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철학으로서 불교와 철학함

        박병기(Pak, Byung-kee) 대한철학회 2017 哲學硏究 Vol.142 No.-

        우리에게 불교는 제도종교로 받아들여지는 경향이 강하다. 20세기 중반 이후 그리스도교와 함께 대표적인 제도종교로 받아들여진 역사적 배경 때문일 것이다. 특히 불교는 전통에 기반한 제도종교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불교는 또한 철학으로 받아들여지고 있기도 하다. 철학을 지적 명료함과 삶의 지혜 추구로 정의해온 서양철학적 배경을 수용한다고 해도, 불교는 고타마 붓다가 발견한 진리를 무조건적으로 신봉하지 않고 철학적 비판의 가능성을 충분히 허용한다는 점에서 철학으로 분류되는 일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철학으로서 불교의 가능성은 불교의 철학함(doing philosophy)가능성으로 직결된다. 불교의 철학함은 일상으로부터의 거리두기와 그 거리를 기반으로 하는 관찰과 집중, 새로운 세계관의 형성 등의 세 과정으로 제시될 수 있고, 이러한 철학함은 후기 자본주의적 일상에 지친 우리의 삶에 명상 같은 방법으로 뿌리를 내리고 있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교는 종교로서의 속성 또한 분명히 지니고 있고, 바로 이 지점에서 우리는 종교와 철학 사이의 관계를 새롭게 설정해야 한다는 지난한 과제와 마주하게 된다. 그리스도교 문명권의 종교와 철학 사이의 엄격한 분리 전통은 불교를 철학으로 분류하는 일을 꺼리게 하는 요소로 현재까지 작동하고 있다. 철학의 목적에 지적 명료함과 삶의 실천적 지혜 추구를 함께 포함시킬 경우, 불교는 안심(安心)이라는 종교 고유의 기능과 입명(立命)이라는 철학과 종교의 공통 역할을 공유하는 것으로 규정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종교와 철학 사이의 관계에 관한 우리의 새로운 관점 모색 또한 중요한 과제일 수 있다. Buddhism tends to be accepted as an institutional religion. This is probably due to the historical background in which Buddhism has been accepted as a representative institutional religion along with Christianity since the mid-20th century. In particular, Buddhism is accepted as an institutional religion based on tradition. Buddhism is also accepted as philosophy. Even if the western philosophical background is embraced that defines philosophy as the pursuit of intellectual clarity and wisdom in life, Buddhism is deemed to be classified as a philosophy that allows for the possibility of philosophical criticism without unconditionally believing the truth that Gautama Buddha discovered. The possibility of Buddhism as philosophy like this is directly linked to the possibility of Buddhism for doing philosophy. Doing philosophy in Buddhism can be presented in three processes: keeping a distance from daily life, the observation and concentration based on the distance, and the formation of a new world-view. Doing philosophy is rooted in the same way as meditation in the lives of people tired from post-capitalist everyday life. Nonetheless, Buddhism clearly has the characteristics of religion, thus posing a challenge of establishing a new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philosophy. The tradition of a strict separation between the religion and philosophy in Christian civilization is still working as a factor that keeps Buddhism from being classified as philosophy. In cases where the pursuit of intellectual clarity and practical wisdom in life is incorporated into the purpose of philosophy, Buddhism can be categorized into having the distinctive function of religion “spiritual peace”, and sharing the common function of philosophy and religion “enlightenment.” In that sense, it can also be an important task to seek a new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philosoph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도덕과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동양도덕교육론적 대안

        박병기 ( Byung Kee Pak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0 윤리교육연구 Vol.0 No.22

        우리 도덕과 교육의 지속적으로 직면하고 있는 정체성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근원적 대안의 출발점을 현재의 상황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다. 이러한 인식은 직접적으로 우리에게 다가오는 생멸 차원의 인식과 당위와 진리의 영역을 지향하는 진여 차원의 인식으로 구별될 수 있다. 이 논문은 전자의 인식에 기반하면서도 이론 차원의 접근을 통해 문제 해결을 시도하는 진여 차원의 시도이다. 도덕과 교육을 이끌어가는 이론의 문제에 초점을 맞출 때 교과의 토대를 이룬 우리 도덕교육 전통에 대한 재평가와 함께 현재의 이론적 배경을 이루고 있는 서양 도덕교육 이론의 주체적 수용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고, 이 논문에서는 그 중에서 주로 후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먼저 습관화와 수양 또는 훈습과 수행이라는 단계적 접근을 현재적 상황에 맞게 재구성할 필요가 있고, 사회윤리 교육의 차원에서는 수기안인과 연기적 독존주의라는 유교와 불교의 사회철학을 활용하여 개인의 도덕성과 사회 구조의 도덕성이 만날 수 있는 이론적 지점을 더 확고히 할 필요가 있다. 그런 후에는 현대 도덕심리학과 윤리학의 주된 흐름을 형성하고 있는 윤리적 자연주의를 동양도덕교육론에서 어떻게 수용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좀 더 치밀한 논의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nd out an eastern ethical alternative for the advancement of moral subject education at South Korea. Our approach to moral education is moral subject education and this approach is from the Korean tradition of education, especially from Korean Confucianism and Korean Buddhism. But our moral subject education is constructed from the modern western theories, especially L. Kohlberg`s theory. As a result, our moral subject education is confused from theory to practices. Korean traditional approach to moral education is the unity of moral habituation and moral cultivation, ie. Hunshup(薰習) and Shuheng(修行). This Unity is from the Kisinron`s way of thought(起信論的思 惟). We have to try reconstruct our traditional approach of moral developmental stages and to construct social ethics` education of Confucius Shugianin(修己安人) and Buddhist theory of pratityasamutpada(緣 起性), and we must be reconstruct the western theories of moral education focusing on the citizenship of modern civic society.

      • KCI등재

        지눌 수행론의 도덕교육론적 해석과 실천적 함의

        박병기 ( Byung Kee Pak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2 윤리교육연구 Vol.0 No.28

        지눌은 한국불교의 수행 전통에서 돈오점수론을 확립한 승려이며, 다양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현재 한국불교계의 사상적 뿌리를 이루는 중요한 인물 중 하나로 평가 받고 있다. 그의 돈오점수론은 깨달음 이후에도 지속적인 닦음이 요구된다는 ``오후수(悟後修)`` 개념으로 집약해볼 수 있다. 이 논고에서는 그러한 오후수 개념을 중심으로 하는 지눌의 수행론을 도덕교육론적 관점에서 재해석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우선 그의 수행론은 깨달음을 얻는 과정에서 의지하는 경전이 있다는 점과 경전 공부와 참선은 물론 계율 준수의 의미도 함께 강조하는 삼학(三學)의 정신을 강조한 점등에서 도덕교육이 지향해야 하는 통합적 목표를 지시해주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한 번의 단박 깨침이 아니라 지속적이고 단계적인 깨달음의 필요성을 강조한 점은 도덕교육이 도덕현상에 대한 탐구와 함께 마음에 대한 단계적인 깨달음을 지향해야 한다는 성찰의 차원에 대해서도 많은 시사점을 지닌다. Chinul(知訥) is a famous monk of Koryo(高麗) Dinasty in that his theory of mind fulfillment on sudden awakening and gradual fulfillment(頓悟漸修). His theory and practices have became one of legitimacy on the Korea Buddhism, But his position has been attacked by the position of sudden awakening and sudden fulfillment(頓悟頓修), especially by the chief of Korean Chogae Order, Sungchul(性徹), Chinul`s theory and practices of mind fulfilment have many implication on the Korean moral subject education in that he had emphasized on the texts and gradual mind fulfillment. Moral subject education has emphasized on moral text and moral educator also has emphasized on class with moral texts. Chinul`s thoery of mind fulfillment had focused on the gradual and continuous fulfillment after sudden awakening, and it`s implication on the moral subject education is an emphasizing on the daytoday practices and moments of sudden awakening.

      • KCI등재

        통일윤리와 화쟁(和諍)

        박병기(Pak, Byung Kee)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통일인문학 Vol.70 No.-

        타자와의 공존은 인간의 존재성에 기반한 필연적 요청이다. 그런데 근대 시민사회의 정착 이후 급속히 진행된 개인화는 이러한 요청을 경시하거나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동하고 있다. 우리 시민사회의 경우는 이러한 개인화와 함께 가치관의 물질화, 극단화라는 현상과 마주함으로써 내부와 외부의 타자를 인식하고 관계를 맺는 과정 전반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타자 중 하나는 북한이다. 외부의 힘에 의한 분단과 세계적 차원의 한국전쟁, 지속적인 긴장과 화해 모색 등의 과정을 공유하면서 북한은 적대와 통합의 모순적 상황을 껴안아야 하는 타자가 되고 있다. 부버와 레비나스의 타자윤리는 이러한 타자에 대한 무조건적 존중과 환대를 첫 번째 윤리적 원칙으로 내세운다. 존재경험보다 윤리경험을 앞세우는 레비나스의 타자윤리를 북한이라는 타자에 적용하는 통일윤리로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도 있고, 타자와의 인격적 만남을 중심에 두는 부버의 윤리를 통일윤리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타자윤리의 전제는 절대자로서의 신의 얼굴을 전제로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유대공동체라는 특정 종교적 배경을 상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의 통일윤리로 활용하는 과정에서 한계를 지닐 수 있다. 남북한이 공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중심으로 대안을 찾아보는 과정에서 우리는 한국불교, 그 중에서도 원효의 화쟁 개념을 토대로 하는 새로운 통일윤리 모색을 시도할 수 있다. 화쟁의 과정은 자신과 온전히 분리될 수 없는 존재로서 타자를 상정하면서 만남과 각자의 주장을 충분히 펼치는 쟁(諍)의 과정, 상대방 주장이 지니는 일리(一理)를 수용하여 보다 나은 대안을 모색하는 화회(和會)의 과정 등 세 단계로 전개될 수 있다. 실제적인 통일 논의의 과정에서는 현재 남북한 불교계 사이의 관계망 등을 공유자원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화쟁은 실질적인 통일윤리로서의 가능성도 지니고 있다. Coexistence with others is an inevitable request based on human existence. However, individualization that has fast grown after the settlement of civil society works as a factor that makes people undervalue or unable to properly appreciate such a request. Faced with said individualization as well as the materialization of values and extremism, Korean civil society is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the overall process of recognizing internal and external others and making relationships. One of the most important Others to Korea is North Korea. The country is becoming the Other with whom South Korea should embrace contradictory conditions of hostility and integration as the two Koreas have shared the division by external forces, the Korean War at an international level, continued tension and search for reconciliation. In the ethics of the Other proposed by Buber and Levinas, the first ethical principle is unconditional respect and hospitality for the Other. Levinas’ ethics of the Other that puts ethical experience before existential experience and Buber’s ethics of the Other that centers on a personal encounter with the Other can be interpreted as the reunification ethics applicable to North Korea, the Other. However, there are constraints in adopting these ethics as the ethics for Korean reunification because these ethics of the Other are premised on the face of God, or the absolute being and also postulate a specific religious background, namely, a Jewish community. In an effort to find an alternative that can be shared by South and North Koreas, an attempt can be made to search for a new reunification ethics based on Korean Buddhism, among which the concept of hwajaeng proposed by Wonhyo. The process of hwajaeng can be conducted in three phases: the meeting phase in which two parties meet, postulating the Other, who cannot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Self; the jaeng (諍) phase in which two parties make contentions as they want to; and the hwahoe (和會) phase in which two parties accept some reason in the contention of the Other. There is also a possibility that hwajaeng can be used as practical ethics of Korean reunification since the relation network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 Buddhist communities could be utilized as shared resources in the practical discussion for reunification.

      • KCI등재후보

        도덕교육의 목표로서의 군자(君子)와 시민

        박병기 ( Byung Kee Pak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8 윤리교육연구 Vol.0 No.15

        우리 시대의 교육목표는 시민이다. 이 시민은 시민사회의 주체이고 시민사회를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시민의 위상과 역할도 달라질 수밖에 없다. 시민사회를 바라보는 관점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우리 사회가 이미 시민사회의 모습과 외양을 갖추고 있다는 점을 부인하기는 어렵다. 우리 사회를 이끌어가는 주체가 곧 시민이고, 그런 점에서 우리 교육의 목표는 건강한 시민의 육성으로 설정된다. 우리의 상황을 전제로 이 시민의 이상적 지향에 관한 논의를 펼치는 과정에서 전통적인 인간상인 군자(君子) 또는 선비와 마주치게 되고, 자연스럽게 우리의 논의는 이 두 인간상 사이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의 문제로 옮겨가게 된다. 시민에게 요구되는 윤리를 최소도덕으로만 제한할 경우에는 시민과 군자 사이의 불연속성이 부각되지만, 최대도덕의 문제를 온전히 각 개인의 사적인 영역에만 맡길 수 없다는 점에서 또 학교 교육이 어떤 방식으로든지 최대도덕의 문제를 다룰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연속성이 강조될 수 있는 여지가 커진다. 이제 우리에게 남겨진 과제는 군자가 지향했던 도덕성에 기반한 정치적 능력과 문화성을 시민에게 어떤 방식으로 요구하고 또 시민윤리교육을 통해서 길러줄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I have tried to reconsider the goals of moral education at the point of meeting of tradition and the real world. The goal of our traditional moral education is to build a ideal person, for example Gunja(君子), Bodhisattva. But the goal of education at our civic society is a citizen. Who is the Gunja?, and his moral intension is worthwhile until to our times and society? The Gunja has a political ability under morality and cultural insight, and it is also needed to citizenship. But there is a gap into the meeting of Gunja and citizen, that is a problem of morality limiting minimal or maximum. At this article, I have tried to give a possibility of meeting of the two ideal types, and to contend a new type of person as a goal of our moral education. That is a citizen having political ability under morality and cultural insight, and it is needed to consistent debates of that problems at our moral eduction community.

      • 우리 시대의 윤리와 남명,인성교육

        박병기 ( Pak Byung-kee ) 南冥學硏究院 2017 南冥學 Vol.22 No.-

        우리 시대의 윤리에 관한 물음은 개인화와 물질화라는 두 축의 사회적 변화 양상에 관한 물음의 기반 위에서 전개될 수 있다. 전자는 관계윤리의 약화로 이어지고, 후자는 가치왜곡에 따른 윤리 자체의 약화로 이어진다. 이러한 변화는 외적 성장에 따른 불필요한 경쟁의 극대화와 삶의 의미 상실이라는 결론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상황에 대한 대처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는 가정과 학교의 인성교육은 `인성교육을 받은 사람`에 관한 합의에 어려움을 노출시키면서 외형적인 강조와 실질적인 방치라는 이중적인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남명의 선비정신은 실천을 중심에 두는 내면적 성찰과 사회적 정의의 실현이라는 두 축의 정신으로 요약될 수 있고, 이러한 정신은 시민을 위한 인성교육이 지니는 실천적 위약성에 대한 보완책으로 수용될 수 있다. 남명의 선비정신에 대한 시민윤리적 재해석을 기반삼아 전개될 수 있는 인성교육이 제대로 살아나기 위해서는 우선 실천을 중심에 두는 교육방법의 개선을 시도해야 하고, 학교 인성교육이 정착할 수 있도록 학교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어야 하며 가정 인성교육이 제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부모교육의 필수화 같은 실제적 노력이 더해져야 한다. 이런 노력들은 21세기 한국사회의 미래를 위한 근원적인 대안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A question for our times can be discussed in that changing point of individualization and materialization, the former connected weakening of connectivity and the later connected weakening of ethics. All are connected to maximization of competition and losing of meaning in life. Character educations at home and school have difficulties in that `a person taking character education`, and have dual phenomena of an outward emphasizing and practical neglecting. Nammyung`s spirit of Seonbi[士] can be an alternative for that phenomena in that stressing for the practices of study and daily life. An character education founded on interpretation of Nammyung`s spirit of Seonbi can be a practical substitute if it have a practical change of teaching learning methods, encouraging for school character education, and preparation for parenting education programs. It can be also an alternative for Korean future at 21st.

      • KCI등재

        사회적 직관주의가 지니는 도덕교육적 함의

        박병기 ( Byung Kee Pak ),김민재 ( Min Jae Kim ) 한국윤리학회 2012 倫理硏究 Vol.84 No.1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meanings on moral philosophy in J. Haidt`s ``Social Intuitionist Model(SIM)`` and derive implications of moral education. In view of its purposes, this paper is considerably interdisciplinary. Then, It first examined ``intuition`` concepts of moral philosophy and their limitations. Because understanding on such points could lay the foundations to make a more exact investigation into the meanings on moral philosophy in SIM with the viewpoint of moral psychology. Moreover, this paper examined characteristics of SIM and theoretical bases for more investigation of J. Haidt`s moral intuition and meanings from a viewpoint of moral philosophy, as well as moral psychology. Then, according to these processes, it derived a conclusion that SIM has quite important points in both axes of moral education, moral psychology and moral philosophy. Accordingly, it presented three implications of moral education as follows. First, SIM gives a future direction to moral psychology and moral philosophy. Second is a connection between moral intuition and virtue theory. Third is a connection between moral intuition and anti-prejudice education, as the implication from a practical viewpoi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