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음이론의 신경기초

        박민,이승복,김혜리,윤효운 한국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6 No.2

        Theory of mind (ToM) refers to the knowledge about the mind that we have mental states―such as intention, desire and belief―and our mental states cause our action is recognized as theory of mind. A person with theory of mind comes to read people’s actions in terms of their mental states, that is, mindreading. In this review, we summarize recent work that has illuminated the neural bases of mindreading. Lesion studies has suggested that damage to brain areas such as right hemisphere, orbitofrontal cortex, amygdala were correlated with ToM deficits. Neuroimaging studies of normal adults have consistently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particular brain regions for ToM, the superior temporal sulcus (STS), temporal pole (TP) and the medial prefrontal cortex (MPFC). Findings from brain imaging and lesion studies indicate that ToM ability is supported by a widely distributed neural system. The theoretical importance of ToM for everyday life requires further studies in more various populations. 마음이론이란 자신과 타인이 목적, 바람, 믿음과 같은 마음상태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마음상태가 특정 행동을 하도록 만든다는 마음에 대한 지식을 가리킨다. 마음이론을 가지고 있는 인간은 사람의 행동을 그 사람의 마음과 관련하여 이해하는 마음읽기를 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마음읽기의 신경 기초를 밝혀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던 최근 연구들을 개관한다. 뇌 손상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은 우반구, 안와전두피질, 편도체 등의 뇌 영역 손상과 마음읽기 능력의 결함이 서로 관계가 있음을 시사했다. 정상인들을 대상으로 한 신경영상 연구들에서는 상측두구, 측두극, 및 내측 전전두피질과 같은 특정한 뇌 영역들과 마음이론의 관련성을 보여주었다. 뇌 영상과 뇌 손상 연구결과들은 마음읽기 능력이 광범위하게 분포된 신경체계에 기초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향후 기존 연구들과 비교하여 좀 더 다양한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마음이론의 신경 기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대만 사립학교법에 대한 연구

        박민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법학논총 Vol.24 No.1

        A reasonable volume of researchers are interested in comparative studies on Private School Act worldwide, but there is a dearth of study focusing on governance of the private schools between Taiwan and Korea. Both countries apply very similar standards on education. They are especially passionate about nurturing young talents, which could be the nation’s major growing engine overcoming their limited natural resources. This study aims at giving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n differences on Private School Act between both countries. Looking into Private School Act of each country, Taiwanese Act could be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five traits. First of all, the Act has been enacted for ensuring the autonomy of private schools. Second, the operation expenses couldn’t be borrowed during first three years of the educational foundation not to put any strain on their finances. Third, concerning the regulation on appointment of Board member, Taiwanese Act has been looser than that of Korea. It has only specified that the number of the Board who are spouses, lineal ascendants/descendants, and relative of the siblings couldn’t exceed one third of total number of the Board members, while Korean Act has further restricted the qualification on nationality, educational experiences, and CPA license. Fourth, provisional director should be appointed by the court when the administrative authority requests to do so after the consultation with the Private School Council. Lastly, the Act differentiates the disbanding of private school from that of educational foundation. In case of the disbanding of educational foundation, the Board could pass a vote to change its purpose into other types? of education, culture projects, social welfare services accredited by administrative authority. 사립학교에 대한 교육정책이나 제도와 관련해서 미국, 영국, 독일과 일본 등을 비교하는 연구는 상당히 많은 편이지만 대만의 사립학교법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편이다. 그러나 대만은 교육에 대한 열정이 우리나라와 유사하고 작은 국토 규모에서 국가발전의 원동력을 훌륭한 인재의 양성에서 찾으려는 국민의 의식이 비슷하기 때문에 대만의 사립학교법도 연구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립학교의 지배구조를 중심으로 우리나라와 대만의 사립학교를 비교해보았다. 대만의 사립학교법과 우리의 사립학교법을 비교해본 결과, 대만 사립학교법의 특징을 다섯 가지로 요약 할 수 있었다. 첫째, 제정목적이 사립학교의 자주성을 좀 더 강조하고 있다. 둘째, 학교법인의 설립 후 3년간은 운영소요경비를 차입의 방식으로 조달 하 수 없도록 하여 사립학교가 설립 단계부터 차입 원리금 상환의 부담을 안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셋째, 임원선임의 제한과 관련해서 우리는 국적, 교육경력, 공인회계사 자격 등의 개별 요건을 추가로 규정하고 있는데 반하여 대만에서는 배우자, 직계존비속, 형제의 친인척 관계인 자가 이사회 정원의 3분의 1을 넘을 수 없다는 규정만 있다. 넷째, 관할 행정청이 직접 임시이사를 선임하는 것이 아니라 사립학교자문회의 자문을 받아 법원에 임시이사의 선임을 신청하면 법원이 임시이사를 선임한다. 마지막으로 사립학교의 해산과 학교법인의 해산을 구분하여 규정하고 있으며, 학교법인이 해산되는 경우에는 이사회의 결의에 따라 관할청의 허가를 신청하여 그 목적을 기타 교육, 문화, 사회복지사업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