시키면서, 우리 학교 상황에서 요구되는 행복 교육의 방향성과 내용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범교과영역은 행복 교육을 실현하는 데 중요한 교육과정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교과 일변도의 교육과정 운영 풍토로 인해 활성화되지 못해 그 편성 및 운영에 있어서 보다 분명한 방향성과 실행 방법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수도권 지역(서울, 경기, 인천) 30개 학교 초중고 학생과 학부모 100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연구 결과는 행복 교육을 위한 제도적 기반, 교과 교육과정의 방향성과 범교과 교육과정의 방향성, 내용 요소 및 학습 방법에 관해서 반영할만한 시사점을 제시해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improve school curriculum for developing institutional grounds for the education for happiness and to investigate ways to practically link subject and cross subject curriculum. The agenda of education for happiness has been advocated during the last a few years, and one of the main topics to motivate the current government policies for school reform. This study examines a theoretical clarification of what it is meant by the education for happiness, and how the agenda could be realized in school curriculum. In particular, cross curriculum is an essential domain in which the agenda could be settled in school curriculum, but for now the domain of cross curriculum has never been virtually activated in schools, even though the implementation of cross curriculum is requir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finds a way to demonstrate a desirable direction and contents elements in which cross curriculum could be implemented in order for students to experience life competenc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takes a survey of education demanders, 1000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3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is study presents the directions for improvements in the subject curricula and suggests changes for the development of contents element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 subject and cross subject curriculum.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herefore, to give basic data and implications for planning of future curriculum development and investigating the suitable approaches to subject a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