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박용 연료전지 시스템 도입을 위한 국제 표준화 동향 분석

        박상균,윤영민,Park, Sang-Kyun,Youn, Young-Min 해양환경안전학회 2014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0 No.5

        미래 친환경 선박 기술 중의 하나로 주목 받고 있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선박 적용을 위해서 기술의 개발과 함께 필요한 것이 제도의 정비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용 연료전지 개발동향, 연료전지시스템을 선박에 탑재하기위한 관련 국제기준으로 SOLAS와 IACS의 UR 및 UI을 검토하였고, IMO MEPC, IMO BLG 및 주요 선급 규정 등 연료전지 기준의 표준화 동향, 선박용 연료전지 기술기준의 개발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 및 관련 제도의 국내도입을 위한 시사점까지 검토하였다. 현재 IMO에서 개발중인 IGF Code에는 연료전지 관련 부분이 포함되어, 본 규정 개발에 정부 및 국내 관련 기업체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며 향후 IMO에서의 관련 규정개발 동향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 For the application of fuel cell systems on ship which is future eco-friendly ship technology, it is need that the modification of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with relevant technical development. This paper reviews the trend of fuel cell development, SOLAS and IACS UR/UI as a international regulations,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trend such as IMO MEPC, IMO BLG and major classification rules, the consideration for the standard development of ship fuel cell systems, the implications for application of fuel cell systems on ships in Korea. The IGF Code which is developing in the IMO included fuel cell, and thus Korean government and related company should participate in the codification. The analysis of development of IMO's relevant regulations also needed for the preparations.

      • 개구장애 입벌림 측정 도구의 검사자간, 검사자내 신뢰도 측정

        박상균 대한연하재활학회 2018 Swallowing Rehabilitation Vol.1 No.1

        개구장애는 턱관절의 움직임 제한으로 입이 벌어지지 않는 증상을 말한다. 개구장애는 구강위생, 식사하기, 말하 기 등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초래한다. 현재 입벌림 크기의 검사는 다양한 도구가 사용되고 있다. 개구장애에 대한 여러 연구들에서 직선자, Vernier calipers, Atos Medical사의 TheraBite® range of motion scale 등이 사용되었다. 따 라서 본 연구는 여러 입벌림 검사 도구 중 사용이 간단한 TheraBite® ROM scale을 사용하여 검사자간, 검사자내 신뢰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20, 30대의 정상성인 남자, 여자 각각 5명씩 총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자는 임상경력 15년인 작업치료사와 개구장애 환자를 치료하며 입벌림을 검사한 임상경력 10년인 작업치료사로 선정하였다. 대상자는 허리를 펴고 전방을 응시하고 바르게 앉아 머리를 고정하고 입을 최대한 벌리게 하여 검사하였다. 통계 프로그램으로는 IBM SPSS version 23을 사용하였다. 검사자내 신뢰도에서 검사자A는 .986에서 .998의 신뢰도 를 보였고 검사자B는 .985에서 .998로 두 명의 검사자 모두 높은 검사자내 신뢰도를 보였다. 검사자간 신뢰도에서 두 명의 검사자는 높은 검사자간 신뢰도를 보였다(r=.994). Trismus is a condition in which the mouth is not opened due to movement limitation of the jaw joint. Trismus causes major disruption to daily life, such as oral hygiene, eating and speaking. Currently, various tools are used to measure the mouth opening. Vernier calipers and the TheraBite® range of motion scale from Atos Medical were used in several studies of the opening defect. In this study, we used TheraBite® ROM scale, which is easy to use among various mouth opening measurement tools, to investigate the intra-test and intra-test reli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normal adult 10 men and 10 women. The measurer was selected as occupational therapist who has 15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and occupational therapist who has treated open mouth disorder for 2 years or more during 9 years of career. IBM SPSS version 23 was used as the statistical program. Measurer A showed confidence in .986 to .998 and Reporter B in .985 to .998 showed high confidence in both of the two investigators. In the inter-rater reliability, two measurers showed high inter-rater reliability (r = .994). The TheraBite® ROM scale is a reliable measurement tool if the measurer measures with accurate metrics.

      • KCI등재

        A Radiographic Study on the Horizontal Angle of the Mandibular Condyle in Relation to Temporomandibular Disorders

        박상균,서봉직,김도윤,Park, Sang-Gyun,Suh, Bong-Jik,Kim, Do-Yun The Korean Academy of Orofacial Pain and Oral Medi 1999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Vol.24 No.1

        저자는 이하두정방사선사진 (願下頭頂放射線寫眞, submentovertex radiographs)을 이용하여 하악과두의 수평각과 측두하악장애와의 연관성을 평가하고자 측두하악장애의 병력 및 증상이 없고, 자연치열로 형성된 정상교합을 가진 성인 34명과 전북대학교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측두하악장애환자 38명을 대상으로, 환자군을 임상검사 및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해 편측 정복성 관절원판 전방변위 환자군, 양측 정복성 관절원판 전방변위 환자군 및 편측 비정복성 관절원판 전방변위 혹은 골관절염 환자군으로 세분한 후, 좌우측 외이도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소강구 (小鋼球)가 내재된 장치물을 이용하여 채득한 규격화된 이하두정방사선사진상에서 하악과두의 내측극과 외측극을 이은 선과 양측 외이공에 위치한 소강구를 이은 선으로부터 하악과두의 수평각을 측정하였다. 평가 결과 정상군에서의 좌(평균 25.3도), 우(평균 24.8도)측 하악과두의 수평각 (평균 25.0도)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환자군에서는 이환측 하악과두의 수평각 (평균 28.5도)이 비이환측 하악과두 (평균 26.2도)보다 유의성있게 증가된 수치를 보였다 (p<0.05). 또한 환자군 (평균 27.55도)에서의 하악과두의 수평각이 정상군 (평균 25.0도)에서 보다 유의하게 증가된 수치를 보였다 (p<0.05). 임상적으로 세군으로 구분된 환자군의 경우, 각군의 이환측 또는 비이환측, 각 군을 합한 이환측 또는 비이환측의 경우에 있어서도 정상군에서 보다 하악과두 수평각이 유의성있게 증가된 수치를 보였다 (p<0.05). 세가지로 구분된 환자군 각각의 상호 비교에 있어서는 유의성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리고 편측으로 이환된 환자군에서의 이환된 수평각 (평균 29.1도)은 비이환측 (평균 26.2도)보다 유의성있게 증가된 수치를 보였으나 (p<0.05), 양측으로 이환된 환자군에서의 좌우측 수평각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로써 측두하악장애의 진단 차원에서 측두하악장애를 유발하는 여러 요소 중외 하나로 하악과두 수평각에 대한 평가가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도농지역 사회복지형 문화재생 공간의 신체활동 치유 프로그램 참여자의 인식 및 수요분석 - 김천시를 대상으로 -

        박상균,Tomita Shigeru,오윤지,김대식,이왕록 한국농촌계획학회 2022 농촌계획 Vol.28 No.1

        This study analyzed the awareness and demand of participants in a physical activity therapy program(PATP) of a social welfare-type cultural regeneration space in urban and rural area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female(68.4%) were more than the male, and 30-39 years old(53.3%) were the most generation in the PATP participants. As a result of frequency analysis by all subjects, gender and age, 78.4% of the respondents had never participated in PATP before. The most duration of the PATP was 30 to 60 minutes(24.6%). 73.5%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it was not feeling difficult at all to the intensity of PATP, and 94.8% of the respon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intensity of PATP. The most respondents preferred to participate again with if the new PATP starts(97.2%) and to join the new PATP with his or her family members(85.7%).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under the age of 39(24.3%) perceived that the effect of improving physical fitness by PATP was higher than over 40 years of age(11.9%). As a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only the age had a significant effect(p<.01) on intensity of PATP. It means that the perceived intensity of PATP was different between the older and young generation. However, the PATP was not designed to meet the participants age and fitness levels, and even the general exercise prescription guidelines based on professional scientific data such as exercise frequency, exercise intensity, exercise time, exercis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in the spaces. In conclusion, to encourage and promote the participants motivation and health-related fitness level in the spaces for the future. The various type of PATP that include a few different intensities for all genders and age groups, and a customized program based on systematic and scientific exercise prescription guideli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