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축 소에 있어서 육안적 검사 방법에 따른 간질 감염 실태조사

        박배근 ( Bae Keun Park ),홍의주 ( Eui Ju Hong ),류시윤 ( Si Yun Ryu ),정배동 ( Bae Dong Jung ),김지민 ( Ji Min Kim ),김현철 ( Hyeon Cheol Kim ) 한국동물위생학회 2015 韓國家畜衛生學會誌 Vol.38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fascioliasis in slaughtered cattle in Kangwon (Wonju, Hoengseong, Hongcheon, Cheorwon, Pyeongchang) province and Daejeon from October to December in 2014. From the total 10,780 examined cattle, 0.54% (58/10,780) were found to be positive for fascioliasis by postmortem macroscopic inspection. The Fasciola spp. infection rates were higher in the most Daejeon (1.83%, 41/2,240), followed by Hoengseong (0.40%, 15/3,714) and Hongcheon (0.22%, 2/901). It was not infected in the other regions. The outward appearances of Fasciola spp. infected livers looked almost normal and the worms were all parasitize in the main hepatic duct.

      • KCI등재

        시제법적 관점에서 본 한국병합관련 ‘조약’의 효력

        박배근(Park Pae Keun) 대한국제법학회 2009 國際法學會論叢 Vol.54 No.2

        1998년에서 2000년에 걸쳐 일본의 『세카이』지를 무대로 하여 한일 양국 학자들 사이에 이른바 한국병합관련‘조약’의 효력을 둘러싼 치열한 논쟁이 전개된 바 있다. 논쟁은 크게 두 가지 논점을 축으로 하여 전개되었다. 첫째는 이들 ‘조약’이 강박에 의하여 체결되었기 때문에 무효인가하는 문제였다. 둘째는 이들 ‘조약’을 체결하는 형식과 절차에 하자가 있었기 때문에 무효인가하는 문제였다. 후자의 문제를 둘러싼 논쟁의 주체는 이태진 교수와 운노 교수였다. 이태진 교수는, 한국병합관련‘조약’, 그 중에서도 특히 1905년 ‘조약’과 1910년의 병합 ‘조약’과 같은 중요한 조약이 이른바 정식조약이 아닌 약식조약으로 체결된 점, 다시 말해 전권위임장이 부여되지 않았거나 비준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는 점, 이를 ‘조약’에 ‘treaty’라는 명칭이 붙어 있지 않고 ‘agreement’, ‘convention’ 등의 명칭이 붙어 있다는 점 등을 근거로 ‘조약’의 무효, 나아가서는 ‘조약’의 불성립을 주장했다. 이에 대하여 운노 교수는, 조약의 체결 형식 여하에 따라 조약의 효력이 달라지는 것은 아니라는 점, 조약은 전권위임장의 부여 없이, 또 비준 없이 체결되고 발효되는 것이 있다는 점, 중요한 정치사안에도 ‘convention’이라는 명칭의 조약이 체결된다는 점을 들어 반론하였다. 어느 쪽의 주장이 시제법적 관점에서, 다시 말해 한국병합관련‘조약’이 체결되던 당시의 실정국제법에 비추어 타당한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당시의 대표적인 서양 국제법학자들 및 일본 국제법학자들의 저술들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들 저술들 속의 관련 서술들을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로, 조약의 명칭 여하를 기준으로 한국병합관련‘조약’의 성립 여부 또는 유무효를 논할 수는 없다. 둘째로, 한국병합관련‘조약’이 체결되던 시기에 일정한 직책에 있는 사람은 전권위임장 없이 조약을 체결할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되었다. 그러나 외무장관이나 외교사절이 아닌 사람에게는 전권위임장이 반드시 요구되고 있었으므로, 일정한 직책에 있지 않은 사람이 전권위임장 없이 체결한 조약이 무효라고 하는 것은 당시의 법에 비추어 타당한 주장이라고 볼 수 있다. 셋째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당시에 조약은 비준에 의하여 발효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조약은 비준되는 것이 원칙이었으며, 비준 없이 조약이 발효하는 것은 예외에 속하였다. 그런 점에서 한국병합관련‘조약’과 관련하여 비준서의 결여나 비준과 관련된 하자를 논거로 하는 무효론은 당시의 국제법이 비추어 상당한 설득력이 있다. 넷째, 당시의 조약 체결관행을 보면 모든 조약은 이태진 교수가 말하는 이른바 ‘정식조약’으로 체결되는 것이 원칙이었다. 이태진 교수의 주장은 역사학자가 국제법적 문제를 다루는데서 오는 일부 오류가 있으나 그 가장 중요한 논지, 즉 국권 이양과 같은 중대 사안을 전권위임장이나 비준 없이 체결된 조약으로 처리할 수 없으므로 한국병합관련‘조약’은 무효라는 주장은 시제법적인 관점에서 충분한 타당성이 있는 것이다. From the year 1998 to the year 2000, the Sekai, a widely read Japanese Journal of which the title means 'the World', had become a forum for hot debates concerning validity or invalidity of the so-called 'treaties' related to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In the debates, two points were the basic subjects of controversy. One was the problem whether those 'treaties' were invalid because they were concluded by coercion. The other was the problem whether they were invalid because there were grave defects in the forms and procedure by and through which they were concluded. The second point was the subject of debate between professor Tae-Jin Le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professor Fukuju Unno of Meiji University. Professor Lee maintained that treaties such as the 1905 treaty which made Korea a protected state, and the 1910 treaty which annexed Korea into Japan were invalid ab initio, and in fact never concluded as they were concluded by representatives who lacked full powers and were not duly ratified. 'The fact that those 'treaties' lacked title or had the title of 'agreement' or 'convention' instead of 'treaty' is another basis on which he argued that they did not have any validity. Professor Unno objected to professor Lee as follows: validity of a treaty was not influenced by the forms of conclusion of treaties and their titles; at the time when the treaties related to Korean Annexation were concluded there were many examples of treaties which were recognized as valid though they were concluded without full powers and ratification; at the time there were treaties titled' convention' which regulated politically important matters such as the transfer of important state authorities. In order to judge whose assertion is more persuasive and said to be correct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temporal law, the texts of the most representative western and Japanese international law scholars at the time such as Wheaton, Bluntschli, Woolsey, Hall, Oppenheim, Akiyama, Kurachi, Ariga and Tachi were reviewed. The conclusions from the review are as follows: Firstly, title of a treaty cannot be a criterion to decide whether a treaty can be recognized as valid or not. Secondly, at the time. in order for a representative of a State who was not a minister of foreign affairs or a diplomatic agent to the other party of the treaty to conclude a valid treaty, presentation of full powers was essential.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a treaty concluded by a representative who was not a minister of foreign affairs or a diplomatic agent and did not have full powers was invalid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temporal law. Thirdly, it was generally admitted at the time that, if there were no special circumstances, all treaties were to be ratified should it enter into effect. In principle all treaties were required to be ratified to have effect and a treaty entering into effect without ratification was exceptional. This supports the persuasiveness of professor Lee's maintenance. In the professor Lee's assertions and explanations which we can read in the manuscripts published in the Sekai, some inaccurate understandings of international law are found. That may be accounted by the fact that he is a historian who dealt with international legal problems through the texts. However, the most basic and important point of his assertions that essential State authorities and powers could not be transferred by means of treaties concluded by representatives without full powers and never duly ratified, and therefore the treaties related to Korean annexation never entered into force and were not valid an initio should be said to be true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temporal law.

      • KCI등재

        한국병합관련조약의 효력과 국가 대표의 매수

        박배근(Pae Keun Park) 서울국제법연구원 2010 서울국제법연구 Vol.17 No.2

        As is well known, the Treaties related to the Annexation of Korea has been argued as null and void ab initio on the basis that these treaties were concluded under coercion of the representative of Korea or they have grave defects in the forms and procedure of their conclusions. In addition to these reasons, recently another question was raised concerning the validity of these treaties. It came to be known that Japan provided considerable sums of money to the Korean Emperor, Royal family members, ministers and other persons who were related to the conclusion of these treaties. To international law scholars, a historian raised a question whether this provision of money by Japan can influence the validity of the treaties. In 1969 Vienna Convention on the Law of Treaties, there is an article which can be applied to the Japanese government`s acts of affording money to Koreans in relation with the conclusion of the treaties: article 50 regulating Corruption of a representative of a State. However, this Convention was concluded on 1969 and the Japanese government`s acts were done around on 1905.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inter-temporal law, article 50 of the 1969 Vienna Convention per se can not applied to the Japanese acts. The discussions surrounding this article during the meetings of the International Law Commission and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he Law of Treaties show that it was not an article codifying pre-existing customary international law. At the same time, there were many arguments that corruption is subsumed by the article concerning fraud (Article 49) as an reason for invalidation of a treaty. To know the positive international legal rule of the time concerning the corruption or fraud as an element impeding the freedom of consent, most influential texts of international law published at 19th century were reviewed. Almost all of these texts enumerated fraud as an element invalidating treaty whereas no reference on the corruption can be found. In addition, corruption was suggested as a form of fraud in no works. In the light of this facts, it seems to be difficult to say that the Japanese offering of money invalidated the Treaties related to the Annexation of Korea.

      • KCI등재

        韓國倂合關聯'條約\ 有無效論의 意義와 限界

        박배근(Park Pae-Keun)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법학연구 Vol.44 No.1

        Concerning the validity of the treaties related to the annexation of Korea by Japan and concluded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re is wide difference of opinion not only between Korean government and Japanese government but also among many Korean and Japanese scholars. Japanese government and many Japanese scholars maintain that those treaties, although unjust, were concluded lawfully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law at the time and as result remained valid throughout so called Japanese 'colonial rule' of Korea. Korean government and almost all Korean scholars argue that they were unjust and also had no validity at all ab initio. When we examine the debates and arguments with regards to the validity of the treaties, it comes to mind that there are serious problems in their form and premises. First, they are proceeded in the form of legal syllogism and takes so called 'positive' international law of the time as the major premise. In accordance with this logic, the contents of the 'positive' international law are tried to be evidenced through the many statements of the authors of international law at that time. However, it is highly doubtful whether at that time there really had existed 'positive' international law which can be recognized and evidenced 'objectively'. All submitted evidences of the existence of certain rules concerning the validity of treaties are taken from books of many international lawyers of the 19th century. Nevertheless, what the authors say in their books is not always the statement of 'positive' international law. They may be only the result of the authors' speculation or some expression of desirable rules in their opinions. Moreover, there are discrepancies between the authors concerning the rules. This kind of evidencing 'positive' international law also distorts the original meaning of the 'statement' in the text by disregarding its context. Secondly, the debates and arguments do not reflect on the nature and legitimacy of the 19th century 'international law'. The rules of international law written down in the books in this period of time are very speculative one and imperialistic and euro-centric in its nature. This connivance plays the role of hiding the unjust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international law. Arguments regarding to the treaties may not be proved right or wrong. They could only have the more persuasiveness or the less. The last resolution of all the problems occurring from the 'validity' or 'invalidity' of the treaties might be arrived through the will and determination of the governments alone.

      • KCI등재

        국제법상의 ‘非拘束的 合意’

        박배근(Park Pae Keun) 국제법평론회 2005 국제법평론 Vol.0 No.22

        국가간의 비구속적 합의는 이른바 ‘소프트 로’의 한 형태로서 국제사회에서 규범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1969년 비엔나 조약법협약상의 조약의 정의는, 국가간의 문서로 된 모든 명시적 합의는 법적 구속력이 있는 조약에 해당되며 비구속적 합의는 존재할 수 없다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표현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국가간의 비구속적 합의를 금지하는 국제법규칙은 존재하지 않으며, 경험적 사실에 의하더라도 국가는 여러 이유에서 비구속적 합의를 체결하므로 국가간의 명시적인 비구속적 합의는 존재할 수 없다는 주장은 타당하지 못하다. 비구속적 합의가 법적 구속력을 가지지 못하는 것은 합의 주체의 의사에 따른 것이다. 그리고 어떤 합의를 비구속적으로 만드는 국가의 의사는 비구속적 합의의 본문에 명시된 경우 가장 명확하게 드러난다. 그러나 합의에 부여된 명칭, 본문에 사용된 표현 등은 일반적으로 어떤 합의를 조약으로 할 것인지 비구속적 합의로 할 것인지에 관한 당사국의 의사를 추정하는 상당한 근거가 될 수 있지만, 절대적인 근거는 될 수 없다. 그 밖에도 서명이나 비준, 등록 또는 국내적 공포와 같은 지표들도 합의의 구속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될 수 있다. 비구속적 합의는 국가적 규율을 요구하는 문제에 대하여 조약에 비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조약으로 규율하기 힘든 문제도 유연하게 처리할 수 있고 또 비밀성이 보장된다는 점 때문에 국가들에 의하여 선택되고 이용되는 합의 형식이다. 그러나 바로 그러한 이유 때문에 비구속적 합의는 그 준수가 경시되고 국내적인 이행을 위한 조치가 미비되는 등의 위험이 있다. 만약 비구속적 합의가 국민의 재정부담이나 권리ㆍ의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내용을 담고 있는 경우에는 행정부의 대외 약속에 대한 민주적 통제라는 관점에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위험도 있다. 비구속적 합의의 위반은 국가책임의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고, 사법심사 적합성도 일반적으로 결여하지만, 신의성실의 원칙으로부터 도출되는 금반언의 효과, 국내문제의 항변을 저지하는 등의 법적 효과가 인정된다. It is pointed out by many authors that the so-called non-binding agreements concluded between States exist and fulfil certain functions of norm in international society. However, the expression used to define treaty in the 1969 Vienna Convention on the Law of Treaties seems to cause some misunderstanding concerning the existence of non-binding agreements as it gives the impression that every explicit agreement between States is a treaty. Arguments based upon this impression are unsustainable as there is no such a rule of international law which prohibits States from concluding non-binding agreements. Experiences in the current diplomacy also evidence that many non-binding agreements are concluded and made use of for various reasons. What makes non-binding agreements devoid of legally binding force are intentions of the contracting parties of the agreements. Such intentions of the parties to make a certain agreement as non-binding are most explicitly expressed when they are provided in the texts of agreements. In addition, title of an agreement and typical expressions in the text also may be used as a criteria for judging whether an agreement is binding one or not. Similarly, signature, ratification, registration, domestic publication of an agreement may be used in judging binding force of it. Non-binding agreement is being chosen as a form of agreement between States for the following reasons: promptness and convenience in responding certain problems; flexibility in treating subjects which are hard to be handled by treaties; confidentiality. These reasons for the utilization of non-binding agreement engenders some dangers. The most serious one is the danger that democratic domestic control may not reach to it. Noncompliance of a non-binding agreement does not impose legal responsibility upon the noncomplying State, as it is legally non-binding. At the same time, generally the problems caused by a noncompliance of a non-binding agreement are not pertinent to the settlement by judicial trial. However, when States conclude non-binding agreements, they are estopped from taking action contradictory to their commitment under the agreements. They also cannot raise the protest of domestic jurisdiction against complaint of non-compliance by other parties to the agreements.

      • KCI등재후보

        국제법상 국가의 동일성과 계속성

        박배근(Park Pae-Keun) 한국법학원 2006 저스티스 Vol.- No.90

        소련의 붕괴와 유고슬라비아 및 체코슬로바키아의 분열, 독일의 통일 등 일련의 사태가 발생함에 따라 국가의 동일성 및 계속성의 문제가 최근 새롭게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국가의 동일성은 “국가의 구성요소에 관한 변경이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국가를 소멸시키지 않는 것으로 간주됨으로써 동일한 국제법주체로 인정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국가의 계속성은 경우에 따라서는 동일성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일이 많으며 반드시 그 의미가 명확하지는 않은 개념이다. 국가의 계속성과 동일성을 완전히 같은 개념으로 이해하는 경우에는 계속성 없는 국가의 동일성이란 있을 수 없다. 이러한 견해에 따르면 ‘재수립된 국가’나 ‘부활된 국가’가 존재할 수 있는 여지란 없다. 이러한 견해에 대립되는 것으로, 국가가 일시적으로 소멸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적 면모를 가지는 국가가 다시 수립된 경우에는 ‘동일한’ 국가라고 할 수 있다는 견해도 있다. 국가의 동일성을 측정하기 위한 주관적인 지표로는 동일성이 문제가 된 관련 국가의 주장과 그에 대한 제3국 및 국제사회의 태도를 들 수 있다. 객관적인 지표로는 영유하고 있는 영토의 크기, 인구의 구성과 크기, 보유하고 있는 자원의 내용과 양, 유지하고 있는 군대의 인원과 장비, 중앙 정부의 소재지와 가장 중심적인 정부기관에 대한 지배 등이 거론된다. 그 밖에 국가의 동일성 주장이 재수립된 국가 또는 부활된 국가의 형태로 제기되거나 외관상의 국가성의 단절이 장기간에 걸친 경우에는 그러한 단절 기간의 장단, 단절이 초래된 경위의 위법성 또는 합법성, 국가의 동일성을 인정함으로써 국제사회의 법률관계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등이 동일성 판단의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국가의 동일성에 관한 확립된 국제법규칙으로는 ① 일반적으로 영토의 변경은 국가의 동일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② 정부 및 국내법질서의 변경은 그것이 합헌적인 것이건 위헌적인 것이건 국가의 동일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③ 군사점령은 국가의 동일성을 해치지 못한다는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1991년에 독립한 발트 3국은 스스로가 1940년 이전의 발트 3국과의 동일성을 주장하며 국제사회도 대부분 그것을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국가, 특히 러시아는 발트 3국의 국가적 동일성을 부정하고 이들 국가를 신국가로 취급하는 등 국제사회의 실행은 일관되어 있지 않다. 마찬가지로 조약의 회복이나 러시아와의 국경 획정 문제에서도 발트 3국의 동일성 주장이 반드시 현실적으로 관철되거나 실현되고 있지는 않다. 동일성 판단의 지표에 비추어 볼 때 발트 3국은 국가적 동일성을 인정받을 수 있는 상당한 근거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국가의 동일성이라는 점에서 발트 3국과 대단히 유사한 점을 가지고 있는 대한민국의 경우에도 본 고에서 고찰한 지표들에 비추어 대한제국과의 국가적 동일성을 추정하도록 하는 일정한 사실들이 존재한다. 특히 대한민국의 국가적 동일성 주장은 일본과의 관계를 제외하면 국제법적인 현실문제로서의 의미가 극히 희박하며 “정신적 이념적 주권회복”을 위한 것이라는 성격이 대단히 강하다.

      • KCI등재

        일본 국내법상의 유엔 해양법협약 이행에 관한 고찰

        박배근(Pae-Keun Park)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4 동서연구 Vol.26 No.4

        이 글에서는 1982년에 체결된 해양법협약이 일본에서 어떻게 이행되고 있는지를 알기 위하여 해양법과 관련된 일본의 국내법들로서 영해와 접속수역에 관한 법률, 영해 등에서의 외국선박의 항행에 관한 법률, 배타적 경제수역 및 대륙붕에 관한 법률, 배타적 경제수역 및 대륙붕의 보전 및 이용의 촉진을 위한 저조선의 보전과 거점시설의 정비 등에 관한 법률, 배타적 경제수역에서의 어업 등에 관한 주권적 권리의 행사 등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자원의 보존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오염 등 및 해상재해의 방지에 관한 법률, 해양구조물 등에 관련되는 안전수역의 설정 등에 관한 법률 등과그 시행령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일본은 1982년 해양법협약과 조화되도록 국내법제를 정비하고 있으나 배타적 경제수역이나 대륙붕에 관하여 과도한 관할권을 주장하는 것이나 이들에 관하여 중간선을 일방적으로 해양경계로 정하고 있는 것 등은 해양법협 약과 일치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The reality of implementation of a treaty in a monist State like Japan may be grasped only through reviewing relevant domestic laws of the State. This is the reason why we must examine Japanese domestic laws regulating maritime affairs to understand how the 1982 UNCLOS is implemented in Japan.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first reviews the marine policy of the Japanese government during the time of the Third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he Law of the Sea, and proceeds to examine domestic laws of Japan related to subjects of the UNCLOS such as Act on the Territorial Sea and the Contiguous Zone, Act on the Exclusive Economic Zone and the Continental Shelf, Act on the Exercise of the Sovereign Right for Fishery, etc. in the Exclusive Economic Zone, Act on Preservation and Control of Living Marine Resources, Act on the Prevention of Marine Pollution and Marine Disaster, Act on Passages of Foreign Ships in the Territorial Sea etc., and Act on the Establishment of Safety Zone Around Marine Structures, etc. The result of the review and examination tells us that Japan organized and rearranged domestic institutions and law to be harmonized with the UNCLOS. Nevertheless, some domestic law of Japan seems to be not in accordance with the UNCLOS. The excessive establishment of straight baseline, immoderate argument of the EEZ and the continental shelf based on unacceptable interpretation of the Art. 121, para. 3 are salient examples.

      • KCI등재

        국제법상 시제법의 이론과 실제

        朴培根(Pae-Keun Park) 대한국제법학회 2008 國際法學會論叢 Vol.53 No.1

        현실이 끊임없이 유동하며 그에 맞추어 법도 주기적인 변경을 겪을 수밖에 없다는 사실은 필연적으로 과거의 현실을 규율하던 과거의 법과 새로운 현실에 맞추어진 새로운 법 사이의 관계를 어떻게 이해하고 조정하여야 하는가라는 문제를 제기한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하나의 해답으로 제시된 것이 이른바 시제법의 이론이다. ‘시제법’(intertemporal law)의 문제는 ‘팔마스島 사건’(Island of Palmas Case) 판결을 통하여 고전적인 정의가 표명되고 많은 학자들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팔마스島 사건에서 후버(Max Huber) 중재재판관이 제시한 정의는 실은 두 가지 내용으로 되어 있다. 그 첫째는 “법적인 사실은 그 당시의 법에 의하여 평가되어야 하며 그에 관한 분쟁이 발생하거나 해결되는 시점에 유효한 법에 의하여 평가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둘째는 “일련의 기간에 유효하였던 상이한 법체계 중에서 어느 것을 특정 사건에 적용하여야 하는지의 문제(이른바 시제법)에 관해서는 권리의 창설과 권리의 존속을 구별하여야 한다”는 것, “권리창설적 행위를 권리 발생시의 법에 복종시키는 원칙은 권리의 존속, 다시 말해 권리의 계속적인 발현이, 법의 발전에 의하여 요구되는 조건들을 따를 것을 요구한다”는 것이다. ‘시제법’의 문제는 국제법에 특유한 문제는 아니며 법불소급의 규칙의 한 측면에 해당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그것은 ‘법의 일반원칙’(general principle of law)으로 간주될 수 있다. 시제법의 문제는 특정 법적 문제가 오래 전에 발생한 사실 또는 오랜 기간 동안에 걸쳐 지속된 사실과 관련되는 경우에 제기된다. 또, 특정의 법적 문제에 관하여 최근 급격한 법의 변경이 이루어진 경우에도 시제법의 문제가 제기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국제법에서는 국가는 국내법 주체인 개인이나 법인에 비하여 장기간에 걸쳐 존속하며, 국제법의 사회적 기초가 되는 국제관계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국제법에 근본적이고 폭넓은 변경이 발생하였다는 이유 때문에 국내법에 비하여 시제법의 문제가 더 큰 중요성을 가진다. 실제로 국제법에서 시제법의 문제가 많이 제기되는 경우로는 영역권원과 관련된 법적 문제, 경계획정문제, 절대적면제로부터 제한적면제로의 법의 변경이 발생한 주권면제, 시제법의 중심 문제인 조약의 해석을 규율하는 조약법상의 문제 등을 들 수 있다. 국제법체계의 발전을 촉진하는 것은 법적 안정성의 원칙을 유지하는 것만큼 중요한 일이며, 시제법적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서도 이러한 두 가지 요소가 함께 고려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 강조되는 경우에는 전통적인 시제법의 정의로부터 벗어나 국제법의 해석과 적용에 국제법의 발전이 반영되어야 한다는 요청이 제기된다. 이러한 요청은 1966년 국제사법재판소의 서남아프리카 사건 판결에서 타나카 판사의 반대의견 속에서도 표현된 바 있다. 그러나 ‘법적 안정성의 원칙’을 대표하는 시제법원칙을 정면에서 부인하거나 그에 대한 예외를 적극적으로 주장하고 옹호하는 논리는 아직 보이지 않는다. The principle or rule of intertemporal law was first formulated by Judge Huber at the arbitral award of 1928 Palmas Island Arbitration. Since then it has been widely invoked both at theoretical and at practical level. This might be said to be a natural phenomenon as it is recognized one aspect of principle of legal stability called non-retroactivity of laws. However, as a matter of fact, Judge Huber’s doctrine or principle of intertemporal law expressed in the 1928 award was composed of two limbs. One says that “a judicial fact must be appreciated in the light of the law contemporary with it, and not of the law in force at the time when a dispute in regard to it arises or falls to be settled.” The other says that “as regards the question which of different legal systems prevailing at successive periods is to be applied in a particular case, a distinction must be made between the creation of rights and the existence of rights.” It further says that “the existence of a right, namely its continued manifestation, shall follow the conditions required by the evolution of law.” As said above, the first limb of the principle presented by Judge Huber has been broadly accepted as an principle contributive to legal stability. In contrast to this, the second limb has received many criticism as it reduces the first limb principle meaningless one. In international law, problem of intertemporal law has been rather frequently raised in such fields as acquisition of territorial title, law of the sea, sovereign immunity or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The reason is that in such fields of international law judicial facts are related with historical matters or law itself has experienced much changes. The law of treaties is also a field in which problems of intertemporal law occurs a lot as this law regulates a source of international law, treaty. Concrete cases of intertemporal law dealt with in these international law fields show that the first limb of Judge Huber’s doctrine of intertemporal law is well accepted and applied repeatedly. The second limb of Judge Huber’s doctrine of intertemporal law seems to be reflecting the idea that the evolution and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law must influence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international law. The importance of this idea was emphasized when in 1975 the Institut de Droit International adopted its resolution titled “The Intertemporal Problem in Public International Law” at its session of Wiesbaden. Judge Tanaka stated the same thought in his dissenting opinion of ICJ’s South West Africa, Second Phase case, 1966. However, no author dares to deny the first limb of the intertemporal law principle till now.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