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의 회복탄력성 관련 인자로서의 자서전적 기억 기능

        박상미,이창대,김정란,김태희,박지혁 대한작업치료학회 2023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31 No.2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measure the autobiographical memory function (AMF) of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to analyze its association with reminiscence function and with resilience.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cognitively and psychologically healthy older adults aged 60 years and older living in the community. The Korean Version of Thinking About Life Experiences,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and Reminiscence Functions Scale for the Elderly were used to measure AMF, resilience, and reminiscence function, respectivel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variables.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rticipants was 73.14 years (SD = 7.59) (n = 121). The mean score of AMF was 1.99 (SD = 0.72). AMF tended to decrease with age (p = .32). AMF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reminiscence functions (p < .001). After controlling for sociodemographic and health characteristics, AMF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resilience (β = 0.229, p < .05). AMF explained 4.2% of the variance in resilience. Conclusion: The study confirmed that AMF is a related factor to the resilience of older adults. Further studies are recommended to measure AMF with various samples, including older adults with depression and cognitive decline, and to analyze it’s association with health-related variables in order to support the advantage of AMF in older adults’ health. 목적: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자서전적 기억 기능 수준을 측정하고, 자서전적 기억 기능과 회상기능, 회복탄력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60세 이상의 인지적⋅정신적으로 건강한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자서전적 기억 기능, 회복탄력성, 회상기능을 측정하기 위해 각각 한국형 자서전적 기억 기능 평가 척도, 한국형 코너-데이비드슨 탄력성 척도, 노인 회상기능 척도를 적용하였다. 변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위해 피어슨 상관관계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결과:분석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73.14세(Standard Deviation; SD = 7.59)였다 (n = 121). 자서전적 기억의 기능적 사용 평균은 1.99점(SD = 0.72) 이었다. 자서전적 기억 기능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 = .32). 자서전적 기억 기능과 노인 회상기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p < .001).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건강 특성을 통제하고도 자서전적 기억 기능은 회복 탄력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β = 0.229, p < .05), 회복 탄력성에 대한 자서전적 기억 기능의 설명력은 4.2% 였다. 결론:자서전적 기억 기능은 회복탄력성 관련 인자로 확인되었다. 자서전적 기억의 기능적 사용이 노인의 건강에 미치는 유익에 대한 근거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우울집단이나 인지저하집단과 같은 보다 다양한 건강수준의 샘플을 대상으로 자서전적 기억 기능을 측정하고 건강변수와의 관계를 밝히는 추후연구가 필요하다.

      • 일반연제(포스터) : P-33 ; Rotavirus와 Norovirus검출을 위한 효소면역검사법(RIDASCREEN)의 평가

        박상미,박강균,이건동,조성진,박연준 대한임상병리사협회 2013 임상미생물검사학회 발표자료집 Vol.2013 No.-

        배경: 로타바이러스(rotavirus)와 노로바이러스(norovirus)는 장염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바이러스이다. 로타바이러스는 소아의 비세균성 장염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주로 겨울철에 유행되고 있다. 로타바이러스는 분변-구강으로 감염되어 심한 탈수 및 합병증으로 인하여 소아, 노인, 면역 결핍환자에서 환자의 목숨을 위협할 수 있으므로 정확하고 빠른 진단이 필요하다. 노로바이러스는 로타바이러스와 함께 비세균성 장염을 일으키는 원인이며, 경구적인 경로 외에도 환자의 분변, 구토물로 노출된 바이러스가 공기 전염으로 2차 감염을 일으키므로 시설 내 감염, 원내 감염 예의 보고가 많으므로 정확하고 빠른 진단 방법이 필요하다. 방법: 서울 성모병원에서 2013년 2월~3월 동안 로타바이러스가 의뢰된 대변 검사 대상물 95건, 노로바이러스가 의뢰된 대변 검사 대상물 107건을 대상으로 하였다. 로타바이러스는 효소면역법(VIDAS Rotavirus, bioMerieux, France)과 효소면역법(RIDASCREEN® Rotavirus, R-Biopharm AG, Germany), 그리고 multiplex PCR (Seeplex Diarrhea-V ACE Detection PCR, Seegene, Korea) 검사를 시행하였다. 노로바이러스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QuickNavi-Noro, Denka Seiken Co., Japan), 효소면역검사법(RIDASCREEN® Norovirus, R-Biopharm AG, Germany), multiplex PCR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로타바이러스의 VIDAS 검사에서는 양성 50예(약양성 1예), 음성이 45예였으며, RIDASCREEN 검사에서는 양성 50예, 음성 45예의 결과를 보였다. PCR 검사 결과 양성 48예, 음성 47예로 나타났다. PCR 검사 결과를 기준으로 VIDAS와 RIDASCREEN은 민감도 100%(48/48), 특이도 95.7%(45/47)로 같은 결과를 보였다. 노로바이러스의 QuickNavi-Noro 항원검사에서는 양성46예(약양성 3예), 음성 61예였으며, RIDASCREEN 검사에서는 양성 53예, 음성54예의 결과를 보였다. PCR 검사 결과 양성 51예, 음성 56예로 나타났다. PCR 검사 결과를 기준으로 민감도는 RIDASCREEN이 94.1%(48/51)로 QuickNavi-Noro 검사의 86.3%(44/51)보다 우수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고(P=0.185), 특이도는 QuickNavi-Noro 검사가 96.4%로 RIDASCREEN 91.1%보다 우수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219). 결론: 로타바이러스 검출에서 RIDASCREEN과 VIDAS 검사는 모두 PCR에 비교하여 우수한 예민도와 특이도를 보였다. 노로바이러스의 검출에는 QuickNavi-Noro 검사와 비교하면 RIDASCREEN이 예민도는 조금 높고 특이도는 조금 낮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 KCI등재

        서울시 도시형생활주택형의 주거환경 실태조사 분석을 통한 계획적 보완방안에 대한 연구

        박상미,김원필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23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84

        In Korea, the housing supply rate exceeds 100% (as of 2020, 103.6% according to KOSIS), but the actual housing owner rate is around 50%. The population is decreasing, but there is a continuous need for affordable housing due to the increasing number of one to two-person households across various age groups and income stratification. Urban living housing type, introduced in 2009 as a response to demographic changes, led the government to relax or exclude existing regulations related to apartment buildings to achieve a rapid increase in housing supply. However, issues such as parking shortages, external noise, narrow spaces between buildings, lack of auxiliary and amenity facilities, maintenance, and minimum land division have been pointed out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surrounding Urban living housing typ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residential complexes that have actually been buil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status of Urban living housing type supplied in Seoul, identify the problems, and find solutions, with a focus on finding suitable locations for urban lifestyle housing that is more convenient for 3-member families with one child or middle-aged couples rather than 1-2 person households. In total, one location in each of the 8 autonomous districts in Seoul was selected, and on-site inspections were conducted. Common issues identified in the survey of urban living housing type included limited green space, the absence of garbage disposal and recycling separation station, problems with signboard installations, insufficient parking spaces, and a lack of community spaces. The installation of recycling facilities and signs can be encouraged through legislation, parking space shortages can be alleviated through public parking facilities, and community space can improve livability by providing it publicly.

      • KCI등재

        소포체 스트레스가 Ajuba 발현유도

        박상미,권기상,윤은영,구태원,권오유,Park, Sang-Mi,Kwon, Ki-Sang,Yun, Eun-Young,Goo, Tae-Won,Kwon, O-Yu 한국생명과학회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7

        Ajuba is a number of proteins containing cytosolic LIM domain. Its function may provide a new pathway whereby cell-cell adhesive events are transmitted to the nucleus to regulate cell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decisions. Here, Ajuba gene expression was investigated its molecular properties associated with endoplasmic reticulum (ER) stresses (tunicamycin, DTT, A23187 and BFA) which induced remarkable ex-pression of Ajuba mRNA. The mRNA half life of Ajuba was also determined, its half life of Ajuba mRNA in FRTL-5 cells was approximately 2 hr after the initial translation. Although the obvious bioligical function of Ajuba is not clear, on the base of the results, Ajuba gene expression is deeply associated with ER stresses.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한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이 초등학생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박상미,강윤정 한국조형교육학회 2018 造形敎育 Vol.0 No.65

        본 연구에서는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한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이 초등학생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 였다. 최근 국제사회는 사회발전·경제성장·환경보호를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지속가능한 발전에 주목하고 있으며 이를 실천하 기 위해 공동체에 대한 존중을 핵심가치로 규정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술교육을 통해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한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을 계획하고 현장에 적용하여 이러한 수업이 학습자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설계한 수업은 ‘모두의 놀이터 디자인’이라는 주제로, 지속가능한 디자인으로서의 놀이터를 디자인하고 모형으로 제작하는 활동으로 구성되어있다. 개발된 수업은 총 8차시로, 초등학교 5학년의 학습자에게 적용되었다. 수업 전후로 공동체의식 검사지를 활용하여 설문을 실시한 결과,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의 공동체의식과 공동체의식의 각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 본 연구는 앞으로 보다 활발하게 논의될 지속가능발전교육이라는 큰 흐름에 있어 미술을 통한 실천적 사례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s of sustainable design classes applying PBL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nse of community. International society is paying attention to sustainable development considering social development, economic growth,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In order for this aim, global community is emphasizing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defining respect toward community as its key value. Therefore, as the measures to implement ESD through art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ustainable design classes applying PBL by applying it to the sites of education. Under the theme ‘Playground design for all’, classes are comprised of activities in which playgrounds are created into models. Eight classes have been applied to elementary school fifth graders. As a result of conducting surveys by using sense of community survey sheets before and after classes, learners' sense of community had significant improvem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since it suggested practical cases through art in ESD which is to be discussed actively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