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古今漢韓字典의 編纂과 歷史的 意義

        박병철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0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8 No.3

        Ancient and Modern Dictionary of Chinese Characters is a compilation of 7,353 chinese characters found in earlier rhyme dictionaries, primers, dictionaries of chinese characters. Its format is different from other conventional dictionaries in that it shows sound, meaning and interpretation of each headword at the same time. This dictionary is a valuable material for the study of korean translation of chinese characters, lexical history of korean language and phonetics of chinese characters. It can be utilized as a excellent teaching manual for it registers various examples sino-korean words formed from each chinese character. Also, it can be consulted in establishing language policy for it contains data on chinese characters used in South Korea, North Korea, China and Japan and word formation units of Commonly Used 2000 Chinese Characters in Korea. This dictionary was a ground breaking achievement at the time of its publication but has inevitable limits of being a product of analog era. It is required to succeed and develop its innovative ambition by constructing a database of dictionaries of chinese characters along with efficient search engine in accordance with new environment of digital era. 박병철, 2020, 고금한한자전의 편찬과 역사적 의의, 어문연구, 187 : 7~26 고금한한자전은 우리나라 역대 운서, 한자 학습서 그리고 한자자전에 올라 있는 한자 7,352자를 전재(轉載)하여 편집한 것이다. 기존의 일반적인 자전과는 그 형식과 체제를 달리한 것으로 표제 한자인 개별 한자의 음과 새김 그리고 그 자해(字解)를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엮은 것이다. 그 결과 이 자전은 한자의 새김 연구는 물론 국어 어휘사 연구의 기본 자료이면서 한자음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이다. 더불어 개별 한자를 중심으로 형성된 한자어 용례를 항목마다 다수 제시하여 교습 자료로서의 기능도 갖고 있다. 또한 한국, 중국, 일본, 북한의 한자 자료와 한국 상용한자(2000자)안의 한자 조어수(造語數) 등을 제시하여 어문 정책 수립에도 참고할 수 있는 자료이다. 이 자전은 편찬 당시로 보면 훌륭한 저술이었으나 아날로그적 시대의 한계를 뛰어넘지 못하였다. 디지털 시대의 환경변화에 따른 역대 자전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검색 기능을 수반한 웹서비스 등으로 이 자전이 지향했던 의미를 계승,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정조와 다산 정약용의 개혁정치에 관한 연구

        박병철,주인석 한국민족사상학회 2019 민족사상 Vol.13 No.2

        This study aims at clarifying modern implications of the reformative politics the reformer King Jeongjo and Dasan Jeong Yakyong conceived and promoted. The Joseon society in 18th and 19th century was so insecure because of internal political chaos and incapability in policymaking as wells as frequent external invasions. To improve the impoverished and insecure circumstances of the general public living in oppressive caste fetters and poor socioeconomic living conditions was a reformative task for thinkers like Dasan. Such awareness of the era by Dasan was conformed to the political reform of King Jeongjo who hoped to try to strengthen royal power by lessening divine power and then to secure politics with the power. King Jeongjo’s political reform was focused on the stability of people’s livelihoods by reestablishing the regal sovereignty. His rule was intended to promote a new political innovation on the basis of the reform from above. Thus, the king tried to realize the politics for the subjects and for this purpose, he implemented diverse systematic political reform measures such as establishing Kyujanggak(a royal library), applying Chogyemunsinje system and reorganizing the military based on Tangpyeongchaek(a strict policy of equality with no faction being favoured over another). King Jeongjo and Dasan’s reformative politics was designed to construct a national system to maximize the stability and welfare of the people. Thus, politics was not for political interests of any particular faction but the means to care and protect the people. In other words, to King Jeongjo and Dasan, political power itself was not the purpose but the means to improve the subjects’ lives. The implications Dasan’s reformative ideas and vision suggest to contemporary politics are as follows. First, political power should not be an objective but the means for the stability and welfare of the people’s lives. Second, the goal of social reform should be set to secure and improve the people’s lives beyond the reform in the political realm. Third, a significant leadership feature for political leaders should be a distinct will to observe the ethics and public interest as a public figure. These days, given the policymaking incapability in central politics disregarding the general public’s lives and the conditions where many people’s livelihoods are getting worse, the significance of King Jeongjo and Dasan’s political reform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gain. In spite of the long temporal and spatial distance, the reform vision designed by King Jeongjo and Dasan in their time is still effective today. 본 연구는 개혁군주 정조와 다산 정약용이 구상하고 추진한 개혁정치의 현시대적 함의를 밝히는 것이 그 목적이다. 18-19세기의 조선 사회는 외부로부터의 잦은 침입과 내부로부터의 정치적 혼란과 정책적 무능으로 매우 불안정한 사회였다. 억압적인 신분제적 질곡과 열악한 사회경제적 삶의 조건 속에서 살아가는 백성들의 곤궁하고 불안한 처지를 개선하는 것은 다산과 같은 사상가들에게는 간과할 수 없는 개혁 과제였다. 다산의 시대인식은 왕권강화를 통해 신권을 약화시키고 왕권을 강화하여 정치적 안정을 꾀하려는 정조의 정치적 개혁과 부합하였다. 정조의 개혁정치는 왕권의 재확립을 통한 민생의 안정에 주안점이 있다. 정조의 왕권정치는 위로부터의 개혁을 바탕으로 새로운 정치혁신을 도모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정조의 개혁정치는 백성을 위한 정치를 실현하는 것이며, 이를 위한 조치들은 탕평책을 바탕으로 규장각의 설립, 초계문신제의 적용, 군제의 개편 등 다양한 체제적 개혁정치를 단행한 것이다. 정조와 다산의 개혁정치는 백성들의 삶의 안정과 복리를 최대한 보장할 수 있는 국가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때 정치는 위민과 보민을 위한 수단이었지, 특정한 정치적 이익을 추구하기 위한 것은 아니었다. 다시 말해서, 정조와 다산에게 있어서 정치권력을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백성들의 삶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에 복무하는 수단이었다. 다산의 개혁 구상이나 비전이 오늘날 현대 정치에 주는 함의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정치권력은 백성들의 삶의 안정과 복리를 위한 수단이지 그자체로 목적이 되어서는 안 된다. 둘째, 사회개혁의 목표는 정치영역에서의 개혁을 넘어서 국민들의 삶을 보다 안정시키고 개선시키는데 놓여야 한다. 셋째, 정치지도자에게 있어서 중요한 리더십의 자질은 공인(公人)으로서의 윤리와 정치권력의 공공성(公共性)을 준수하려는 명확한 의지이다. 오늘날 국민의 삶을 도외시하고 벌어지는 중앙정치의 정책적 무능과 다수 국민들의 삶이 어려워지는 상황은 정조와 다산의 개혁정치의 의미를 되돌아보게 만든다. 비록 오랜 시공간적 거리에도 불구하고 정조와 다산이 당대에 기획하였던 개혁의 비전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 KCI등재

        The Development and Regional Distribution of Korean Toponymic Back Morphemes: With a Focus on Gogae-Related Toponyms

        박병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12 Korea Journal Vol.52 No.1

        This article is a study of gogae-related back morphemes of Korean toponyms,which are characteristic of geographic typolog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original forms and their development and regional distribution, I analyzed toponyms that appear in representative geography books of each historic period: Old Korean (before tenth century), Middle Korean (tenth to sixteenth century), and Modern Korean (seventeenth century to present). Gogae 고개 and jae 재 are two original forms of back morphemes of the gogae-related toponyms in vernacular Korean. Jiui 知衣appearing in the Samguk sagi jiriji (Geographical Appendix to the Historical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compiled in 1145, can be regarded as the transcription of jae into a Chinese character. Other back morphemes in Sino-Korean characters (hanzi 漢字)include ryeong 嶺, hyeon 峴, jam 岑, jeom 岾, and chi 峙. In Modern Korean,ryeong, hyeon, and chi are the most widely used back morphemes in South Korea, whereas only ryeong is used in North Korea.

      • KCI등재후보

        高速鐵道 驛名 制定의 經過와 課題

        박병철 한국지명학회 2010 지명학 Vol.16 No.-

        It is a general tendency to use the toponym for the name of the railway station in all the countries of east and west. Most of the names of the express railway station in Korea(KTX) and Japan(Shinkansen) are based on the name of the local government where the station is located. In some cases, the name of the province, the metropolitan city and the district is used. However, the toponym is exclusively used in the naming of the KTX station. And the corresponding tonponym is accompanied when the name of regional product or cultural property is used. The parallel arrangement of the neighboring local governments is the characteristic tendency in the naming of the KTX station in Korea. This caused the strong feud and conflict among neighboring regions in the time of the enactment and the critical assessment from many specialists on the perspective of the economy of language, validity and effectiveness. The major reason for this tendency is the political influence of the neighboring local governments other than the local government where the station is located. The crucial point in the naming of the KTX is to provide the precise information of the location to passengers. In that regard, the name of the city and gun(郡) where the station is located can be properly used for the name of the station. And it is advisable to use names with minimum syllables that are easy to pronounce and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s. Also, the landmark and the representative symbol of the corresponding region can be used in the case of positive expectation 鐵道驛의 名稱은 東西洋을 막론하고 地名을 活用하는 것이 一般的이다. 京釜高速鐵道와 日本 신칸센(新幹線) 驛名은 驛舍 所在地의 地名 중 基礎自治團體의 名稱인 市名을 命名의 基盤으로 삼은 것이 대부분이다. 부분적으로 廣域自治團體의 名稱이나 洞里名·町名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地名이 아닌 名稱이 單獨으로 驛名에 사용된 예는 없으며 特産物 名稱이나 文化財 名稱이 사용될 때에도 地名과 함께 배열되었다. 우리나라 驛名 중 特徵的인 것은 隣接地域의 基礎團體名을 竝列하여 命名한 것이다. 이러한 驛名은 制定 당시에도 隣接地域 간에 極甚한 反目과 葛藤이 있었으며 名稱關聯 專門家들이 言語의 經濟性, 驛名 附與의 妥當性, 活用性 등의 側面에서 不適切함을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驛名이 나오게 된 것은 驛舍 所在地의 地方自治團體보다 隣接 地方自治團體의 地域勢가 강했기 때문이다. 鐵道 驛名을 命名함에 있어 考慮해야 할 사항 중 重要한 것은 利用者들이 쉽게 認識할 수 있는 言語로 正確한 位置情報를 提供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高速鐵道 驛名의 경우 驛舍가 위치한 地點의 市․郡名이 適切하다. 旣存의 鐵道 驛名과의 重複을 피하고 發音이 容易하고 音節數가 길지 않게 命名하여야 한다. 行政地名보다 肯定的인 效果를 期待할 수 있다면 해당 地域의 特徵的인 地形地物이나 象徵物을 活用할 수도 있다.

      • KCI등재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와 형이상학

        박병철 한국논리학회 2010 論理硏究 Vol.13 No.1

        강진호 교수는 “전기 비트겐슈타인, 논리, 형이상학”에서 비트겐슈타인이 1913년 무렵에는 형이상학에 대해 비판적이지 않았으나 그로부터 1916년 말 사이에 논리의 본성에 대한 견해의 변화로 인하여 형이상학이 성립할 수 없다는 생각에 이르게 되었고, 그러한 변화의 결과가 『논리-철학 논고』에 반영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나는 그의 가정과 주장들에 대해 몇몇 비판적 문제 제기를 함으로써 그의 견해가 형이상학과 관련한 중요 쟁점을 해결하는 것이 될 수 없음을 보이고자 한다. In his recent paper "Early Wittgenstein, Logic, and Metaphysics" Professor Jinho Kang argues that there has been an important change in Wittgenstein's view on the nature of logic between October 1913 and December 1916, which resulted in his change of attitude toward metaphysics. In my paper, raising some questions regarding his basic assumptions and arguments, I attempt to show that Professor Kang's paper fails to provide convincing solution to the points at iss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