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일엽 소설로 보는 타나토스의 양상

        박산향(Park Sanhya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8 No.4

        자유연애, 자유결혼이 유행하던 근대 시기는 여성소설도 남녀의 연애 이야기가 주를 이루었다. 그런데 사랑에 빠져들었던 여성 주인공들은 ‘죽음’을 선택함으로써 생을 마치는 경우가 많았다. 사랑의 에로스(Eros)와 죽음의 타나토스(Thanatos)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신의 이름으로, 프로이트(Sigmund Freud)는 이 개념을 심리학에서 사용하였다. 그는 사랑의 욕망과 죽음의 충동을 인간의 본능으로 보았다. 바타유(Georges Bataille)도 죽음까지 인정하는 삶이 에로티시즘이라고 하였다. 그렇다면 왜 사랑과 죽음을 같은 맥락에서 보게 되는 것일까. 죽음으로써 완전한 사랑을 이루고자 하는 것은 결코 에로스와 타나토스가 분리될 수 없는 영역이기 때문일 것이다. 김일엽 소설 속의 신여성들은 가부장제의 억압 속에서도 자기의 정체성을 자각하고 세상에 저항하는 면모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 여성들이 스스로의 삶을 개척하며 독립적으로 살아가기에는 사회적 인습이나 부모의 강요가 매우 거세었다. 가부장제의 악습에 대한 최대의 저항으로 여성들은 죽음을 선택하였다.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의 고통에서 벗어나는 길 또한 죽음이었다. 죽음으로써 사랑을 완성한다고 여기는 것은 에로스가 타나토스로 굴절되는 양상이라 할 수 있다. 에로스와 타나토스의 관점으로 김일엽 소설을 고찰한 결과, 여성 인물들의 ‘죽음’은 ‘인간의 본질’에 대한 탐구였으며, 이는 작가의 철학적, 종교적 사고가 드러나는 부분이었다. In the modern era of free love and free marriage, the love story between men and women became the main theme of women’s novel. However, the female protagonists who fall in love often ended their lives by choosing death . Eros and Thanatos, in Greek mythology, were used by Sigmund Freud in psychology. He saw the desire of love and the impulse of death as human instincts. Georges Bataille also said that the life of the dead is called Eroticism. But why do we see love and death in the same context? To achieve complete love by dying, it is probably because Eros and Thanatos are inseparable areas. The modern woman in novel of Kim Il-yeop displayed their identity and showed reluctance in the oppression of the patriarchal system. However, the social convention or parental pressure was very strong for women to carve out their own lives and live independently. With the greatest resistance to patriarchal customs, women chose death. The road to escape from the painful misery of love was also death. To complete love by death is what Eros transforms into Thanatos. In conclusion, in Kim Il-yeop’s novel based on death the death of female characters was a part of the author s philosophical and religious thinking as an exploration of human nature .

      • KCI등재

        김명순 소설에 나타난 근대여성에 대한 시선

        박산향(Park Sanhya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8 No.1

        근대는 여성의 자유와 평등이 요구되며 신여성이 등장하던 때였다. 당시 김명순은 제1세대 여성작가로 활발한 활동을 했으나 신분적 한계와 매체를 통한 소문을 이기지 못하고 ‘실패한 신여성’이라는 오명을 남기고 말았다. 이 논문은 자신을 주체적으 로 바라보지 못하고 타자의 시선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던 근대여성의 현실을 김명순의 소설을 통해서 고찰하였다. 순수한 사랑과 결혼이라는 제도는 늘 대치되면서 갈등을 일으킨다. 「돌아다볼 때」의 소련과 「꿈 묻는 날 밤」의 남숙은 사랑하는 남자를 가슴에만 두고 자신의 현실을 바꾸지 못한다. 「나는 사랑한다」의 영옥은 남편에게 이혼을 요구하며 사랑하는 사람 을 찾아가지만 행복한 결말을 얻지 못하고 죽음을 맞게 된다. 이들 여성을 통해 사랑과 결혼, 그리고 이혼에 대한 가부장적 관습을 깨트리지 못하는 신여성의 현실을 보여준다. 신여성의 이상적 사랑과 여성의 정체성은 근대적 가치로 인식되었지만 ‘전통’적인 여성에 대한 요구는 여전히 강력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여성의 몸에 대한편견은 「탄실이와 주영이」, 「모르는 사람 같이」를 통해 알아보았다. 김명순은 「탄실이와 주영이」를 발표함으로써 서자의 신분과 사생활을 두고 자신에게 쏟아졌던 비난 을 해명하고자 하였으나 의혹만 키웠을 뿐이다. 「모르는 사람 같이」에서도 소문에희생당하는 순실의 이야기를 풀어냈다. 근대적 삶과 신념이 현실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는 시대적 혼란 속에서 김명순과 김명순 소설속의 여성들은 철저하게 소외되고 타자화 되었다. 이들 작품으로써 가부장적남성의 시선과 함께 여성마저도 남성의 시선으로 자신을 바라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modern era was a time when women s freedom and equality were required. At that time, Kim Myeong-sun was active as a female writer of the first generation, but brought dishonor which is ‘a failed modern woman‘ by failing to overcome the limit of position and the media. This paper looked at the realities of modern women who were unable to view themselves others by novels that were written by Kim Myeong-sun. Pure love and a system of marriage is always confrontational and creates conflict. So-reon in 「When Looking Back」 and Namsuk in 「I Love」 can not change her reality with her beloved man. Also, Yeongok in 「I Love」 asked her husband to divorce and found her love, but she died without a happy ending. Through these women, they show the reality of the modern woman, unable to break the patriarchal tradition of love, marriage, and divorce. The modern woman s ideal love and identity has been recognized as a modern value, but one can assume that the demand for traditional women is still strong. Prejudice against women s bodies is recognized by 「Tansil And Juyeong」, and 「Like As A Stranger」. Kim Myeong-sun tried to explain the blame for her identity and privacy by announcing 「Tansil And Juyeong」, but it made raise suspicions. And she also talked about the story of Sunsil who was a victim of gossip in 「Like As A Stranger」. Women in Kim Myeong-sun’s novels and Kim Myeong-sun were completely alienated and typed in the midst of an anachronistic period in which modern life and beliefs were unacceptable. With these works, women were able to see themselves at the sight of men s eyes.

      • KCI등재

        김말봉 단편소설에서의 웃음의 미학-「편지」, 「고행」을 중심으로

        박산향 ( Park Sanhyang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4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4 No.-

        본고에서 논의하게 될 김말봉의 초기 단편인 「편지」와 「고행」은 유머소설로 분류할 수는 없지만 기법 상 유머적 요소, 기지와 위트가 묻어나고 있으며, 이는 일제강점기의 서사 장르들에서 유행하던 웃음의 전달 방식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편지」는 남편이 죽고 난 뒤, 남편에게 온 여자의 편지로 인해 일어나는 사건을 다루고 있다. 아무런 의심 없이 믿었던 남편에 대한 배신감으로, 아내 은희는 편지의 주인공을 만나게 되지만 상대는 여자가 아닌 남자였다. 이 작품은 현모양처의 순종적 여성상에서 탈피하여 복수를 계획하고 적극적으로 행동하는 은희의 모습을 다소 과장되게 표현한다. 남편의 결백을 알고서 자괴감으로 울부짖게 묘사한 것은 여성의 가벼움에 대한 지적임과 동시에 새로운 출발점이라고 본다. 「고행」의 정희도 현모양처의 전형으로, 남편을 절대적으로 믿고 존경하며 좋은 엄마의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한다. 그녀는 남편의 정부가 바로 이웃에 있는 미자라는 사실을 까맣게 모른 체 남편의 사랑을 받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 남편이 미자의 집 벽장에 숨어 곤욕을 치르는 장면은 재미와 웃음을 주면서 통쾌하기까지 하다. 또 남편의 무절제한 성생활과 외도에 대한 야유, 남편을 응징하는 익살은 극적 효과를 낸다. 작가는 「편지」와 「고행」을 통해서 현모양처의 삶이 그리 행복한 것만은 아니라는 뜻을 내비친 것이다. 그는 작품에서 부부·가족의 의미와 성찰을 다루었지만 그 이면에는 여성의 현실에 대한 냉정한 시선이 있음을 알 수 있다. Although Kim, Malbong's early short stories 「Letter」 and 「Penance(苦行)」, which this thesis deals with, cannot be classified as humorous novels, their styles carry humorous factors and wits, which reflects the delivery method of smile which was popular in epic genre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Letter」 deals with happenings which took place thanks to the letter to the husband after the death of the husband. Although wife Eunhee, filled with sense of betrayal toward husband who she used to believe without doubt, meets with the person who sent the letter, the person was a man, not a woman. Exaggerating description of changed Eunhee who behaves actively dreaming revenge and escaping from submissive image of traditional ‘wise-mother-good-wife’ and depiction of the woman crying with sense of shame knowing the innocence of her husband is the view of men which fetters the woman back again. It seems that the novel criticizes and blames the lightness of women. Junghee in 「Penance」, who is also a paragon of a traditional ‘wise-mother-good-wife’, holds absolute trust in and respect for her husband and performs the role of a good mother. Without having any shred of clue that her husband mistress lives in her neighborhood, she does her best to receive her husband's love. The scene in which her husband have hard time hiding in the closet of Mija gives fun and smile to the readers and gratifying in a way. The jeer toward the husband intemperate sex life and adultery and humor in the punishment of him produce a dramatic effect. Through 「Letter」 and 「Penance」, the author reveals that the life of a traditional ‘wise-mother-good-wife’ is not necessarily a happy one. Although he deals with the meaning and reflection of family and spouse, we can know that, on the reverse side, there is a cold-headed perspective on the reality of women.

      • KCI등재

        김일엽 소설로 보는 타나토스의 양상

        박산향(Park Sanhyang)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57 No.-

        자유연애, 자유결혼이 유행하던 근대 시기는 여성소설도 남녀의 연애 이야기가 주를 이루었다. 그런데 사랑에 빠져들었던 여성 주인공들은 ‘죽음’을 선택함으로써 생을 마치는 경우가 많았다. 사랑의 에로스(Eros)와 죽음의 타나토스(Thanatos)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신의 이름으로, 프로이트(Sigmund Freud)는 이 개념을 심리학에서 사용하였다. 그는 사랑의 욕망과 죽음의 충동을 인간의 본능으로 보았다. 바타유(Georges Bataille)도 죽음까지 인정하는 삶이 에로티시즘이라고 하였다. 그렇다면 왜 사랑과 죽음을 같은 맥락에서 보게 되는 것일까. 죽음으로써 완전한 사랑을 이루고자 하는 것은 결코 에로스와 타나토스가 분리될 수 없는 영역이기 때문일 것이다. 김일엽 소설 속의 신여성들은 가부장제의 억압 속에서도 자기의 정체성을 자각하고 세상에 저항하는 면모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 여성들이 스스로의 삶을 개척하며 독립적으로 살아가기에는 사회적 인습이나 부모의 강요가 매우 거세었다. 가부장제의 악습에 대한 최대의 저항으로 여성들은 죽음을 선택하였다.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의 고통에서 벗어나는 길 또한 죽음이었다. 죽음으로써 사랑을 완성한다고 여기는 것은 에로스가 타나토스로 굴절되는 양상이라 할 수 있다. 에로스와 타나토스의 관점으로 김일엽 소설을 고찰한 결과, 여성 인물들의 ‘죽음’은 ‘인간의 본질’에 대한 탐구였으며, 이는 작가의 철학적, 종교적 사고가 드러나는 부분이었다. In the modern era of free love and free marriage, the love story between men and women became the main theme of women’s novel. However, the female protagonists who fall in love often ended their lives by choosing death . Eros and Thanatos, in Greek mythology, were used by Sigmund Freud in psychology. He saw the desire of love and the impulse of death as human instincts. Georges Bataille also said that the life of the dead is called Eroticism. But why do we see love and death in the same context? To achieve complete love by dying, it is probably because Eros and Thanatos are inseparable areas. The modern woman in novel of Kim Il-yeop displayed their identity and showed reluctance in the oppression of the patriarchal system. However, the social convention or parental pressure was very strong for women to carve out their own lives and live independently. With the greatest resistance to patriarchal customs, women chose death. The road to escape from the painful misery of love was also death. To complete love by death is what Eros transforms into Thanatos. In conclusion, in Kim Il-yeop’s novel based on death the death of female characters was a part of the author s philosophical and religious thinking as an exploration of human nature .

      • KCI등재

        김말봉 단편소설의 서사적 특징 연구

        박산향(Park Sanhya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5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6 No.3

        이 논문은 김말봉의 대표 단편소설 9편을 텍스트로 하여 서사적 특징을 고찰한 글이다. 김말봉 단편소설에서는 우선, 여성의 운명론을 찾을 수 있다. 「어머니」, 「망령(亡 靈)」, 「바퀴 소리」, 「전락(轉落)의 기록(記錄)」에서 재현된 여성들은 그들이 겪어야 할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적 관습으로 인해 남성의 타자로 존재하게 된다. 즉 이들 작품에서 김말봉은 모성애적, 여성적 운명을 벗어나지 못하는 인물을 제시하여 가부 장제 사회의 부당함과 모순을 보여준다. 둘째, 젠더 정체성의 반영이다. 「망명녀(亡命女)」, 「여적(女賊)」에서는 순종적인 여성이 아닌 강한 여성의 이미지를 재현한다. 여성의 사회활동과 사회적 역할에 대한 작가의 관심이 이들 여성인물을 매개로 드러난 것이며, 새로운 여성 이미지는 작가의 젠더 정체성을 반영하고 있다. 셋째, 반전과 유머를 들 수 있다. 극적 반전과 의외의 전개, 익살과 해학적 요소는 작품의 재미를 더해준다. 「편지」, 「고행(苦行)」, 「여심(女心)」등을 통해서 작가 김말 봉이 유쾌하게 세상을 바라보고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살펴본 바와 같이 김말봉은 단편소설을 통해서 여성의 심리를 섬세하게 묘사하고 있으며, 여성들의 생활상, 욕망, 사회적 문제까지 작품의 서사를 통해 접근하고 있다. This paper is a review article on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Kim Malbong’s representative 9 short stories. First, there can be found women’s fatalism in her short stories. The women represented in the novels, Mother, Spirit, Sound of the Wheels, and Record of a Downfall, come to become the others of men due to the hardships and the social conventions they had to undergo. That is to say, these novels show the unfairness and the contradiction of a patriarchal society by presenting the characters who cannot escape from their maternal and feminine destinies. Second, they present the formation of a gender identity. A Female Exile and A Female Thief represent the images of not submissive but strong women. These novel reveal with the female characters as media the writer’s interest in the social activities and roles of women, and the images of new women are reflecting the writer’s gender identity. Third, these novels carry the humors and the aesthetics of laughter. The dramatic reversals, unexpected developments, and the elements of jokes and humors add to the fun of the works. Trough the works, The Letter, Mortification, and The Feminine Mind, we find the writer, Kim Malbong, looking at the world delightfully. As mentioned above, she is delicately depicting the women’s psychology, and is dealing with their living conditions, desires, and even their social issues through the narration of her 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